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형님의 친형제분이 결혼했는데 그배우자가 사망한경우부조를 하나요
이런일이 처음이라 어찌할지 모르겠어요.
결혼한지 얼마 안되었다고 들었는데
아이가 있고 아직 돌쟁이. 어리다고 해요. ㅜㅜ
연락을 직접받은건 아니고
시댁통해서 들었어요.
부조를 하고 장례식에도 가나요
오지 말라고 경황없다고 하긴 하는데요.
직접 친형제가 아니고
그배우자이니 안 챙겨도 되는건가 싶기도
하고.
이번추석에 보면 그때 부조금을 조금 주는게 맞는지.
알려주세요..
시가 형님의 친형제분이 결혼했는데 그배우자가 사망한경우부조를 하나요
이런일이 처음이라 어찌할지 모르겠어요.
결혼한지 얼마 안되었다고 들었는데
아이가 있고 아직 돌쟁이. 어리다고 해요. ㅜㅜ
연락을 직접받은건 아니고
시댁통해서 들었어요.
부조를 하고 장례식에도 가나요
오지 말라고 경황없다고 하긴 하는데요.
직접 친형제가 아니고
그배우자이니 안 챙겨도 되는건가 싶기도
하고.
이번추석에 보면 그때 부조금을 조금 주는게 맞는지.
알려주세요..
동서의 형제의 배우자 상은 안챙기죠.
근데 동서는 그걸 시부모에게 부고를 알린 거예요?
너무 상관없는 관계인데요.
동서의 형부/제부 또는 동서의 올케가 돌아가셨을 경우잖아요.
그런 자리는 조문도 안 하고 조의금 안 합니다. 동서의 형제상에도 안 하는데 그 배우자까지는 더욱 먼 관계예요.
동서쪽 경조사는 그쪽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조문하거나(동서와 시아주머니가 상주이므로) 동서 쪽 형제의 결혼식에 축의금 내죠.
동서, 시매부, 올케, 형부, 제부의 부모상에는 조문도 가고 조의금도 냅니다. 형제자매 사망시 조문은 안가고 친할경우 조의금만 보냅니다.
저는 형부랑은 친해서 형부 부모는 물론이고, 형제 사망시에도 조의금 많이 냈습니다. 하지만 제부, 올케, 동서, 시매부와는 좋을 것도 나쁠것도 없는 사이라 부모상만 챙겼습니다.
부모상까지만요.
시부모랑; 시누 올케 사이가 좋음 몰라도 사이 나쁘면 서로 알리지도 않더라고요.
시댁 형님은 상주가 아닙니다. 그러니 조의금 내는 거 아닙니다.
만일 형님의 친형제가 돌아가신 경우라면 그건 형님이 상주가 되니 경우가 다르구요.
혹시 형님의 형제분과 직접적으로 자주 만나시나요? 그렇다면 몰라두요.
상대 집안 형제들 결혼할때 챙기는 경우가 많잖아요.
부의금도 기왕이면 챙기면 좋죠.
그다지 사이가 좋지 않으면 패스해도...
않을 일이네요
형제면 몰라도 형제의 배우자까지는 범위가 너무 넓긴 하죠
사돈의 사돈이네요
굳이 조문안해도 되고 부의금도 안해도 될거 같은데
한다면 형님편에 10만원 송금하겠어요
형제자매라면 할것같은데 그 배우자까지는..
시누남편의 형제의 배우자는 저는 본적도 없네요
촌수의 관계보다는 친분의 관계를 생각해야하지 않을까요?
만약 동서의 제부상..이라면
동서의 여동생과 친분이 있었다면 조의를 하는 것이 좋고
전혀 친분이 전혀 없었다면 안해도 괜찮을 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