논술전형은 이과같은경우 미적분 풀고 그러는거라던데
그럼 답이있을거고 답을 맞추면 그냥 모두 합격인가요?
그것도 인원이있을텐데.. 궁금해요
논술전형은 이과같은경우 미적분 풀고 그러는거라던데
그럼 답이있을거고 답을 맞추면 그냥 모두 합격인가요?
그것도 인원이있을텐데.. 궁금해요
문제가 너무 어렵고요.
서술형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서술형 답안을 잘 작성해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붙는거죠.
인원 당연히 있고요
단순히 단답형 많이 맞춰서 동점자가 발생하면 전원합격 아닙니다.
그런 경우라 해도 동점자 선별 기준이 있어서 기준에 따라 선발하고요
아~~ 서술형이군요.. 이과 논술은 문제푸는거라고해서 왜 답만 맞음 되는거 아닌가하고 무식한 상상을 해봤어요^^, 감사합니다
정답도 보고 풀이과정도 봐요
그리고 논술도 수능최저가 있어요
단답형도 있어요
주로 하위권, 수도권 대학이죠
약술형 논술이라고하고 단답형 짧은서술형이예요
교과서 수준도 있구요
문제가 엄청 어려워서 답을 맞추기 너무너무 어렵습니다.
답이 쉽게 나오면 논술 전형이 어렵지 않겠지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풀이 과정 조차도 답 근처에도 못갑니다.
체점에 들어갔었던 아이조교선생님에게서 들었다는데 합격자열명 모두 만점이었답니다. 풀이 과정도 꼼꼼히 봤고 치열했대요
문항이 일단 매우 어렵고요. 문제가 많지 않아요. 큰문항 두세개에 세부문항 두세개정도씩.
문제에 나온 조건을 이용해서 논리적으로 풀이과정을 적어야해요. 문제가 요구하는 수학적 개념을 잘 적용해서 쓰는거죠. 빠진 부분이 있으면 정답을 맞췄어도 가점이고, 틀렸어도 어느정도 풀이를 했으면 부분점수를 주기도 해요. 채점요소가 많더라구요.
문항이 전반적으로 매우 어렵고, 문제 수가 많지 않아요. 보통 큰 문항이 두세 개 정도 있고, 각 문항에 세부 문항이 두세 개씩 포함돼요.
제시된 조건을 이용해 논리적으로 풀이 과정을 적어야 하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수학적 개념을 얼마나 정확하게 적용했는지가 중요해요.
풀이 과정에서 일부 빠진 부분이 있더라도 정답을 맞췄다면 가점을 받을 수 있고, 틀렸더라도 논리적인 접근을 했으면 부분 점수를 받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채점 요소가 꽤 다양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