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할때 정확히 계량해서 하시는 분들 계시죠?

... 조회수 : 736
작성일 : 2025-05-11 20:49:00

여러번 시도해봤는데 저는 잘 안되더라구요.
재능과 지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유튜브 영상같은거 찾아보고 그걸 기반으로 (찾아보고 내맘대로 하기)

대충 손가는대로 양념하다가 짜면 야채 좀 넣거나 물 좀 붓고 밍밍하면 조미료도 좀 넣고
이렇게 수십년 살았더니

도저히 못먹고 버려야하는건 거의 없어졌고 (많이 버렸죠. 밥하다 울었던 적도)

한달에  한번쯤은 기차게 맛있게 되고 대부분 그냥 먹을만합니다.

실은 꼬막무침을 했는데 넘 맛있게 된거예요

(밥 딱 반공기만 먹는 남편이 대접으로 밥을 퍼서 먹었어요. 아주 가끔있는 일)

꼬막무침해드셔보세요.  라고 글을 써볼랬는데

레시피 주시죠! 라는 댓글 주실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아  나는 왜 계량을 안하는가 싶어서  주절주절해봅니다.

지난번에 했지만  이번엔 너무 맛있었고 다음엔 또 맛있을 가능성이 있을까 싶은 꼬막무침의 추억

킥은 좋은 들기름 많이, 간장과 미림의 적절한 조화, 너무 짜지않게,고추가루 범벅하지 않기

꼬막은요.

많이 사서 살짝 삶아 까서 냉동해두면 (금방 삶은것 같은 맛은 아니지만 충분히 맛있어요)
무침도 해먹고, 솥밥도 하고, 강된장에도 넣고 부침개도 해먹고 든든합니다.
끝.

 

 

 

 

 

IP : 122.38.xxx.1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5.5.11 8:55 PM (1.237.xxx.119)

    만개의 레시피는 조금 간을 덜했다가
    먹어보고 추가하는 편입니다.
    기본은 고맙지만 개개인의 성향이니까요?
    하지만 제과제빵레시피는 잘 몰라서 꼭 계량합니다.
    일반적인 음식은 싱겁게와 알맞게의 중간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 2. 음..
    '25.5.11 8:57 PM (125.132.xxx.178)

    라면 끓일 때 아직도 물 계량하고 시간 설정해서 끓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른 건 대충 눈대중으로 해영.

  • 3. 하늘에
    '25.5.11 9:02 PM (210.179.xxx.207)

    저요.
    결혼 23년인데 계량컵, 계량스푼, 저울까지....
    라면 끓일때도 써요.
    좋은 레시피를 찾으면 프린트해서 파일에 넣어두고요. 자스민님 책같은 거 두고 정말 잘 활용해요.

    음식이 늘 기본 이상은 하고, 늘 일정해요.

    저는 배달이나 포장, 외식은 별로고 집밥이 좋은데... 이런 맛에는 뭐가 들어갔겠다... 그런 것도 잘 못하거든요... 눈대중도 그닥이라 무조건 레시피와 계량도구를 이용하는 거죠.

  • 4. 재능
    '25.5.11 9:36 PM (1.237.xxx.119)

    뛰어난 요리는 정말 타고난 재능 아닐까 싶어요.
    제친구는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하는 비결이 머리가 좋아서 인가 싶어요.
    매번 자주 하는 김치인데도
    짜지 않게 싱겁지 않게의 경계를 잘 알아내니까요.
    우리가 또 짠걸 아주 싫어해서 그런데 싱거우면 못먹어요.
    물한방울 안 들어가고 과일즙과 싱겁게 만으로도
    맛이 변질 되지 않게 보존이 가능한 김치를 고마워합니다.
    좋은 재료와 부지런한 재능에 감탄합니다.

  • 5. 50중반
    '25.5.11 10:11 PM (58.123.xxx.102)

    저는 계량안하고 바로 부어 넣어요.
    요리한지 거의 40여년 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1931 김문수 119 도지삽니다. 논란의 전말 38 ,, 2025/05/12 3,929
1711930 이재명 대통령 되면 집값이 오르나요? 21 부동산 2025/05/12 1,892
1711929 한덕수, 김문수 제안한 선대위원장 고사 14 그럼그렇지 2025/05/12 1,570
1711928 요로감염후 패혈증 4 시모 2025/05/12 2,031
1711927 사미헌 갈비탕 핫딜 알려주신분 10 2025/05/12 2,453
1711926 민주 "검찰 수사·기소 분리 및 검사 파면제도 도입&q.. 33 좋아요 2025/05/12 2,809
1711925 전세가 많이 올랐네요. 2 ... 2025/05/12 1,695
1711924 신춘문예 백일장 등 질문 1 bb 2025/05/12 455
1711923 보증금 1억. 월세 얼마로 바뀌나요? 2 월세전환 2025/05/12 1,753
1711922 며칠 일한 남자근로자가 악귀처럼 물고 늘어지네요. 3 끔찍 2025/05/12 2,097
1711921 괜히 사업을 시작했나봐요. 7 이제무섭 2025/05/12 3,162
1711920 김문수 배우자 설난영씨? 38 poscg 2025/05/12 5,542
1711919 남편이랑 여행 가면 편하세요? 27 fff 2025/05/12 3,276
1711918 김문수 3 잘문이요 2025/05/12 396
1711917 씽크대 걸레받이 높이 5 ... 2025/05/12 514
1711916 이준석 실제 본 지인이 75 ㅇㅇ 2025/05/12 24,206
1711915 삼전 앞으로 좀 오를까요? 2 .. 2025/05/12 1,463
1711914 일본군 ‘위안부’ 피해 이옥선 할머니 별세…생존자 6명 남아 3 ㅅㅅ 2025/05/12 584
1711913 실시간으로 뜨고 있는 이재명 후보 공약들이래요 10 민주당홧팅 2025/05/12 1,412
1711912 웨딩화보 이뻤던 연예인 있나요? 11 ... 2025/05/12 2,010
1711911 밑에 떡 망친 분 글을 읽고서 9 망친빵 2025/05/12 1,221
1711910 요즘 집값 오르고 있나요? 25 .. 2025/05/12 3,483
1711909 대입 다 끝나면 편해지나요? 18 입시 2025/05/12 2,198
1711908 남는 쌀 어떻게해야할까요? 18 2025/05/12 1,289
1711907 100유로나 달러 지폐를 잔돈으로 교환 5 해외 2025/05/12 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