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참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고
경우없는 어른들 만나면 자주 하는 말인데
섬뜩하다고 하는 어른들이 계시더라고요
저는 아이는 없어요
좋은말이고 영미권에서도 많이 쓰는데
이말이 불편한사람들은 켕기는게 있는걸까요
저는 참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고
경우없는 어른들 만나면 자주 하는 말인데
섬뜩하다고 하는 어른들이 계시더라고요
저는 아이는 없어요
좋은말이고 영미권에서도 많이 쓰는데
이말이 불편한사람들은 켕기는게 있는걸까요
영미권에서 쓰였던 이유는 일부 기독교적 세계관 때문이고, 이런 사고 방식 하는 사람 지금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을 거에요.
원글님은 경우 없는 사람을 만났을 때 한다고 하셨는데, 이것은 그 경우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원글님이 개인적으로 하는 저주이지 좋은 말이나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말이 불편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무엇인가 켕기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전형적인 정황적 오류입니다.
영향을 끼치죠.
그 부모가 싫으면 그 집 자식도 싫은 게 인간의 마음.
부모에게 죄과를 받는 뭔가 일이 생기면 자식도 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 가족관계.
자식의 역량으로 극복하기도 하고
극복이 안되면 치여서 고통받기도 하고...
영향을 끼치죠.
그 부모가 싫으면 그 집 자식도 싫은 게 인간의 마음.
부모에게 죄과를 받는 뭔가 일이 생기면 자식도 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 가족관계.
부모의 언행을 답습하는 것이 자식.
이 모든 것을 자식의 개인 역량으로 극복하기도 하고
극복이 안되면 치여서 고통받기도 하고...
부모를 선택해서 태어난것도 아닌데
자식에게 죄과를 묻는다는건
가혹한 면이 있죠
잘못을 저지른 사람의 자식까지 미운거는 이해되는데
미운 감정에서 안끝나고 행위가 더해진다면
그건 또다른 죄를 짓는거고
그 죄과가 내자식에게 지워진다면
그 굴레의 끝은 없는거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