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프랑스, 재정위기 심각. 총리가 'IMF 구제금융' 거론

ㅇㅇㅇ 조회수 : 3,184
작성일 : 2025-09-09 23:45:47

국가 부채 5000조원…유로존 3위
국채 금리 3.5%로 그리스 추월
‘유로존 금융위기’ 악몽 재현 우려

유럽 대표 복지국가 프랑스가 ‘IMF 구제금융’ 가능성이 거론될 정도로 심각한 재정 위기에 빠졌다.

일간 르몽드와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에리크 롬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제통화기금(IMF) 개입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프랑스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해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면서 국가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유럽연합 통계청(유로스타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프랑스 국가 부채는 3조3000억유로(약 5000조원)로 GDP 대비 114.1%에 달한다. 이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에서 그리스(152.5%), 이탈리아(137.9%)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현재 프랑스의 재정 건전성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재정 부실이 심각했던 스페인(103.5%), 포르투갈(96.4%)보다 나쁜 수준이다.

만성적인 재정적자도 문제다. 지난해 프랑스의 재정적자 비율은 GDP 대비 -5.8%를 기록했다. 1년 동안 나라에 들어온 돈보다 나간 돈이 5.7% 많았다는 뜻이다. 이는 그리스(1.3% 재정흑자), 이탈리아(-4.3%), 스페인(-2.5%)보다 높은 수치다. 유럽연합(EU)에서는 재정적자 비율이 -3% 이내여야 안정적 수준으로 본다.

시장 불신은 국채 금리에 반영됐다. 26일 기준 프랑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3.5%로 그리스(3.44%)를 넘어섰다. 이는 2012년 유로존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이다. 독일 국채와의 금리 격차도 0.8%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증시도 요동치며 CAC40 지수는 1.7% 급락했고 BNP파리바·소시에테제네랄 등 대형 은행주는 6% 이상 폭락했다. 은행이 국채를 대량 보유하고 있어 금융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바이루 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440억유로(약 65조원) 규모의 적자 감축안을 제시했다. 공무원 감축, 의약품 보조금 삭감, 공휴일 2일 폐지, 연금 상한제, 복지 지출 동결, 일부 세목 인상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여론은 비판적이었다. 특히 공휴일 축소에 대해 국민의 84%가 반대했고 좌우 정당 모두 긴축안에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선언했다.

정면 돌파를 시도는 오히려 내각 붕괴 위기로 번졌다. 주요 매체들은 여소야대인 프랑스 정치 상황을 감안할 때 다음 달 총리 신임 투표가 통과보다 부결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내다봤다. 마크롱 대통령은 “나라가 위험에 처했다”며 개혁 의지를 다졌지만 이미 국가 이자 비용만 연 660억유로(약 107조원)에 달해 국방비를 웃돌고 있다. 현 상태가 지속되면 2029년 이자 비용은 연 1000억유로(약 163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프랑스는 유럽연합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약 15%, 유로존 국가부채의 20% 가까이 차지한다. 전문가들은 유로존 2위 경제 대국인 프랑스가 흔들릴 경우 과거 남유럽 재정위기와는 차원이 다른 충격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프랑스는 경제 위기에 더해 이를 해결할 정치적 리더십마저 실종되면서 완전한 교착 상태에 빠졌다. ‘복지국가’ 달성을 위해 희생한 재정 건전성의 대가가 이제는 유럽 경제 전체를 뒤흔드는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프랑스 경제 위기의 현주소
2025년 들어 프랑스의 경제 지표는 잇따라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막대한 국가 부채: 2025년 1분기 기준, 프랑스의 국가 부채는 약 3조 3천억 유로(약 5,000조 원)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14.1%에 달하는 수치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내에서 그리스, 이탈리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습니다.

만성적인 재정 적자: 프랑스는 EU의 재정적자 권고 기준인 GDP 대비 3%를 훨씬 초과하는 5.8%의 재정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나라 살림에 들어온 돈보다 나간 돈이 훨씬 많다는 의미입니다.

금융 시장 불안: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로 프랑스의 국채 금리가 한때 그리스를 추월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신용등급 강등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겹치며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경제 위기의 주요 원인
1. 구조적인 공공지출 문제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복지, 교육, 의료 등 공공 부문에 대한 지출 비중이 유럽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만성적인 재정 적자의 구조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적자를 부채로 메우는 관행이 반복되면서 국가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2. 코로나19와 에너지 위기 대응
에마뉘엘 마크롱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천문학적인 재정을 투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가 부채가 급격히 증가하며 재정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3. 정치적 불안정과 개혁 실패
마크롱 대통령은 막대한 부채를 줄이기 위해 연금 개혁, 공휴일 축소 등 고강도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국민적 반발과 정치적 분열을 초래했습니다. 특히, 마크롱 대통령이 의회 해산 후 실시한 조기 총선에서 패배하며 정치적 리더십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후 구성된 내각은 연이어 의회의 신임을 얻지 못하고 붕괴 위기에 처하는 등 극심한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치적 불안정성이 개혁의 발목을 잡으면서 경제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프랑스는 높은 수준의 복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만성적인 재정 적자 구조에 더해, 코로나19와 같은 외부 충격, 그리고 개혁을 추진하지 못하는 정치적 리더십의 부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IMF 구제금융까지 거론되는 심각한 경제 위기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


프랑스는 공공지출(복지)에 예산이 너무 많이 투입되고

자국 산업은 명품산업 화장품 방위산업. 등 다른 나라에게 시장을 점점 내주는 등 수출구조도 약화됨

 

긴축재정을 위해 휴일축소 복지축소 등 정책을 하려해도 한번 줬던걸 뺏어가는것을

국민들이 용납하지 않아 실패 
국민들이 아몰랑 다 같이 죽자 하고 공동체의식이 거의 중국수준.
이제 구제금융 이야기까지 나오는 실정.

IP : 183.98.xxx.9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25.9.9 11:46 PM (218.39.xxx.154)

    남일이 아니네요 ㅠㅠ

  • 2. 문제네요
    '25.9.9 11:49 PM (121.173.xxx.84)

    유럽 기울어가는 나라들이 많고 당장 미국도 이상하고 세계 곳곳에서 위기인 곳들이 많은데 이러다보면 결국 전쟁으로 이어지거든요.

  • 3. ㅡㅡㅡㅡ
    '25.9.9 11:54 PM (58.123.xxx.161) - 삭제된댓글

    이재명 하는짓보니 우리도 저렇게 될수 있겠다 싶네요.
    프랑스도 진작에 연금개혁 등 했어야했는데
    1900년대 초반 사회주의 기반 기조를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으니 지금시대에 버틸 재간이 없겠죠.

  • 4. ㅡㅡㅡㅡ
    '25.9.9 11:55 PM (58.123.xxx.161) - 삭제된댓글

    프랑스도 진작에 연금개혁 등 했어야했는데
    1900년대 초반 사회주의 기반 기조를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으니 지금시대에 버틸 재간이 없겠죠.
    저꼴을 보고도 이재명정부는 모든 국민 하향평준화
    사회주의 체제릏 따라가려 하고 있으니
    우리도 저렇게 될지도 모르겠군요.

  • 5. *******
    '25.9.9 11:56 PM (211.219.xxx.186)

    복지도 어느 정도 기여하겠지만서두 유럽 국가는 코러나와 모바일시대부터 그냥 주저 앉은 느낌.
    마크롱이 어디선가 그랬어요.
    '프랑스의 미래가 없다.
    AI니 하는 미래 먹거리도 금융도 없고 심지어 대중이 열광하는 문화도 없다.'

  • 6. ..
    '25.9.10 12:13 AM (148.252.xxx.49)

    좌파모델이 실패해서 전세계가 우익으로 변했죠. 그러다보니 좌파하면 실패 전형이 되서 민주당이 극구우겨 본인들은 좌파아닌 보수라고 강조하는 웃지 못할 해프닝. 울나라 민주당이 모델로 삼는 유럽도 실패임을 보여주는데 우리 큰일이에요 민주당의 이재명. 이재명이 본인 가치관 정치적 신념버리고 노선 변경해야하는데 그럴지가?ㅠ. 이재명이 꿈꾸는 기본소득은 왠만한 서구 복지국가도 안하는 앞서가는 개념이에요. 저나라들이야 대대로 식민지로 부 축적한 부자나라들인데 한국은 어쩌려고?

  • 7. ㅇㅇ
    '25.9.10 12:15 AM (211.246.xxx.52)

    세계대전 2번 겪고
    냉전시대 끝내고 평화롭게 살았더니만
    번영의 시대 끝나고
    코로나 때문인지
    예기치않은 금융위기로
    전세계 공황이 오겠군요

    공황 타계하겠다고 제3차대전을
    일으키려는 악귀같은 각국의 지도자가
    나타나지 말길 기원합니다

  • 8. 한국은
    '25.9.10 12:30 AM (49.168.xxx.233)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등 나랏돈 다 내돈 하는 인간들이 문제였죠
    뭔 좌파 우파 이재명타령

  • 9. ......
    '25.9.10 12:49 AM (183.98.xxx.93)

    한국도 정치적 한쪽의 우나 좌가 진리인것 처럼 종교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주의 지나친 도덕적 우월감에 취해있지 않고

    냉정하게 한국의 산업을 지키고 발전시킬 궁리를 해야하고

    경제가 안정될수 있는 현실적인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너무 이상주의에 빠지거나 너무 복지부동하지 않고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균형적인 시각이 필요해요.

    국민들도 자기 코앞에 밥그릇만 보지말고

    국가와 공동체의 운명도 돌아봐야 합니다.

  • 10. ///
    '25.9.10 2:16 AM (58.228.xxx.121)

    민주노총의 노동운동 롤모델이었조
    나눠서 일하고 나눠 먹자 .

  • 11. ..
    '25.9.10 2:35 AM (1.233.xxx.223) - 삭제된댓글

    프랑스식 이명박 대통령의 장기집권 결과에요

  • 12. ..
    '25.9.10 2:36 AM (1.233.xxx.223)

    프랑스식 이명박 장기집권 결과라고 생각해요

  • 13. 아니
    '25.9.10 6:54 AM (223.38.xxx.116)

    우가 집권하고 한 일이 뭐냐고요.
    나라 곳간 털어 제 주머니 채우기 혈안에
    국부 유출에 싼마이들이 국격도 떨어뜨려
    우가 잘 하면 표 주죠.
    얼마나 더 털리고 당해야 하죠?
    국가와 국민은 안중에도 없고
    집권하면 호시탐탐 전쟁도 하려하고.
    제 정신이면 어떻게 표 주냐고요.

  • 14. 그새끼술쳐먹고
    '25.9.10 7:55 AM (175.124.xxx.136) - 삭제된댓글

    거니가 빼돌린돈만 얼마냐!
    뇌물은 애교.
    제3국에 빼돌린 돈을 알고도 지지하는 모지리들.

  • 15. ㅇㅇ
    '25.9.10 8:51 AM (211.234.xxx.150)

    민주당이 유럽복지 매번 얘기했는데
    유럽 무너지고 극우가 집권하니

    이제는 자기들이 실용주의 중도라고 ㅎ

  • 16. 부자감세 그만
    '25.9.10 9:59 AM (222.110.xxx.100)

    그래서 윤석열이 나라를 망하게 하려고 작정을 했다고 봅니다. 부자감세, 법인세 인하로 나라 곳간을 거덜냈으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1837 심우정 딸 채용 위법 확인 12 MBC 2025/09/10 2,828
1751836 훈련소 퇴소식때 꽃다발 준비해야 하나요? 21 논산훈련소 .. 2025/09/10 1,804
1751835 완전 직모이신분들 헤어 손질 어떻게 하세요? 1 완전 직모 2025/09/10 504
1751834 이번정부 장차관인사 명단보고싶은데 어디서볼수 있어요? 바다 2025/09/10 272
1751833 글루콤은 매일 며칠정도 연속해 먹음 되나요? 2 ^^ 2025/09/10 1,204
1751832 지덕체가 골고루 충족된 자녀가 최고더라구요. 14 애들키워보니.. 2025/09/10 3,302
1751831 모티브있는 화려한 반지는 몇번째 손가락에 끼세요? 6 ,,, 2025/09/10 927
1751830 민어회는 무슨맛인가요? 12 ... 2025/09/10 1,831
1751829 우리나라 향후 산업은 뭘까요? 11 .. 2025/09/10 2,010
1751828 혹시 선택약정으로 폰살때 어디가 쌀까요? 2 핸드폰기종 2025/09/10 468
1751827 웨이브 머리이신분들 15 고양이집사 2025/09/10 2,366
1751826 나이키 상품 바꾸기 4 2025/09/10 1,023
1751825 첫 시도 들깨탕 ㅎㅎ 8 2025/09/10 1,450
1751824 인덕션에 전원이 안들어 옵니다 9 ??? 2025/09/10 1,289
1751823 공장형 치과에서 임플란트 끝냈어요 14 …. 2025/09/10 3,404
1751822 개인병원 소변검사요 5 .. 2025/09/10 1,169
1751821 천주교식 장례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6 원하시는대로.. 2025/09/10 1,198
1751820 공대꼭 서울가야하나요? 12 공대 2025/09/10 2,024
1751819 옷살때 누구한테 물어보면 8 .. 2025/09/10 1,457
1751818 가족의 우울증 아이에게 알려야 될까요? 30 엄마 2025/09/10 4,733
1751817 인스턴트 가루커피중에 최고급은 뭔가요 37 dd 2025/09/10 5,078
1751816 테무 물건 어때요? 24 어우야 2025/09/10 2,076
1751815 정시에서 수학,영어만 잘해도 지방대 간호학과 갈 수 있나요? 8 수시6장 2025/09/10 1,586
1751814 아~ 날씨가 너무 좋아요~ 10 좋다 2025/09/10 2,144
1751813 사형제도 운영했으면 9 ㅇㅇ 2025/09/10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