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국회에서 종결됐어야 할 대통령 탄핵 민들레컬럼

하늘에 조회수 : 1,105
작성일 : 2024-12-16 14:45:56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이 가까스로 국회를 통과하였다. 그러나 아직 헌법재판소라는 커다란 관문이 버티고 있다.

지금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하나의 공리(公理)처럼 증명이 필요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되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지금과 같은 탄핵심사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바로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정된
헌법에 규정된 이후부터다.

 

현재의 헌법재판소는 제헌헌법 제81조에 따라 설립된
헌법위원회가 그 시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탄핵심사의 권한은 없었고, 위헌법률심판권만 보유하고 있었다. 헌법위원회의
위원장은 부통령이 겸직하며 위원들은 대법관 5명과 국회의원 5명이 겸직하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위헌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했다.

당시의 제헌헌법에서 탄핵 심사는 국회 소속 탄핵재판소에서 담당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
제헌헌법 제3장 국회 편의 제47조는 “탄핵 사건을 심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탄핵재판소를 설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 “국회내에 설치되는 탄핵재판소는 부통령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하고 대법관 5인과 국회의원 5인이 심판관이 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심판할 때에는 대법원장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한다. 그리고 탄핵 판결은 심판관 3분지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들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 탄핵 방식을 그대로 도입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이렇게 헌법에 규정된 헌법기관이었지만 사실상 그 기능과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였다. 4.19 혁명으로 탄생한 제2공화국의 헌법에는 헌법재판소가 처음으로 규정되었지만 곧 이어 발생한 박정희의 5.16 쿠데타에 의해 설치되지도 못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다시 헌법위원회로 이름을 바꿔 비록 계속 유지되기는 했지만, 단 한 차례의 위헌법률심사를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였다.

그러다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새로 개정된 헌법에 헌법재판소가 규정됨으로써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대통령 탄핵의 최종 결정권한을 헌법재판소가 갖도록 하는 규정은 독일 방식을 계수(繼受), 즉 본뜬 것이다. 독일의 관련 규정은 독일 기본법 제61조 1항 “연방의회 또는 연방참사원은 고의로 기본법 또는 기타의 연방 법률을 위반한 이유로 연방대통령을 연방 헌법재판소에 탄핵할 수 있다”는 규정이다.

출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https://www.mindlenews.com )

 

전체 내용은 링크로 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일개 공무원 따위에게 대한민국 미래를 맡기는 행위들은 더 이상 없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도 안 집니다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IP : 175.211.xxx.9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에
    '24.12.16 2:48 PM (175.211.xxx.92)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

  • 2. 공감
    '24.12.16 2:56 PM (123.214.xxx.155)

    헌법재판관도 캐비넷이 존재할 수도 있는일

  • 3. 동감!
    '24.12.16 3:01 PM (110.130.xxx.125)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7467 초등1학년이 학원 7개 10 .. 2025/03/03 1,870
1687466 강진여행후기요(반값여행) 14 ㅎㅎㅎ 2025/03/03 3,152
1687465 가톨릭)성지가지를 못냈는데 8 ㄱㄴ 2025/03/03 1,199
1687464 저녁 메뉴 뭐 하세요? 15 이제는고딩엄.. 2025/03/03 2,407
1687463 민주당은 왜 목소리를 안내나요 26 ... 2025/03/03 3,865
1687462 서강준이란 배우요 19 언더커버 하.. 2025/03/03 5,497
1687461 왜 웃는거지? 했었네요.gif 3 ㅎㅎㅎ 2025/03/03 2,615
1687460 64 ㅇㅇ 2025/03/03 16,842
1687459 응급실 글보고 저도 연휴 응급실 경험 써봐요. 4 ... 2025/03/03 1,840
1687458 영등포 포레나 센트럴 오피스텔 아시는 분? 3 ... 2025/03/03 836
1687457 자국민 2000만이 죽어 나가도 화보는 찍어야죠 ! 4 ........ 2025/03/03 3,677
1687456 주위에 아빠 보호 아래 사는 딸들 1 나약함 2025/03/03 2,913
1687455 홍장원이 처리한 자승 스님 입적건에 대해서 6 2025/03/03 4,821
1687454 90세 울 엄마 12 2025/03/03 5,312
1687453 작은 딸이 언니 밥 하는 거 가르쳐요. 4 엄마 2025/03/03 2,887
1687452 김밥 4명이서 한가족싸면 보통 몇줄 싸세요? 27 ... 2025/03/03 4,291
1687451 과한 운동도 독이 되는거 같네요 22 .... 2025/03/03 5,326
1687450 가족회사 ㅡ선관위 ㅡ전한길 유튭 영상 31 .. 2025/03/03 1,772
1687449 저 오늘밤부터 단식 4일 들어갑니다 16 단식 4일 2025/03/03 3,460
1687448 77년생인데...우울하고 허무해지려고해요 42 .. 2025/03/03 11,399
1687447 코인 어제는 폭등 오늘은 어떤 재료로 하락인가요 3 ... 2025/03/03 2,157
1687446 내일 제주날씨와 패딩 6 궁금 2025/03/03 926
1687445 설탕 황색, 백색 중 어떤 것 사시나요. 12 .. 2025/03/03 1,739
1687444 마트 세일물건 많이 쟁여놓으세요? 22 물건 2025/03/03 4,175
1687443 어제 KBS예능에서 김현욱씨 빚진거요 ..... 2025/03/03 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