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1남 1녀 있음. 난 장남 며느리.
추석 때 시가 안 가고 우리 가족 여행 감
(시누도 시가 안 감 - 시모가 말해서 암)
그래서 내가 나서서
시부모님. 시누네. 우리가족 방 3개 저렴한 복지 차원 숙소 잡아서
1박 2일 놀러 감.
시부모님은 시누네 애들 봐주심.
난 맞벌이하면서 우리애들은 친정에서 봐주심 (수고비 드림)
우리는 결혼 14년차고 결혼과 동시에 시부모님에게 월 100만 원 자동이체. ㅎㅎ 거른 적 없음.
그 동안 화가 많았음 ㅎㅎㅎ 친정에서는 우리 애들 봐주고 살림해주시는데 150만 원 드리는데 시부모님은 시누네 애들 보는데 100만 원 ㅎㅎ
(부연하자면 우리 집에 가사 도우미 붙여 가사는 안 하시도록 많이 신경썼으나... 아무래도 집안일도 하시게 됨. 당연히 친정에 더 많이 드리면 좋겠으나 우리도 돈 모아야 되고 친정은 노후 대비 되어 있으심) 지금은 여러 이유로 전보다는 편하게 마음 먹기로 함
지금은 친정에 육아 도움 안 받아요. 친정에 부탁드릴 때 식사 여행 늘 챙겼고 저희 엄마 환갑 때 200 아빠 퇴직 때 200 아빠에게 제 차 바꾸면서 당시 시세 2,000만 원 정도하는 중고차 드렸어요. 글 추가)
숙소비 - 10만 원 대 내가 결제
저녁 - 20만 원 대 내가 남편에게 결제하라고 귀띔해서 결제 (남편이 장남으로서 가오가 중요하기에 내가 먼저 내라고 함)
그날 밤 야식 -시누네가 장봐 온 거 (10만 원대) 먹고
나는 당연히 점심 값은 시누네가 낼 거라 생각.
다음날 점심 - 3 테이블 자연스럽게 나눠 앉았는데 알고 보니 테이블별로 주문하면서 결제하는 시스템이었음. 어른들이 나눠서 앉았고 시누네가 2 테이블, 울 가족이 1 테이블 냄. ㅎㅎ 다 내려는 시도도 없음.
소소하게 애들 체험 시켜주느라 - 몇 만 원 남편이 냄.
명절이라고 20 만원 시부모님 봉투 드림.
한 번 만날 때마다 돈이 펑펑 나가는데 누가 좋아하나요
그런데도
남편은 자기는 더 베풀고 싶은데
와이프인 나와 조율하느라 참는 거라 하네요?
우리가 시누네 보다 사정이 낫지만 애들 학원비도 아까워 예체능 학원 안 보내는 사람입니다 ㅡㅡ
애들 수업 교재도 당근으로 사요.
시부모님이야 능력이 없으니 기대도 없지만
시누이는 곧 오사카 유니버설 스튜디오 간답니다.
어이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