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영어,운동 두개 다녀요.
수학은 최상위까지 그럭저럭 하고
책은 정말 억지로 읽히는데, 글쓰기가 문젭니다. 아이들 대학 보내신분들..
중고등때 글쓰기 중요하죠?
애가 학원 많이 다니기 싫대요.
제생각엔 수학은 좀 더 집에서 하고
논술 주2회 보내고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금 영어,운동 두개 다녀요.
수학은 최상위까지 그럭저럭 하고
책은 정말 억지로 읽히는데, 글쓰기가 문젭니다. 아이들 대학 보내신분들..
중고등때 글쓰기 중요하죠?
애가 학원 많이 다니기 싫대요.
제생각엔 수학은 좀 더 집에서 하고
논술 주2회 보내고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주3회 영어. 주2회 수학. 운동 주3, 책 안읽으면 논술 주1회
딱 그정도요.
중고등때 글쓰기 별로 안 중요합니다.
수행평가는 글 잘 쓰는 애 찾는게 아니라 주어진 조건 성실하게 체크한 애한테 좋은 점수 줍니다.
그리고 뭐 빠트리지 않으면 대개 좋은 점수 받고요.
수학을 중요하게 시작해야할 시점입니다.
치고 나가고 황소 가고 그러라는게 아니라 좀 더 집중해서 할 시기에요
책도 싫어하면 읽히지 마세요
책 안 읽어서 국어 못 하지 않습니다.
책 많이 읽으면 국어 더 잘 하게 되지도 않습니다.
수능도 내신도 마찬가지에요
그냥 머리 좋은 애가 잘 하는겁니다.
대치동 국어학원 원장들이 하는 말이에요.
책 많이 안 읽어서 국어 못한다는 말 하지 말라고요. 그냥 머리 안 좋아서 못하는거라고...
저도 수학을 좀 집중해보고도 싶은데
주변에 괜찮은 학원이 없어서요. 50분씩,학년섞어 하는곳들이 많네요. 2시간씩 집중해서 하는곳 있음 보내고도 싶은데
애가 최상위 본인 학년꺼 90퍼 이상 정답 나오면 따로 수학 보내지 마시고 논술보내세요.
책 읽고 느낀점 정리하고 이런 쪽으로요.
제가 이과형 아이 둘 키웠고, 대학 다 갔습니다.
요새 선행이 빨라지고 수학이 중요한 시대지만, 타고난 감 있는 아이에게 굳이 빨리 수학, 수학 안해도, 초 6부터만 시작해도 선행 진도에 문제 안생겨요.
오히려 너무 수학, 수학...하다가 골고루 발달을 못하고 영어와 국어가 약하게 되면 리스크가 크고, 이런 애들 남고 가면 많아요.
한국 입시는 한쪽이 무너지면 절대 안되요. 골고루 잘 하는 애를 뽑죠. 더우기 이제 입시에서 사회까지 봐야하니...
논술 시키고 책 읽으면 상식이 풍부해져서 사회에도 도움 됩니다.
정말 요새 이과 애들, 저도 이과 아이 둘 키웠지만, 인문 사회 상식 너무 부족하고, 그 머리로 수능 국어하느라 욕봤습니다.
수학은 어차피 타고난 머리 있고, 좋아하면 굳이 학원 안보내고 집에서 시켜도 하루 몇장 문제집 푸는거 후딱 해치워요. 징징거리지 않죠.
그런 애라는 전제 하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수학 나쁘지 않으면
빨리 논술 1년이라도 시켜서
글쓰기 형식이라도 익히게 하세요
서론본론결론 쓰기요
살 붙여서 분량 늘리는 법도 배우구요
윗 댓글처럼 머리 좋은 어들이 국어도 잘 합니다
형식이나 갖추라는 얘기예요
저도 한2년 글쓰기 연습시켜보고 싶어요.
글쓰기는 한번에 안되잖아요. 수학,영어는 제가 좀 봐줄 수있는데 글쓰기는 저도 어렵더라구요. 도움되는 친절한 댓글들 감사합니다♡
글쓰기도 수학 잘하는 애들이 잘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ㅠㅠ
논리력이 있어선가
저는 아이가 어릴때 수학이 중요하다고 주변 중고생 맘들에게 많이 들었어서 수학에 신경쓰며 키웠어요. 논술도 시켰는데 아이가 책읽는거 안좋아하고 수학이나 영어학원 보충이랑 시간겹치거나 하면 빠지다가 결국 그만 뒀어요
그런데 중학교때까진 문제풀고 암기하며 국어 잘했는데 고등가서 국어가 흔들리더니 결국 수능때 국어망치고 원하는 곳을 못가고 약대를 다닙니다
아이 어렸을때 국어를 쉽게 생각했던거 얼마나 후회했는지 몰라요
수학 잘하는 아이들 중에 국어가 약한 애들이 꽤 있는데
내 아이가 그런걸 놓쳤던 거예요
지금 5학년이 되는 거면, 저라면 아이 설득해서 중학교 입학 전까지 주1회 하는 논술 보내 사고력 키우고 수학도 보낼 거 같아요 그게 어려우면 아이가 어떤 거에 더 약한지 판단해서 약한 쪽을 우선적으로 보완할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