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직 자녀라고 부모에게 용돈 줄 수 있을까요?

... 조회수 : 3,797
작성일 : 2025-01-30 09:57:20

얼마를 벌어야 부모에게 돈을 줄 수 있을까요?


전문직 되기까지 30년 가까이 걸리는데,
의사라면, 사교육비부터 시작해서 의대졸업까지 수억은 들고,

(엄마 인건비 빼고요. 교육비만)
개업해서 자리잡기까지는 또 몇년이 들고.


자리잡으면 시집장가 가야하고.
걔네들도 애 낳아 키우려면, 시터 쓰고,
모아서 집도 사고.. 하려면

남는 돈이 있을까요. 

 

대출받아 개원하고, 집장만 할텐데, 

그거 갚는 것도 헉헉댈텐데 
부모에게 줄 돈이 있을까 모르겠어요. 

 

전문직도 이럴텐데, 나머지는 말할 것도 없고요. 

IP : 59.10.xxx.58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으유
    '25.1.30 10:01 AM (124.50.xxx.70)

    자식에게 돈 바라는거 자체가 문제임.
    지들 잘살고 손이나 안벌리면 되지 보상심리도 아니고 뭘 그리 바라는지.
    꼭 억지로 마지못해 자식에게 해준사람이 나중에 그렇게 바라더라구요.

  • 2. ..
    '25.1.30 10:03 AM (221.149.xxx.23)

    요즘엔 안 줘요. 사촌이 의사고 개원했는데 안 주고 가끔 큰 선물 합니다. 개원 때 대출 받으니 갚아야 하고 결혼하면 가정이 있는데 부모 용돈 주면 언제 살림 꾸리나요.

  • 3. .....
    '25.1.30 10:06 AM (125.180.xxx.142)

    자기만족으로 키워야지 보상바라고 키우면 실망 커집니다

  • 4. ...
    '25.1.30 10:07 AM (211.109.xxx.157)

    혼자서 감당하기는 조금 벅차지만
    형제가 둘이면 되더라구요
    저희 시부모님이 오십대 초반부터 거의 무일푼으로도 자식들 덕에 돈걱정 안하시고 지내세요

  • 5. 단적
    '25.1.30 10:11 AM (122.32.xxx.106)

    부익부~단적인예
    부모카드쓰고 넌 수입다모아라 하죠

  • 6. 중소
    '25.1.30 10:31 AM (112.162.xxx.38)

    다녀도 부모 힘들면 30이라도 드리는데
    전문직이 못드릴 이유 있나요? 수백 드리는것도 아니고 형편것 하는거죠

  • 7. ..
    '25.1.30 10:33 AM (118.235.xxx.135)

    길러준 값 갚는 것도 아니고
    용돈은 마음이죠.
    왜 못 드리나요?
    전문직아니고 월급쟁이들도 다 드리는 게 용돈인데

  • 8. ㅇㅇ
    '25.1.30 10:44 AM (118.235.xxx.133)

    못 드린다는 건 욕심이죠
    생활비도 아니고 간간히 드리는 용돈은 마음만 있으면 드리죠
    최저임금도 아니고 전문직이 돈없겠나요

  • 9. 웃기는게
    '25.1.30 10:45 AM (223.38.xxx.219)

    애들까지 몽클 턱턱 사입히면서 쪼들려서 부모 용돈 못준다는게 말이 되나요
    그저 며느리 빙의해서 시부모한테 나가는 돈 아까워 그러죠
    부모가 그정도 키웠으면 용돈 주는거 당연하다 생각합니다.
    저흰 양가에 드려요
    애들 우리 모두 명품 안 삽니다.

  • 10. 세상에
    '25.1.30 10:50 AM (1.235.xxx.138)

    정말 부모가 좋은 유전자 줘서 전문직까지 만들어줬음 보답은 당연히 하는거죠,.
    본인이 그냥 이땅에 떨어진줄 아나봄.
    전문직 아닌자식들도 부모에 대한 마음의 표현은 늘 하고 살아요. 더 잘벌면 더하는데..

  • 11. ㅇㅇ
    '25.1.30 10:55 AM (49.175.xxx.61)

    9급공무원도 10만원씩 주던데요. 마음이죠

  • 12. ....
    '25.1.30 11:01 AM (114.200.xxx.129)

    이건 자식입장에서도 생각이 다른것 같은데요 .. 제동생만 보더라도 사업하면서 30대 부터 엄청 벌기 시작했는데 저희 엄마는 일찍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홀아버지로 쭉사시다가
    지금은 아버지도 돌아가셨는데.. 그래도 말년에 성공한 아들덕분에 꽤 호강하시다가돌아가셨어요. 저수입은 제동생만큼은 못벌어서 그냥 먹는걸 위주로 아버지 챙겨드렸지만... 그래도
    아버지 생각하면 동생한테 고마움 감정많이들어요 ...
    월급쟁이로버는 사람들도 부모님 용돈을 드리는 경우 많은데
    전문직이면 사업하면서 돈 잘버는경우는 마음에 따라서다른거 아닌가 싶네요
    부모가 아닌 자식입장으로 생각해봐두요

  • 13. 욕심이죠
    '25.1.30 11:02 AM (218.145.xxx.232)

    여기 글에도 있었죠, 공무원이라도 20 만원드린다고. 주위애 중소댕겨도 20만원드려요, 병원비가 더 무섭다고 건강하시라고 말을 하도래요. 현실얘기하면 백화점 아동복에 몽클은 줄서요, 개당 180 마만원 촤하, 스케@ 유모차 280 만원, 입주도우미 300 장난아니죠, 버는 만큼 쓴다고 부모용돈이 아까워요?

  • 14. 세상은 혼자가
    '25.1.30 11:06 AM (218.145.xxx.232)

    아니예요, 혼자 공부해서 전문직 됐다고요? 그간 들어간 돈은 부모가 도둑질해서 지원했나요? 돈만 들어갔나요? 맘 졸리고 응원한 부모맘은 전혀 보이질 않았나요?
    기억하세요? 합격발표시 누구한테 첨 알리셨나요?
    함께 눈물 흘린 것은 부모예요

  • 15. 사촌
    '25.1.30 11:15 AM (221.164.xxx.72) - 삭제된댓글

    이비인후과 월급의사,37세 미혼
    부모.월350
    형에게도.지방대나와 중소기업다니는데 월50줘요(결혼했는데 좀 이해가 안가긴해요)
    엄마 전업이였구
    중소기업다니던 아버지 50중반에 퇴직해서 줄곧 놀아요
    온집안이 의대다니는 아들에게 몰빵했던 경우였어요

  • 16.
    '25.1.30 11:20 AM (221.138.xxx.92)

    양심은 있어야죠....다들 힘들게 살지만
    쪼개서 드리는겁니다.

  • 17. "사촌"님
    '25.1.30 11:39 AM (223.38.xxx.83)

    사촌이 이비인후과 의사니까 부모한테 매달 350씩 줄 수 있네요
    형에게도 매달 50씩 주다니...

    결국 자기 가족한테 매달 400씩 주는 거네요
    고소득 의사니까 가능하죠

    이래서 전국이 의대열풍인가봐요
    고소득 보장되는 전문직이니....

  • 18. 줄 수 있죠
    '25.1.30 11:44 AM (223.38.xxx.83)

    어제 댓글에서
    전문직 부부인데 양가에 매달 각각 200씩 드린다고 하잖아요
    매월 양가에 모두 총 400이 나간다잖아요

  • 19. 주변에
    '25.1.30 1:08 PM (122.37.xxx.108) - 삭제된댓글

    전문직 아들 장가갔는데도 엄마가 자산관리 해줘요
    전업며느리는 카드받아 생활하고요
    갭투자로 아파트 마련해 두었고 개업때도 보조해줘서
    엄마가 재산관리 해주면서 은퇴들 했으니 본인들 생활비도 쓰겠죠.
    부모가 재력도 능력도 있으니 젊은 며느리보다 자격 충분하긴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2768 서희원 넘 안타까워서 9 슬픔 2025/02/04 6,010
1682767 거실 커튼봉 추천 4 ... 2025/02/04 540
1682766 전한길 합격노트 5 ... 2025/02/04 2,387
1682765 자식이 노후보험 맞나봐요. 39 .... 2025/02/04 15,449
1682764 이런집 시터는 다시는 안할거예요 4 2025/02/04 3,730
1682763 락앤락 도자기용기 사이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댓글 감사합.. 2025/02/04 677
1682762 피부색 밝아지는 법 알려주세요 9 .... 2025/02/04 2,985
1682761 헌재 근처 내일도 복잡할까요? 2 젠장 2025/02/04 447
1682760 넷플릭스에 관객들 웃음소리나오는 미국 시트콤있나요? 2 .. 2025/02/04 1,176
1682759 헌재 탄핵심판변론은 생중계 안해주나요? 9 지금 2025/02/04 1,373
1682758 세상에 이 추위에 11 .. 2025/02/04 6,663
1682757 부대찌개 베이크드빈 넣으니 8 ㅇㅇ 2025/02/04 2,897
1682756 제주 항공권 5 제주 2025/02/04 1,314
1682755 쫀득한 감자조림 비법 있을까요? 9 0 0 2025/02/04 1,539
1682754 황현필 선생님 돌아 오시네요 9 2025/02/04 3,038
1682753 오리온 다이제 같은 과자 또 뭐 있을까요 3 .. 2025/02/04 1,256
1682752 피로감이 가시지 않는데 사우나 갈까요? 16 00 2025/02/04 1,954
1682751 남자아이 운전면허 종류 12 운전면허 2025/02/04 1,072
1682750 신반포 2차 재건축 12 ... 2025/02/04 3,012
1682749 지금 매불쇼 시작합니다 !!! 4 최욱최고 2025/02/04 874
1682748 시부모 안 모신 60대 시작은집들 -시모 60중반 돌아가심 7 2025/02/04 3,189
1682747 연말정산(주택대출상환이자) .. 2025/02/04 421
1682746 치앙마이는 몇 월에 가면 좋은가요? 13 2025/02/04 2,348
1682745 아들하나..제 노후는 일단 외로움은 따놓은거네요 ㅜㅜ 52 ㅜㅜ 2025/02/04 6,152
1682744 걸레슬리퍼 게으른 사람에게 좋을까요? 6 .. 2025/02/04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