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양가 어른들 임종 그리고 삶이 참 덧없네요

임종 조회수 : 13,220
작성일 : 2025-01-27 23:14:47

 

자주 시부모님 주말이면 같이 식사하고 서로 맘상할때도 있었고 이런일 저런일 함께 하다가 갑자기 돌아가시자 

받아들이기가 힘들달까 아니 너무 생소하고 적응이 안된달까 갑자기 닥친 일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고 

저기 땅 아래 누워계신다는게 시간이 흘러도 안믿겨요 

친정 부모님 임종 준비하면서 또한번 삶이 덧없고 허무하고 나와 어린시절 함께 울고웃었던 부모님이 떠나신다는게 너무나 삶이 덧없네요 이제 내가 앞으로 갈 차례구나 싶고 항상 함께 했던 가족이 갑자기 없다는게 너무나 믿겨지지가 않고 꿈을 꾸는것같아요 

부모님 병환 입퇴원 임종 장례 같이 치르며 형제 자매가 나와 남편은 있었지만 앞으로 우리 아이는 외동이라 의논할 상대도 없고 혼자 그 먹먹함을 이겨내야 할텐데 그것도 걱정이네요 

함께 했던 가족의 이별은 참인생에서 겪는 가장 힘든 일중 하나인것같습니다 인생이 참 허무하고 쓸쓸하고 슬프네요

IP : 73.221.xxx.232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토닥토닥..
    '25.1.27 11:21 PM (211.206.xxx.191)

    부모님 가셔도 마음 속에 계시잖아요...
    혼자 왔다가 어디서 왔는지 그곳으로 다시 혼자 가는 인생.
    오늘의 소소한 행복을 누리는 우리가 되어요.

  • 2.
    '25.1.27 11:21 PM (211.57.xxx.145)

    아이가 외동이면
    그런 고민 하던걸 82쿡 글로 봤어요

    남편은 형제가 있어 의논하지만
    본인은 친정 부모님 두 분을 혼자 챙기려니 힘들다고요
    남편과 의논해도
    맘이 같지않으니 안하는게 낫다고요....

    원글님 글 보니 그생각이 나네요

  • 3. 저두
    '25.1.27 11:21 PM (112.166.xxx.103)

    양가장례치르면서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거 느꼈고
    (일이 아니라 심리적인면에서..)
    애들이 외동아닌 거 다행이다 싶었네요

  • 4. 원래
    '25.1.27 11:36 PM (110.13.xxx.24)

    다 그런 거...

  • 5. 외동
    '25.1.27 11:39 PM (183.106.xxx.223)

    무남독녀로 부모님 두분 모두 임종후 처음맞는 명절이네요 아빠 돌아시고는 치매인 엄마 돌보느라 슬퍼할 겨를도 없다 엄마 돌아가시니 마음이 참 그렇습니다
    처음엔 멍하다 지난날의 서운하던 생각에 화도 나다 시간이 흐르니 또 다른 감정이 올라오네요
    이제서야 내 삶을 자각하고 내가 나를 돌보자 싶은데 그래본 적도 없어 막막해요 부모님 뒤치닥거리하다 애들은 훌쩍 커버렸고 남편도 시어머님 병환으로 맘쓰는 데... 명덜 앞에 마음이 복잡하고 어수선하네요

  • 6. ..
    '25.1.27 11:40 PM (115.143.xxx.157)

    그래도 나쁘진 않았던 사이라 그런거 같아요
    사이나쁘면 홀가분해하던데요
    저희집안은 가족친지들이 다 사이가 나빠셔
    평소에 많이 괴롭고
    헤어질땐 오히려 시원섭섭하단 반응이더라구요
    저도 잘 모르겠네요.
    남는건 역시 원글님 처럼 자식 사랑한 기억 마음 그런게 큰거같아요.

  • 7. 에잇
    '25.1.27 11:41 PM (112.167.xxx.92)

    피가 물 보다 진하긴요 사람나름임 혈연이 남 보다도 못한 파탄집구석이 있는걸

    형제가 우르르면 뭐하나요 동네 백수 건달 양아치놈들이라 애초 말을 섞어봐야 쌍욕만 나오는걸요 그애비부터가 백수 양아치라 그나물에 비빔밥들 있는게 징글징글

    차라리 외동이였으면 나혼자 깔끔하게 처리했죠 외동이 부럽

  • 8. ...
    '25.1.27 11:45 PM (193.43.xxx.114)

    적당한때 가시면 그런맘도 들긴하겠네요.

  • 9. ㅇㅇ
    '25.1.27 11:48 PM (39.117.xxx.171)

    20년있으면 70이 코앞이란게 안믿어져요
    초중고딩때도 대학때 신입사원때도 생생한데..
    다행인건 모든 인간은 죽는다는거죠

  • 10. 그게
    '25.1.27 11:58 PM (70.106.xxx.95)

    적당한 때 길게 고생 안시키고 가셔서 그런거에요

  • 11. ...
    '25.1.28 12:11 AM (39.7.xxx.16)

    남편이 무녀독남이고..저는 형제자매 많은집 딸인데...
    솔직히 큰 차이 모르겠더라고요. 다들 돕고 살아요.
    배우자 있으면 더 그렇고..

  • 12. 고등때
    '25.1.28 12:16 AM (211.108.xxx.76) - 삭제된댓글

    고등학교때 아빠가 돌아가셨어요.
    여름이었는데 아빠를 땅에 묻을때 까무러치듯 울었어요
    비가 오면 땅 속이 다 젖을텐데ㅠㅠ
    겨울에는 추워서 어떡해ㅠㅠ
    밤 되면 깜깜한데 혼자서 어떡해ㅠㅠ
    우리 아빠 혼자 여기 어떻게 두고 가냐고 발버둥치면서 울었어요.
    한동안 차가운 땅 속에 혼자 계실 아빠 생각 많이 했었네요.
    돌아가신지 30년이 넘었는데 보고싶은 아빠는 한번도 꿈속에 나타나주지 않으시네요.
    꿈 속에서라도 보고싶은데...

  • 13. ㅠㅠ
    '25.1.28 12:26 AM (211.218.xxx.216)

    요즘 엄마가 많이 아프셔서 이것저것 정리하시는 중인데 너무 기분이 이상하고 슬퍼요

  • 14. 생명은
    '25.1.28 12:51 AM (59.7.xxx.113)

    살아있을때 가장 찬란하고 영원히 찬란하려 고집부리지 않고 다음 세대를 위해 양보하잖아요. 덧없지 않으셨어요. 원글님처럼 고운 분을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해주셨고 고운 어른으로 자라도록 도와주셨잖아요. 그러니 이제 원글님이 이 세상을 마음껏 누리도록 양보하신거지요. 그러니 너무 슬퍼하지 마세요

  • 15. ,,,
    '25.1.28 5:47 AM (73.148.xxx.169)

    외동 상관 없어요 대부분. 부모 가실때 즘엔 손주도 다 커서 제 짝을 만나죠.
    결혼하면 본인 가족이 먼저라서 형제 자매 평생 없었던 거라 딱히 더 힘든 것도 없고요.

  • 16. 그래서
    '25.1.28 7:44 AM (172.224.xxx.29)

    둘째를 낳았어요. 아버지 일찍 돌아가셨을 땨 결혼한 상태가 아니라 남편도 없었고. 사촌은 본인부모 살아 있으니 내 마음 이해할 거라는 생각이 안들더라고요...
    근데 지금 50대가 되고보니 결혼했으면 배우자가 그 역할하거나 자식이 이해해줄 것 같아요..
    원글님과 남편분 자식이 결혼하고 자식있을때까지 오래사시면 걱정할 일 없을 것 같아요.....

  • 17. 별로
    '25.1.28 7:45 AM (172.56.xxx.127)

    장례 치뤄보면 형제보다 배우자가 천배 만배 나아요.

  • 18. ㅇㅂㅇ
    '25.1.28 8:17 AM (182.215.xxx.32)

    요즘은 결혼안하는 애들이 너무 많아서..
    외동아이 혈혈단신으로 남을까봐 걱정이에요
    그나마 외동사촌이 있어 다행이랄지....

  • 19. 저 위 생명은님
    '25.1.28 5:03 PM (39.116.xxx.154)

    깊이 있는 답글
    너무 인상적입니다.
    이래서 여길 못 벗어나요.

  • 20. 저도
    '25.1.28 8:05 PM (74.75.xxx.126)

    아버지 86세에 돌아가신지 5년 되었는데도 여전히 적응이 안 되네요. 매일 생각해요.
    하지만 마지막에 편찮으실 때 제가 1년 휴직하고 간병했는데 1년이 지나 할 수 없이 직장에 복귀하면서 입주 간병인 고용했을 때,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아버지 기저귀 수발을 생전 처음 보는 남이 하는 게 너무 이상하고, 아버지도 더 길게 살고 싶으실 것 같지 않다, 보내드릴 준비를 해야겠다. 마지막이 되면 삶의 질이 너무 안 좋아서 차라리 잘 떠나 보내드리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더라고요. 주위에 봐도 그렇고요. 중증 치매인 저희 엄마도 뵈면 내가 알던 그 사람의 몸은 무탈하게 여기 있는데 정신은 떠난 지 오래구나 느껴져요. 정신 줄을 놓쳤으니 빨리 돌아가셔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요, 엄마가 서서히 떠나고 계시구나, 우리가 마음의 준비할 시간을 주려고 천천히 떠나시는구나, 그런 생각이 드네요.

  • 21.
    '25.1.28 9:30 PM (58.76.xxx.65) - 삭제된댓글

    그러다 남편 형제 자매 자식이 아프거나 죽으면
    나 아픈것 보다 더 슬프고 힘들어요
    김웅열 신부님께서는 사는 것에만 초점을 두지 말고
    죽음에 대한 로드맵도 세우면서 살라고 하시더군요
    물론 계획대로 안되겠지만 순간 순간 살면서
    죽음을 가까이 둔다면 상대에게 더 잘하게 되고
    주위를 사랑하게 되는 신비한 현상을 마주하게 되죠
    사는게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요

  • 22. 이른 이별
    '25.1.28 9:37 PM (123.212.xxx.231) - 삭제된댓글

    20대에 아빠 돌아가시고 늘 죽음은 가까워요
    죽음이 나와 멀지 않은 채로 30여년 살다보니
    무덤덤 합니다
    죽음에 차례는 없어요
    그래서 오히려 자유롭고 편안하게 삽니다

  • 23. ㅇㅇ
    '25.1.28 10:01 PM (49.175.xxx.152) - 삭제된댓글

    저 딸이고 39살에 이혼한 아빠 응급실 대기, 임종이랑 장례 다했어요.. 거의 혼자서 하긴 했지만 이혼한 엄마도 장례 부터는 도와 주셨네요

  • 24. ㅇㅇ
    '25.1.28 10:02 PM (49.175.xxx.152) - 삭제된댓글

    저 딸이고 39살에 아빠 돌아가셨는데 이혼하고 혼자 아빠 중환자실 대기, 임종이랑 장례 다했어요.. 거의 혼자서 하긴 했지만 이혼한 엄마도 장례 부터는 도와 주셨네요

  • 25. oo
    '25.1.28 10:02 PM (211.58.xxx.63)

    죽음에 대한 로드맵 필요하겠네요.
    저도 친구 같고 내 반쪽 엄니 가난으로 고생하시고 암투병으로 너무 고생하시다 하늘나라 가셨는데, 엄마랑 나의 인연이 기적이었던 것 같아요.

  • 26. ㅇㅇ
    '25.1.28 10:04 PM (49.175.xxx.152) - 삭제된댓글

    저 딸이고 39살에 아빠 돌아가셨는데 이혼하고 혼자 사신 저 혼자 아빠 중환자실 대기, 심폐소생술 할때 임종 지키기랑 장례 다했어요.. 거의 혼자서 하긴 했지만 이혼하신 엄마도 아빠 장례 부터는 도와 주셨네요

  • 27.
    '25.1.28 10:04 PM (49.175.xxx.152)

    저 딸이고 39살때 아빠 돌아가셨는데 이혼하고 혼자 사신 아빠 저 혼자 중환자실 대기, 심폐소생술 할때 임종 지키기 , 장례 다했어요.. 거의 혼자서 하긴 했지만 이혼하신 엄마도 아빠 장례 부터는 도와 주셨네요

  • 28. ......
    '25.1.28 10:18 PM (180.69.xxx.152)

    그게 적당한 때 길게 고생 안시키고 가셔서 그런거에요 2222222222

    20년 징글징글하게 병수발 하고 부모님 보내고 나면 아~ 이제 드디어 끝났구나...싶습니다.

    이러다가 내가 먼저 죽으면 부모 입장에서 과연 자식이 죽어서 슬프다는 생각이 클까...
    아이면 나는 이제 누가 돌봐주라고....라는 생각이 더 클까...라는 궁금증도 수십번 들었습니다.

  • 29. 시아버님
    '25.1.28 10:25 PM (182.211.xxx.204) - 삭제된댓글

    지난 봄에 가셨는데 문득문득 생각이 나요.
    너무나 강건하신 분이였는데 치매에다 어느날 뇌경색으로
    쓰러지셔서 1년간 요양병원에 계시다 가셨죠.
    아프시기 전에 내려가서 함께 식사하러 가면 잘드시던 모습,한 동안은 볼때마다 웃으셨던 모습, 나중에는 뵈러 갈때마다
    우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한데...
    사는게 참 덧없는 거같아요.
    많은 생각이 드네요.

  • 30. 시아버님
    '25.1.28 10:27 PM (182.211.xxx.204) - 삭제된댓글

    지난 봄에 가셨는데 문득문득 생각이 나요.
    너무나 강건하신 분이였는데 치매에다 어느날 뇌경색으로
    쓰러지셔서 1년간 요양병원에 계시다 가셨죠.
    아프시기 전에 내려가서 함께 식사하러 가면 잘드시던 모습,
    한 동안은 볼때마다 웃으셨던 모습, 나중에는 뵈러 갈때마다
    우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한데...
    사는게 참 덧없는 거같아요.
    많은 생각이 드네요.

  • 31. 시아버님
    '25.1.28 10:27 PM (182.211.xxx.204)

    지난 봄에 가셨는데 문득문득 생각이 나요.
    너무나 강건하신 분이였는데 치매에다 어느날 뇌경색으로
    쓰러지셔서 1년간 요양병원에 계시다 가셨죠.
    아프시기 전에 내려가서 함께 식사하러 가면 잘드시던 모습,
    한 동안은 볼때마다 웃으셨던 모습, 나중에는 뵈러 갈때마다
    우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한데...
    사는게 참 덧없는 거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0480 애들 데리고 놀러다닐때 말인데요 10 남편은 2025/01/27 1,948
1680479 팔순어머니 홍조 3 걱정 2025/01/27 1,449
1680478 교통사고 났는데 오늘 병원비만 내고 연락처도 안남겼어요 22 사고 2025/01/27 4,558
1680477 양가 어른들 임종 그리고 삶이 참 덧없네요 23 임종 2025/01/27 13,220
1680476 이탈리아 악세사리 체인점 이름 기억이 안 나요 2025/01/27 677
1680475 노무현재단에서 노통 명예훼손 제보 받는답니다 5 하늘에 2025/01/27 1,151
1680474 법륜스님 제일 웃긴 1분짜리 즉문즉설 ㅋ 30 너무 웃겨요.. 2025/01/27 5,858
1680473 딥시크가 난리던데 써보신 분? 6 벅차다 2025/01/27 5,148
1680472 잡채 대신 다른거하려면 뭐가좋을까요? 11 .. 2025/01/27 3,428
1680471 호르몬의 장난 4 ㅇㅇ 2025/01/27 3,325
1680470 그냥 하면 되는데 7 ㅇㅇ 2025/01/27 1,513
1680469 아들과딸. 현실에선 한석규가 김희애보다 채시라를 선택하지 않았을.. 6 옛드 2025/01/27 4,314
1680468 윤 구속 기소 이후의 상황ㅡ펌 10 김작가 2025/01/27 4,030
1680467 완경된후 느끼는 변화 딱하나를 여성호르몬제가 해결 18 ㅇㅇ 2025/01/27 7,208
1680466 러바오 팬분들께 추천하는 영상 6 러바오 최고.. 2025/01/27 909
1680465 침대 분해 조립해 보신 분 계실까요? 7 ..... 2025/01/27 507
1680464 원로 보수 정치인들은 4 gfdd 2025/01/27 773
1680463 이영애는 미모만 보면 대단하네요 12 .. 2025/01/27 5,356
1680462 집안에 안좋은 일들이 연달아 일어나서 심난하네요 4 /// 2025/01/27 2,964
1680461 남편이 있는게 좋을지 없는게 좋을지 매일 저울질해요 6 00 2025/01/27 2,942
1680460 미국 불체자 11만 한인 어떡해요 54 ……… 2025/01/27 19,598
1680459 불가리 팔찌 질문 5 .... 2025/01/27 1,929
1680458 명절기념 가성비 고기집 다녀와서 3 2025/01/27 1,692
1680457 피부 얇으니 훅 가네요 11 ㅜㅜ 2025/01/27 4,928
1680456 형님친구분들과 술마시는 모임에 아주버님과 저희 남편을 부르면 27 형님 2025/01/27 4,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