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을 외워서 풀려고 하는 아이

수학 선행 조회수 : 1,944
작성일 : 2024-12-17 12:17:18

11월 말에 공부 열심히 하고 중 3-1.3-2 마무리 시험을 대형수학 2군데에서 봤을때 75ㅡ80점 정도로  패스 했거든요.. (물론 낮은 점수 이긴 합니다만. 아이는 예비중1입니다)

어제 같은 과정을 다른 학원에서 시험 봤더니.. 점수가 반타작이라고 하시네요...

그동안 수학을 외워서 한거라 급히 까먹은걸까 싶구요.

3개월에 1학기 하는 일반적인 학원들의 진도가 저희 아이에게 너무 빠른거 같은데

이렇게 수학을 자꾸 외워서 하려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선행을 몇년 했더니 이렇게 된거 아닌가 싶어서 속상해요..

작은 학원에서 속도늦춰서 충분히 설명듣고 혼자힘으로 문풀하고 그렇게 해야 할까요?

외워서 풀려는 버릇을 고쳐야 할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요.

IP : 211.186.xxx.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2.17 12:20 PM (118.235.xxx.181)

    한계예요 문과머리로 수학을 하면 그러더라구요ㅠ

  • 2. 더 많이
    '24.12.17 12:22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외우면 체득되겠죠

  • 3. 어느 수학샘이
    '24.12.17 12:23 PM (136.144.xxx.59)

    고등학교까지의 수학은 외워서 하는거라고
    머리 써서 하는게 아니라고 주장하던 말이 생각나네요

  • 4.
    '24.12.17 12:24 PM (1.238.xxx.218)

    외워서하면 고득점 못받아요. 한계라고 하긴 뭐합니다. 방식의 문제지 머리의 문제는 아니라봅니다. 저도 외워서했는데 고득점 못받는거보고 그 후 하루종일이라도 생각하며 풀려고 했고 결국 고득점 받았습니다. 수학 실력 향상은 오르막길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많이 생각하다보면 어느순간 비약이 이뤄집니다. 수학전공자고 직업도 수학관련 종사자입니다.

  • 5. 어떤식으로
    '24.12.17 12:25 PM (211.186.xxx.7)

    어떤식으로 해야 고칠수 있을까요

  • 6.
    '24.12.17 12:27 PM (1.238.xxx.218)

    본인이 이러면 고득점 못받는다는것을 깨달으면 방법을 바꿔야되겠다는것을 깨닫게 되겠죠

  • 7. 식을
    '24.12.17 12:29 PM (211.186.xxx.7)

    식을 꼼꼼히 봐주는 소규모학원을 다니면 좀 도움이 될까요

  • 8.
    '24.12.17 12:31 PM (1.238.xxx.218)

    생각을 많이 해야해요. 식을 꼼꼼히봐주는거랑 외워서하는거랑 무슨 관련이 있죠? 물론 식을 꼼꼼히봐주면 안보는것보다 좋기야하겠죠. 서술형평가에서는 식을 잘쓰는게 도움이 되니까요

  • 9.
    '24.12.17 12:32 PM (211.186.xxx.7)

    식을 쓰면서 생각을 할테니까요..

    현재는 때려맞추는 식으로 문제를 푸는거 같아요.

  • 10. 전에
    '24.12.17 12:38 PM (59.7.xxx.113)

    어떤 글에서 봤는데 수학 박사과정 입장에서는 심지어 석사과정도 수학이 암기과목같대요. 그래서 수학이 암기과목이냐 아니냐로 열띤 토론이 벌어진걸 봤는데요, 어떤 분은 초등수학만 잘 이해해도 수능수학 정도는 그냥 풀리는 거래요. 다들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했는데..

    제 동생은 암기과목은 거의 미미미미 수준인데 수학만 전교권이었어요. 공부한 적은 없는데 그냥 문제를 보면 공식이 보였대요.

    제가 초1부터 수포자였는데요 아이를 수학을 가르치는데 최소공배수 최대공약수 이런게 너무 아름다운거예요. 와.. 수학이란게 이렇게 놀라운 과목인지 몰랐어요.

    아이가 성실하고 노력하는 아이라면 좋은 선생님을 찾아보세요. 참.. 인강 강사중에 정승제 샘이 강의를 참 재미있게 하시던데 개념정리를 제대로 해보면 어떨까요?

    영어는 선행으로 땡길 수 있지만, 수학은 절대 선행으로 못 땡긴다고 생각해요.

    아이가 암기로 푼다는건 이해를 못했기 때문이네요. 얼마나 공부하느라 힘들었을까요

  • 11. 선행
    '24.12.17 12:52 PM (114.203.xxx.227) - 삭제된댓글

    아이가 받아들이는 속도는 느린데 선행속도는 빠르니 따라가야 하니깐 그냥 외워서 푸는거 아닌가요?
    예비중 시간 아직 많이 남았으니 했던부분 다시 천천히 꼼꼼히 나가면 될 것같아요.
    아이보니 수학머리 수학그릇이 따로 있더라구요.
    다른 아이비교 말고 내 아이가 수학머리가 되는지부터 판단이 먼저더라구요.
    지금 제아이 중1인데 그냥 현행만 시킵니다.수학머리가ㅜㅜ
    선행은 아이가 받아들이고 배우고 싶다고 할때 시키려구요.

  • 12. 근데
    '24.12.17 12:53 PM (211.58.xxx.161)

    수학을 어케 외우죠??

    이런문제는 이런식으로 푼다 그런걸 외우는건가요

  • 13. . . .
    '24.12.17 12:58 PM (118.235.xxx.174) - 삭제된댓글

    많이 풀다보면 유형화 되어 있어서, 이런식으로 푼다 암기되는거죠. 수능 수학도 맨 앞장1234번은 눈으로 푼다고 하잖아요. 비슷비슷한 문제들 반복하다가 새로운 유형 나오거나, 조금만 어려워지면 못푸는거죠

  • 14. ,,,
    '24.12.17 12:59 PM (172.225.xxx.223)

    금방 잊어버리는 건 대부분이 그래요 수학 머리 없을수록 더 빨리 잊어버리는거죠 개념위주로 공부를 한다고 해도 아이 역량이 안 되니 복습 해도 처음 본 것처럼 모르고 그냥 진도만 나가서 남는 게 없는 거에요

  • 15. 수학
    '24.12.17 1:03 PM (203.142.xxx.241) - 삭제된댓글

    수학 암기과목이에요
    다들 이해해야 푼다 생각하는데 이해해서 풀기도하고 외우다보니 이해되기도합니다

  • 16. 잊어버리지
    '24.12.17 1:15 PM (211.186.xxx.7)

    잊어버리지 않도록 공부를 해야 할거 같아요..
    지금은 대형 학원에서 너무 빠른 진도로 나가서 그런거 같아요.
    방법을 바꿔야 할거 같아요

  • 17.
    '24.12.17 2:21 PM (211.235.xxx.138)

    이런 친구는 선행 하지말고 현행에 힘쏟아야해요
    까딱하면 수포자입니다

  • 18. 2-3 개월에
    '24.12.17 6:28 PM (180.71.xxx.214)

    책 1 권씩 하는 학원들 특징이 잘하는 애들은 괜찮은데
    애들이 모르면 양이 많이 그냥 스킵하게 되서
    저희 애는 1:1 로 바꾸긴 했어요
    1:1 로 진도 나간 후 다시 다니던지 하려구요
    애가 수학을 잘하는게 아니면 참 걱정이 되죠
    잘하고 있는건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4059 카페의 라떼에 설탕, 액상과당 들어가나요? 9 ..... 2025/02/21 2,633
1684058 패딩얘기나와서 남자 패딩 추천해도 될까요?(관계자 아님) 7 2025/02/21 2,256
1684057 딸엄만데 반반결혼 가능한 남친이면 좋겠어요 20 ㅇㅇ 2025/02/21 3,619
1684056 사주에 물이 하나도 없대요 11 사주 2025/02/21 4,189
1684055 예체능 부모입니다 31 예체능 2025/02/21 6,539
1684054 이런 지하철 타 보셨나요? 8 lllll 2025/02/21 2,410
1684053 눈꺼풀 /눈밑주름 3 .. 2025/02/21 1,456
1684052 나경원 남편이 박은정검사에게 기소청탁 5 ㄱㄴ 2025/02/21 3,756
1684051 카레에 배추넣으면 18 ..... 2025/02/21 3,370
1684050 나이듦에 대하여 .. 2 @.@ 2025/02/21 2,292
1684049 한살림 활동가? 해본분 계신가요 6 .. 2025/02/21 1,945
1684048 도로 주행하다 수직 이륙…미국 스타트업, 실제 영상 최초 공개 8 유튜브 2025/02/21 2,745
1684047 이지아 입장문 찾아서 읽어봤어요 21 ㅇㅇㅇ 2025/02/21 7,026
1684046 Ktx 역에서 1시간 뭐하죠 5 ..... 2025/02/21 1,705
1684045 가장 힘든 순간에 항상 아무 말이 없이 방관하는 남편 69 ㄱㄴㄷ 2025/02/21 12,216
1684044 집순이에요.. 외로운데 혼자서 잘지내는방법.. 18 m... 2025/02/21 7,002
1684043 백내장 렌즈는 시력 얼마로 해야할까요 4 백내장 시력.. 2025/02/21 1,360
1684042 집에 돈 쬐끔 있으신 분들 호주유학 보내세요. 38 ㅇㅇ 2025/02/21 15,824
1684041 박정훈대령 복직 축하합니다 24 참군인박정훈.. 2025/02/21 4,303
1684040 김건희 계엄 전날 밤 ㄱㄴ 2025/02/21 2,891
1684039 삼수생아들 진로때문에 너무 힘들어요..ㅠ.ㅠ 10 삼수생엄마 2025/02/21 4,553
1684038 복싱 전공하면 어떤가요 전공이나 직업으로요 깜이 2025/02/21 442
1684037 섬초는 중국산 없겠죠? 2 언니들 2025/02/21 1,980
1684036 근데 재산 많으신분도 애들 결혼할때 크게 지원 안하시기도 하네요.. 12 .. 2025/02/21 3,585
1684035 오늘 서울 추운 날씨 맞죠? 2 ㅊㅊ 2025/02/21 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