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 벨브 잠그던 아파트살다가 신축왔는데
집이 춥네요
구축은 바닥에 러그 깔아둔곳이 따끈해서
늘 그속에 다리 넣고 있었는데
여기는 신축 3년차
바닥이 안뜨끈해요
종일 24도에 맞춰두는데도 공기가 썰렁하고
같은 아파트 사는 친구가 껐다켰다하면 오히려
난방비가 많이 나온다해서 24에 고정해두는데
제가 사용이 익숙지 않아 그런지 ㅜ
구축 벨브 잠그던 아파트살다가 신축왔는데
집이 춥네요
구축은 바닥에 러그 깔아둔곳이 따끈해서
늘 그속에 다리 넣고 있었는데
여기는 신축 3년차
바닥이 안뜨끈해요
종일 24도에 맞춰두는데도 공기가 썰렁하고
같은 아파트 사는 친구가 껐다켰다하면 오히려
난방비가 많이 나온다해서 24에 고정해두는데
제가 사용이 익숙지 않아 그런지 ㅜ
현재 실내온도보다 설정온도를 높여서 보일러를 한 시간 정도 돌려보세요. 저희 집은 한 시간만 돌리면 온 바닥이 뜨끈해져요.
구축보다 훨씬 온도유지가 잘 돼서 난방비 정말 조금 나와요.
그리고 아무리 한파여도 보일러 없이 22,23도 유지되고요.
실내온도는 23도 정도로 유지되는데
바닥은 안따뜻해요
실내온도가 24도면 25도나 26도에 맞추어서 보일러켜야
따뜻해져요
일단 따뜻해지면 저녁에 조금만 난방해도 돼요
바닥이 안뜨겁더라고요. 바닥재 탓인지. 난방해도 막 훈훈한 느낌은 아니고 또 반댜로일때도 막 엄청 차갑지 않죠. 완전 입식생활해야됩니다.
여러 집을 살아보니 난방온도를 믿을 수가 없어요
어느 집은 20도여도 뜨끈하고요 어느 집은 25도여도 춥게 느껴지고요
난방기 온도 재는 곳이 다 다른건지...
지금 추우면 숫자에 연연하지 말고 온도를 올려보세요
집이 넓으면 따뜻한 곳만 따뜻해요
저희집은 26도에 온도설정 자동온오프
친정은 20도에 살고 계시더라구요
넘추워서 제가 있는 동안 하루 2,3시간 연속 난방하니 겨우 22도 올라갔어요
다른브랜드지만 15년된 50평아파트
위 댓글에 이어서ᆢ
난방이 안 돌아서 안 따뜻한거예요
위아래 주위에서 난방을 하니까
기본으로 23도는 나오는거예요
저희도 신축 3년됐는데
난방 전혀안해도 24도이상 나와요
바닥이 차서 저녁에만 25,26도로 하고 난방해요
1월에
10일간 여행가면서 보일러 20도로 맞추고 켜놓고 갔는데
집에 와서 보니 그 기간 도시가스 사용량이 0이었어요
실내온도가 20도이상 유지가 되었다는거죠
보일러가 돌아가는지 보셨나요? 저희 아파트 보일러가 설정온도 현재온도가 2도 이상 차이나야 불이 들어와요. 온도만 보지말고 보일러 돌아가는 사인이 켜지나 보세요. 그렇게 한시간 돌려도 안 따뜻하면 그건 이상한거죠. 저희 신축이에요.
실내온도보다 높게 해야 보일러가 돌아가니까 따뜻해져요. 난방수 온도가 낮아도 안따뜻해져요. 겨울엔 60도에서70도는 해놔야 따뜻해져요.
신축 2년차 남향이에요
실내온도 23도여도 바닥이 따뜻? 공기 훈훈? 그런건 없구요
낮에는 해가 잘 들어서 난방을 안하고 초저녁부터 온도를 실내온도보다 1도 높이 설정해서 돌려요.. 근데 그렇다고 엄청 훈훈하거나 그렇지도 바닥이 따뜻하지도 않아요
군데군데 그래도 난방이 되긴하는구나..하고 발바닥에 느껴지는 정도라고나 할까요?
2월 관리비 떨고 있는 중입니다
저도 22~23도인데 보일러 거의 안돌고 플리스 입고 있어요. 대신 가스비가 구만원대 나오길래 그냥 이정도로 겨울 보내려고요.
저도 22~23도인데 보일러 거의 안돌고 플리스 입고 있어요. 하루종일 이 온도로 켜둠. 대신 가스비가 구만원대 나오길래 그냥 이정도로 겨울 보내려고요.
저희 작년 입주한 신축인데 거실 월패드에 있는 온도가 달라서 아파트 단톡에 보정하는 방법 올라왔었어요.
거실만 실제 온도보다 3도 정도 높더라구요.
가지고 있는 온도 습도계를 봐도 차이가 났구요
저희는 그거 감안해서 현재 온도보다 2도 정도 올려 설정해서 돌려요.
방바닥 빨리 데우고 싶으면 난방수 온도를 올리면 빨리 데워진다고 들었어요 물론 가스비는 더 나오겠지만요
신축 아파트는 단열이 잘되서 실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요.
온도가 높으니 당연히 보일러가 자주 돌지 않죠. 그러니 연료비가 덜 나오구요. 그게 장점이죠.
그래도 바닥이 따뜻한걸 원하면 실내온도를 더 높혀줘야 보일러가 돌아서 따끈해집니다.
대신 연료비가 많이 나오겠죠.
트인 고층이고 샷시 단열이 잘되니까 환기를 자주 시키지 않는 이상
23도에서 오르내리고 해 좋은 날 낮에는 24도도 가요
신축은 더 잘 되겠죠
당연히 보일러는 안 돌아가고 공기는 따뜻하지만
바닥은 썰렁하겠구요
아침저녁으로 한두시간씩 보일러 일부러 돌리세요
지금 현재 온도에서 1도만 높이세요
무작정 온도 셋팅해놓으시면 난방비 폭탄됩니다
난방수 온도 높여보셰요
지금 온도보다 1도 높이세요.
설정온도가 똑같아서 난방 안돌아가는 것 같은데요.
해가 얼마나 드는지
바람부는 지형인지도 중요하죠.
한강 바로 앞은 바람 많아서 신축이고
아무리 올려도 한계있더라고요.
바닥재가 전에는 장판이고 지금은 마루 아닐까요?
장판 깔린 집이 바닥은 더 따끈하더라구요
마루는 열 전달이 덜 되는 느낌이에요
어딘가 밸브 같은게 잠겨있을 수 있어요
우리도 신축 입주했을때 바닥이 찼는데
관리사무실에 와서 뭔가 바꿔주고 가니까 바닥이 뜨끈해지더라구요.
25도 열병합인데 추워죽겠네요
집에서 경량 패딩, 조끼입어요
지역난방일 확률이 높은것같네요
신축 지역난방살다가 9년된 나름 준신축 도시가스인데
훨씬 따뜻해서 놀랬어요
아파트마다 다른건지 저희는 바닥 뜨끈뜨끈해요
이전 구옥 살때보다 난방비 적게 나오는걸요
바닥이 뜨끈한데 공기가 써늘한 집은
난방이 돌아가는데 단열이 약한 경우고
바닥은 미지근한데 공기가 더운 집은 난방이 아니라 햇빛으로 공기가 데워진 경우인데요.
24도인데 공기도 써늘하고 바닥도 차갑다면
온도 센서가 맞는지부타 점검해 봐야 할 거 같아요.
진짜 24도 맞는지요.
난방이 안 돌아 그런거 같은데요?
문열어서 환기시키면서 온도를 좀 낮추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