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거지후 마른천으로 그릇 닦는 이유는?

조회수 : 6,314
작성일 : 2025-02-22 16:08:40

매일쓰는 밥그릇, 국그릇, 식기들 설거지후 젖은 그릇을 마른천으로 닦아 소독기에 넣어 소독을 마치면 그릇장에 넣더라구요.

직접 물어보기 조심스러운 사이라 못물어봤어요

마른천 닦기는 불필요한 작업으로 보이는데

IP : 182.221.xxx.239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2.22 4:11 PM (1.232.xxx.112)

    물기 묻은 그릇에 세균 번식할 수 있으니? 냄새도 날 수 잇고요

  • 2. ddbb
    '25.2.22 4:15 PM (118.235.xxx.140) - 삭제된댓글

    젖은 상태로 있는게 일단 위생 상 좋을 게 없고 그릇자체에도 안좋아요 또 물자국도 안생기게 할 수 있고요

  • 3. ....
    '25.2.22 4:15 PM (223.38.xxx.74)

    죽고 사는 일이 아니면 한눈 질끈 감고 살아요.

  • 4. 땅지
    '25.2.22 4:19 PM (106.101.xxx.42)

    저는 닦는게 더 위생적이다 생각하는 사람이라 물기 잘 마르도록 겹치지않게 자연건조시켜요
    행주에 먼지묻는게 더 싫어서요

  • 5. 소독기가...
    '25.2.22 4:20 P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건조기인가요?
    그냥 빨리 소독건조하려고 그러는걸까요?
    집안일은 대부분 합리적인 판단보다 습관적으로 혹은 주관적인 판단으로 하게 되는것 같아요.

  • 6. ...
    '25.2.22 4:24 PM (106.102.xxx.230)

    그러게요. 궁금하네요. 소독기 쓰면 건조는 안되나요? 소독기를 안 써봐서...

  • 7.
    '25.2.22 4:25 PM (140.248.xxx.40)

    유럽은 그렇게 안하면 석회수라 얼룩이 장난 아니예요.
    특히 커트러리랑 유리컵이요.

    근데 보통 한국식 설거지는 그릇 건조대 건조끝으로 끝내지 않나요?

  • 8. 그게
    '25.2.22 4:26 PM (217.149.xxx.171)

    유럽 석회 많은 수돗물로 설거지하면
    꼭 행주로 닦아야 얼룰덜룩 석회가 안 남아요.

    우리나라에서는 자연건조가 최고지만
    건조대에 쌓아놓는거 보다는
    닦아서 정리해놓는걸 선호하는 사람도 있고요.

  • 9. ㅇㅇ
    '25.2.22 4:27 PM (119.198.xxx.247)

    남은기름기 제거도하고 노멀하게 설거지후 더 뽀송하게 닦아요 전용행주 수십장 서랍에넣고써요

  • 10. 그게
    '25.2.22 4:27 PM (217.149.xxx.171)

    아 소독기에 넣으면
    원글님 말대로 불필요한 과정인데....

  • 11. 그런데
    '25.2.22 4:36 PM (122.36.xxx.14) - 삭제된댓글

    예전에 그랬죠
    근데 마른 행주 먼지 뭍고 나중엔 젖어서 비위생적이라는 실험도 있었어요
    호텔이나 식당이야 얼룩 때문에 닦겠지만요

  • 12. 뜨거운
    '25.2.22 4:39 PM (218.152.xxx.27)

    뜨거운물로 헹구면 물기 금방 사라져요...

  • 13. ㅇㅇ
    '25.2.22 4:40 PM (222.233.xxx.216)

    저는 행주질 안합니다 행주가 얼마나 깨끗할지 모르죠
    엎어서 물 빠지면 돼요

  • 14. 제가
    '25.2.22 5:00 PM (175.192.xxx.94)

    그런 사람인데 매 설거지마다 하는 건 아니고 저녁 설거지 하고 주방 일 마무리하면서 그렇게 해요. 싱크대에 뭐 나와 있는거 싫어해서 손설거지 하면 뜨거울 물로 마지막 헹구고 물 뚝뚝 떨어지지 않을 정도만 되면 마른 거즈 행주로 싹 닦아서 착착 넣습니다.
    행주는 한 8개 이상 가지고 있어서 매일 새로 빨아 놓은 걸로 쓰고요.

  • 15. .....
    '25.2.22 5:12 PM (220.118.xxx.37)

    가사 기준이 높은 분들이 깔끔하게 그리 하시는 듯. 설거지마치면 부엌이 완전 깨끗. 근데 행주관리가 또 일이라 포기.
    전 현실적으로 유지하자는 주의라, 수건은 반 접어 쌓아놓고(어차피 한 번 쓰는데), 설거지는 식세기가 건조까지 마치면 식기장에 넣는 것만 해요(손으로 닦은 냄비류는 마를 때까지 걍 엎어놓았다가 나중에 넣음). 아무래도 살림살이가 거칠고 투박하죠.

  • 16. 그저
    '25.2.22 6:04 PM (211.234.xxx.220)

    제 경우는 그릇 나와 있는 거 싫어서
    닦아서 빨리 넣기도 해요

  • 17. beechmount
    '25.2.22 6:18 PM (51.199.xxx.27)

    유럽. 퐁퐁물에서 그냥 빼서 행주로 닦는 집들이 대부분

  • 18. 자연건조
    '25.2.22 6:18 PM (211.241.xxx.107)

    행주로 닦는거 안 좋아해요
    행주가 먼지를 일으키기도 해서 엎어 물기 마르면 그릇장에 넣어요.
    가끔 양이 많아서 빨리 말리고 정리하고 싶을땐 뜨거운 물로 씻고
    그릇의 겉면만 행주로 닦아요

  • 19. ㅣㄴ
    '25.2.22 6:32 PM (121.142.xxx.174)

    그릇에 행주 먼지 묻는게 더 싫어요.
    떡 찔때 떡에 베보자기 자국 나는것도 싫어요

  • 20. 음..
    '25.2.22 7:17 PM (221.140.xxx.8)

    천으로 닦는게 더 세균있다고 하던데.

  • 21. 물방울
    '25.2.23 12:36 AM (117.111.xxx.248)

    자국 때문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8986 처음하는 아귀 요리 간단히 해봤어요 1 대강요리사 2025/02/22 792
1688985 오이볶음문의 9 ... 2025/02/22 1,066
1688984 네이버랑 당근 아이디 도용당했어요 7 어이없음 2025/02/22 1,466
1688983 사회에서 서울대와 연고대간 차이가 큰가요? 34 궁금 2025/02/22 5,306
1688982 쿠팡 연어 할인 올려주신 회원님 7 이뻐 2025/02/22 2,651
1688981 목뒤에 피지낭종이 있는데요 실비가 될까요? 11 복잡미묘 2025/02/22 2,428
1688980 여대출신이 아니라도 여자면 채용 차별하지 않나요? 1 ........ 2025/02/22 633
1688979 심은경은 한국서 잘나가다 왜 갑자기 일본간건가요? 13 ㅇㅇ 2025/02/22 10,196
1688978 국민연금 추납에 대해 여쭈어 봅니다. 11 ㅇㅇ 2025/02/22 2,453
1688977 강아지 사료 먹는 소리는 참 듣기 좋아요ㅎ 8 ... 2025/02/22 996
1688976 "노상원이 말한 '자기'는 김건희다" 5 김명신 ㅎㅎ.. 2025/02/22 5,555
1688975 관리비 50 나왔네요 53 관리비 2025/02/22 14,983
1688974 혼자서 즐기는 행복 4 ㅇㅇ 2025/02/22 3,065
1688973 수영 다녀오고 꿀잠 ㅋㅋ 5 2025/02/22 1,885
1688972 인간관계상담을 쳇지피티와 하니까 11 ㅇㅇ 2025/02/22 4,621
1688971 쭈꾸미 맛있어요 3 .. 2025/02/22 939
1688970 눈썹뼈부분 누르면 아프신가요? 3 바다 2025/02/22 907
1688969 집회 마치고 들어갑니다 20 즐거운맘 2025/02/22 1,912
1688968 Sns 안하시는분 계세요? 21 ... 2025/02/22 3,012
1688967 캡틴 아메리카 구속됐네요 14 ........ 2025/02/22 5,109
1688966 강남 애슐리or송파장지 빕스 11 llll 2025/02/22 1,377
1688965 7시 정준희의 토요토론 ㅡ 윤석열의 파시즘, 한국의 엘리트들은.. 1 같이봅시다 .. 2025/02/22 415
1688964 식당 문의드려요 2 식당추천 2025/02/22 538
1688963 처음 우리 나라 오는 조카 선물 뭐가 좋을까요? 9 궁금이 2025/02/22 898
1688962 성주참외 7 ... 2025/02/22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