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정할머니가 오늘 내일 하시는데요.
부모님과 같이 상주역할 할 예정이예요.
오빠는 해외에 있어서 제가 상주역할을 해야 되는..
조의금을 장례식 시작 때 부모님께 드려야 되는지
장례식 끝나고 부족하거나 필요한 비용 더 얹어서 드려야 되는지 몰라서요.
처음이라 여쭤봅니다.
남편은 지금 미리 드리라는데..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어렵지는 않아서
장례식 끝나고 드리는게 낫지 않나 생각해요.
보통 어떻게 하나요?
친정할머니가 오늘 내일 하시는데요.
부모님과 같이 상주역할 할 예정이예요.
오빠는 해외에 있어서 제가 상주역할을 해야 되는..
조의금을 장례식 시작 때 부모님께 드려야 되는지
장례식 끝나고 부족하거나 필요한 비용 더 얹어서 드려야 되는지 몰라서요.
처음이라 여쭤봅니다.
남편은 지금 미리 드리라는데..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어렵지는 않아서
장례식 끝나고 드리는게 낫지 않나 생각해요.
보통 어떻게 하나요?
상주면 조의금 안 내지 않나요
상주가 무슨 조의금을 내나요?
님(또는 남편분) 앞으로 들어오는 조의금 말하시는건가요?
조부모 장례에 조의금 내는 얘기는 처음 들어요
장례비를 낼 수는 있겠지만요
정산하고 모자라면 그때 조금 보태세요
손주가 그렇게까진 안하죠. 혹여 직장이나 친구들이 부조해주면 그냥 받으시고, 답례를 하시면 됩니다. 굳이 장례비용에 보탤 필요는 없죠. 어차피 님이 다 갚아야 하는거고. 부모님이 장례비정도는 들어올수 있는게 일반적이죠. 너무 형편이 어렵고 손님이 없어서 장례비가 없다고 하면 모를까.. 일반적인 평범한 사람 기준으로는 그렇습니다. 부모님이 알아서 하게 놔두세요
안 내셔도 됩니다
아..그런가요? 제가 상을 한번도 안치뤄봐서.
그래도 부모님께 드려야 되는 돈이 있지 않나해서요.
그럼 장례식 끝나고 보약지어 드시라고 챙겨드리면 되겠어요.
경상도도 다 다르지만 딸한테 받는집 있어요. 그리고 더 얻어서 드리지 마세요. 그건 부모님이 알아서 하셔야죠. 돈 없어서 부탁하면 오빠랑 상의해서 반반 해서 드리세요.
우리집 양쪽 4번
그리고 친인척들
한번도 손주들 안했어요
근데 지난번 여기 게시글에서
손주도 한다는소리에
깜짝 놀람요.
그리고 본인이 상주인데 조의금을 왜내요??? 안내도 됩니다. 지방마다 좀 다른데 시골같은데서는 사위는 내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사위는 손님이라고 해서 부조를 하는 전통(?)인데. 요즘엔 안그럴껄요. 예전에나 그랬지. 요즘엔 사위도 상주잖아요
네 감사합니다.
부모님 옆에서 상주 노릇만 잘하면 되겠어요.
손주라도 부모님 계시면 상주는 부모님이 되실테고요,
저는 할머니 상에 조의금을 냈습니다.
부모님이 너무 연로하시거나 사정으로 원글님이 상주를 하신다면 조의금 안하셔도 될듯하고요.
안냅니다...
나이만 먹었지 경험이 없어서
부모님 옆에서 상주역할 잘하고
도움요청하시면 형제들과 상의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주라 안내요.
사위도 상주라 당연히 안내요. 저희는 30년전에도 손주 사위한테 부조하라 소리 안했어요. 사위는 말할 것도 없고요. 경남이고요...
그렇군요.
나이만 먹었지 경험이 없어서
상주는 부모님이고
아빠가 암환자셔서 저도 같이 상주역할을 하려고 해요.
일단 부모님이 장례비용 처리하시고
도움요청 하시면 형제들이 상의해서 처리해야겠습니다.
조언 모두 감사드립니다
상주역할이 아니라
부모님도 상주
님도 상주에요
장례 다 치르고 비용이 부족해서 좀 보태는거면 몰라도
손주가 부조를 왜해요 조문객인가요?
손주가 왜 내요;; 그냥 비용 보태는거면 몰라도요.. 다른 어른분들이 넉넉하시면 내지 마세요 그냥..
옛날 분들이 딸은 출가외인이고 사위는 남이라고 생각해서 그 기준으로 사위가 부조금 내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 경우가 있었는데 요즘은 딸도 당연히 상주이기 때문에 내실 필요 없어요.
상주 역할이 아니라 원래 상주예요;;;
저는 외할머니 장례때 오빠 각각 50씩 했어요.
이모 삼촌들이 어려우셔서..
엄마 아버지가 좀 크게 쓰시고 저희는 부조 형식으로 더 보태고 했어요.
직계가족은 상주라 조의금 안 냅니다.
장례비 다 정산하고 모자라면 각출하겠죠.
집집마다 다른 것 같아요.
저희집은 조부모상에 형제들 다 했어요.
딸, 손녀, 외손녀, 외손자가 부조하는 건 옛날식이에요.
아들, 친손자만 적통(?)으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다 다른 집안으로 치는 거...
친할머니 돌아가셨을때 결혼한 손녀는 조의금 내는거라며 엄마가 본인한테 달라고 해서 50만뤈 드렸는데..ㅠㅠ
출가외인이라 조의금 내는거라고 했어요
외할아버지 돌아가셨을때 부조했어요
할머니도 살아계시고 엄마봐서 했어요
근데 진짜 장례비가 부조금을 초과하는 경우는 완전 가족상 말고는 없을거 같아요 손님이 백명 좀 넘게 오셔도 2천만원 가까이 남았어요
저희는 사위도 다 냈어요
상주역할(손님 맞이)과 실제 상주노릇(장례비 내는거)은 다르죠
장남이 장례식 비용 다 부담하는데
다른 자식들이랑 형제들 손주들은 돈한푼 안내고
자기들 부의금만 챙겨가는 경우도 있잖아요
그럴경우 실제 상주에게 부의금 내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부의금이란게 장례비용 보태는거잖아요
상주로 이름올린다고 장례비에 하나도 안보태는건 아니다
싶거든요
집안마다 달라요
저희는 어른들이 서로 상의하고
안내는걸로 한다고 알려주셨어요
살아도 양가 상 당하면 항상 참석했어요.
오빠 오라 하세요.
친할머니 몇년전 돌아가셨을때
100만원 했어요.결국 상치르는거 보태는거고
엄마아빠 한테 보태는거잖아요.
남편과 협의해서 그렇게 했네요.
그냥 우리할머니 잘가시라고
인삿돈 드리고 싶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