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news.nate.com/view/20250716n01259?mid=m02
현재 지방 재정은 취득세나 보유세 등 부동산 관련 세수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소비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세입원을 늘려야 한다는 점도 지방소비세 인상의 필요성으로 거론된다.
한국지방세연구원 관계자는 "지방세가 부동산 취득이나 보유세 위주로 경기 상황에 따라 크게 좌우되다 보니 안정적인 세원 확보가 쉽지 않다"며 "일반 소비에 대한 과세 세원을 지방이 더 많이 가져갈 수 있도록 소비세 이양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정기획위는 지방소비세를 인상하는 대신 국고보조금 사업처럼 중앙정부가 직접 설계·관리하던 사업을 지자체가 스스로 계획하고 집행하도록 이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