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 노동 환경에서 주 52시간은 축복입니다

dddd 조회수 : 1,054
작성일 : 2025-01-24 08:15:33

대기업 20년차 부장입니다.

주 52시간만 일해서 추가로 일을 하고 싶어도 못한다는

어이없는 글을 보고 씁니다

 

한국은 함부로 자르지 못하는 대신 상사들이 맘만 먹으면 맘껏 부려먹을 수 있는 구조죠.

해외에서 일하다 온 젊은이들이 한국에 들어왔다가  돌아가는 첫번째 이유는 이때문입니다.

아이를 더 낳지 않는 배경에도 이런 노동을 갈아넣는 분위기가 있구요.

 

52시간 넘어서 직장인이 일을 왜 더 하고 싶은가요?

포괄임금제면 어차피 수당도 없습니다.

포괄임금제가 아니라도 수당을 다 챙겨주지도 않습니다.

 

업무 시간을 등록하는 시스템이 있고

노동법상 초과 근무가 일정 시간을 넘어가면 관련 내용을 책임자가 노동부에 소명하게 되어있습니다만

그래서 휴식시간을 길게 잡고 그때 일을 해서 총 노동시간을 줄이는 꼼수가 일반화되어 있어요.

 

대기업도 이럴진데

중소기업은 더하겠죠.

 

주 52시간이 정착한건 문재인 정부였고

이로인해 아이둘 워킹맘인 저는 일을 그만두려다가 계속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 이후 주 52시간을 이야기하면 안되는 분위기가 되더군요.

대놓고 워라밸을 버려라라는 이야기를 하는 임원도 있었습니다.

 

일을 더하고 싶은데 일을 못해요?

회사는 돈을 더 줄 생각도 없고, 초과 수당을 엄격하게 챙겨줘야 하는 분위기도 아닌데

일을 왜 더하고 싶죠?

별 헛소리를 다 들어보겠네요.

 

IP : 1.225.xxx.13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빵떡면
    '25.1.24 8:21 AM (121.172.xxx.29)

    52시간도 보통일이 아니에요
    주3일은 9-20시까지 토요일도 4시간
    이렇게 해야 52시간이에요
    거기다 출퇴근시간 포함하면 개인시간은 거의 없는셈이지요
    제가 다니는 직장은 직원은 주40시간 오너는 주52시간 근무하는데 돈 많이 벌어도 쓸시간이 없어뵤여요 ㅎㅎ

  • 2. ㅇㅇ
    '25.1.24 8:23 AM (1.225.xxx.133)

    맞아요, 우리나라는 점심 시간 1시간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회사에 상주해야 하는 시간이 하루 8시간이 아니라 9시간이요.
    미국은 점심 시간 따로 없이 8시간이거든요.
    출퇴근 시간 빼면 정말 일상이 어렵죠.

  • 3. 아니
    '25.1.24 8:33 AM (110.70.xxx.200)

    주 5일 1일 8시간
    주 40시간 아니었나요?


    거기에 주4일 고려중이었는데..


    갑자기 웬 주52시간인가요 ㅠ

  • 4. ㅇㅇ
    '25.1.24 8:57 AM (1.225.xxx.133)

    주 40시간 기본이고 연장근무 12시간이요

  • 5. ㅇㅇ
    '25.1.24 9:10 AM (39.7.xxx.19)

    돈있는 자본가들과 우리나라 놀고먹는 양반들이
    세뇌시킨 신성한 노동이라는 프레임이지요
    그렇게 좋으면 너희들 기득권자들이나 1녀뉴365일 일하라 하세요

    자기들은 자본 있다고 놀고 먹는것들이
    주 52시간 포괄임금 들먹이고
    그러면서 출산율이 떨어지니
    늦게까지 근무하기 좋게
    어린 애들 밤9시까지 학교에서 봐준다는
    헛소리나 지껄이는중

  • 6. ...
    '25.1.24 9:45 AM (114.204.xxx.203)

    주 50이면 하루 10시간 이상인데
    쉬운가요

  • 7. ㅡㅡ
    '25.1.24 10:16 AM (118.235.xxx.139)

    더 일하고 싶다는건 시간제로 나오는 대기업 생산직
    기준이 아닑까요
    실제 하청이나 소규모 공장은 돈을 떠나 더
    일을 할수도 없을걸요
    노동강도가 사람 죽어 나오는거 보세요

  • 8. 나옹
    '25.1.24 12:18 PM (124.111.xxx.163)

    너무 공감합니다. 포괄임금제개 판을 치는 나라에서 52시간제가 이제 당연한 것 처럼 되었어요. 주 52시간 한다고 40시간보다 월급 더 주는 것도 아닌게 포괄임금제인데 사주만 배불리는 거죠. 야근수당 제대로 주는 업체가 뭐 얼마나 있나요. 그러면서 야근을 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일을 많이 주죠. 야근수당 제대로 받는곳은 육체노동인데 진짜 자기 수명 줄이는 일이에요. 사무직이라도 야근하는 거 52시간 하는거 쉬운 거 아닙니다.

  • 9. 축복같은소리
    '25.2.3 2:48 PM (211.234.xxx.187) - 삭제된댓글

    공기업만 봐도 승진 포기하고 가늘고길게 버틴다 족들은 칼같이 52시간 근무하고요
    성과와 일에 욕심있고 열정있는 분들은
    회사 전기 끊기면(대기업근무자면 아시죠? ) 외부로 나와 오버워크합니다. 이런 촌극이 벌어지는게 52시간 규제덕분이죠

    회사 소키우는게
    님같은 기둥뒤에 숨는 월급 루팡일까요
    이런 열정같고 일하는 직원들때문일까요?

    공기업이 이럴진데 대기업은 처참하죠

    애플이 52시간 근무해요? 오픈 ai가 52시간 규제해요?
    기업경쟁력 망치는 거꾸로 정책이 문재인 정책이죠
    축복같은 소리 하시네요.
    님같은 직원들로 글로벌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이 될거 같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8668 싸늘한 민심에 20분만에 종료한 국힘 설 귀성 인사 8 ... 2025/01/24 2,156
1678667 욕실 세면대 요즘 이 걸레로 닦아요 6 ooooo 2025/01/24 2,554
1678666 자칭 반명이라고 하는 자들아 오늘자 갤럽보고 입 털어야지 18 ㅇㅇ 2025/01/24 1,206
1678665 국회의원 아니죠 국회요원. 계엄 아니죠 게임 2 .. 2025/01/24 586
1678664 오늘 문재인전대통령 생신이군요 19 ... 2025/01/24 1,435
1678663 헌재, '마은혁 불임명' 위헌 내달 3일 결정 7 ㅅㅅ 2025/01/24 1,902
1678662 냉동실 오래된 견과류 먹어도 될까요? 10 어머니 2025/01/24 1,027
1678661 국힘 너네 지지율 높다며? 국민들 반응 왜저래요? 29 000 2025/01/24 3,000
1678660 좋은 의자 추천해주세요 4 ... 2025/01/24 496
1678659 시민 : 왜 우리 가게앞에서 난리야!! 영업방해야 13 .. 2025/01/24 3,092
1678658 선관위 직접 설명 방문도 거절한 전한길? 16 .. 2025/01/24 1,513
1678657 자동차세 연납 1.31금 까지인데 하루 연체하면 어떻게 되나요 8 ... 2025/01/24 1,403
1678656 보부상님들 가방 추천 좀 해주세요 3 ㅇㅇ 2025/01/24 914
1678655 서울역에서 여조와는 다른 현실을 마주친 국힘 지도부 27 ㅅㅅ 2025/01/24 2,807
1678654 싱크대 걸레받이 깊이 2 질문 2025/01/24 312
1678653 어제 재래시장에 국힘이 나왔는데 15 ... 2025/01/24 2,932
1678652 아버지 배변 딸 or사위 28 아버지 2025/01/24 4,673
1678651 엠베스트 인강 아시는 분! 3 .... 2025/01/24 369
1678650 살면서 윤석열처럼 거짓말 많이하는사람 33 ㄱㄱㄱ 2025/01/24 2,683
1678649 전한길 부모로서 대단하네요 (정치글 아니니 정치댓글 사양) 60 2025/01/24 4,846
1678648 5400원에서 5500원으로 100원 인상되면, 인상률은 얼마인.. 7 수포자 2025/01/24 1,727
1678647 건강검진 전 소금을 먹었는데요. 4 ... 2025/01/24 1,513
1678646 카라와 지퍼있는 니트 안에 무슨색 입나요? 4 ... 2025/01/24 424
1678645 동치미 정수기 물로도 괜찮나요 2 난나 2025/01/24 598
1678644 윗입술과 팔자주름근처 신경손상,신경 돌아오게 할 수 있는 방법이.. 2 광대쪽 골절.. 2025/01/24 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