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S&P500을 올해 7월달에 사서 매일 매일 한주씩 사고 있는데요.
이게 TIGER나 KODEX 처럼 금액도 작고 거래량도 그다지 별로인거 같은데요.
알고 보니 나중에 후발주자로 KB에서 만들어서 수수료는 저렴한거 같은데요.
TIGER나 KODEX랑 같은건가요?
해지하고 다시 타이거나 코덱스로 가입해야 하나요?
다 똑같다 거기서 거기다 그냥 놔둬라 일까요?
RISE S&P500을 올해 7월달에 사서 매일 매일 한주씩 사고 있는데요.
이게 TIGER나 KODEX 처럼 금액도 작고 거래량도 그다지 별로인거 같은데요.
알고 보니 나중에 후발주자로 KB에서 만들어서 수수료는 저렴한거 같은데요.
TIGER나 KODEX랑 같은건가요?
해지하고 다시 타이거나 코덱스로 가입해야 하나요?
다 똑같다 거기서 거기다 그냥 놔둬라 일까요?
수수료가 싸다고 들었고요
등락률은 같으니 좋은 거 아닌가요?
https://www.etfcheck.co.kr/mobile/main
1. 이 사이트에 접속하세요
2. 비교하고 싶은 종목코드 입력하세요
3. 수수료가 총보수 + TER = 실부담비용률 이렇게 더했을때 제일 저렴한게 뭔지 찾으세요
***네이버 증권에 나오는 수수료 0.0047% 이런식으로 써있는거는 수수료 1개만 기재해놓은거라 꼭 이사이트 가셔서 총 수수료를 확인하셔야 해요
근데~ 요즘 경쟁이 심해서 서로 수수료율 낮추지 않으면 안되서 거기서 거기이긴 합니다.
1. 거래량 제일 많은 TIGER 드는것도 괜춘
2. 오랜시간 묵혀둘거면 수수료 제일 싼거 드는것도 괜춘
저는 S&P 같은 지수추종이니 골고루 다 모으고 있어요
큰차이없습니다. 그대로두심이
미국 나스닥 100 etf도 같이 사세요..토스나 카카오페이 주식에서 또는 전 증권사 모두 소수점 구매 가능하니 qqqm과 splg 달러로 소수점 구매해도 됩니다.
거래량 많은곳으로 사야 팔때도 바로바로 팔수 있지 않을까요?
미국 s&p는 수익 250만원 안넘으면 배당세22%안내고
국내상장 etf는 14%인가 세금 내는거 아닌가요.
수수료가 싸다고해서 RISE 가입했는데
실제 총 보수나 총 비용은 더 높다고 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