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몸을 움직이기 어려울 때 갈 수 있는 시설 경험기

펌글 조회수 : 1,196
작성일 : 2024-11-28 10:18:05

좋은 내용이라 퍼왓습니다.

바쁘시면 굵은 글씨만 읽으셔도 됩니다.

 

글쓴이 : 벨기에 자립지원주택-어시스티드 리빙 입주자 변재원
 
1. 넷플릭스 신작 가운데 <스파이가 된 남자>라는 드라마가 있다.
오피스, 브루클린 99, 굿플레이스 등을 쓴 마이클 슈어가 굿플레이스 몇몇 출연진과 오랜만에 합을 맞추어 만든 드라마다. 줄거리는 아내 사별 후 무기력해진 남성이 우연히 탐정 사무소에 취업하여 도난물품을 찾기 위해 '어시스티드 리빙'에 잠입하는 내용이다.
 
2. 드라마는 그 어떤 노인도 '시설'에 들어가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 점에서 노인들이 가장 경계하는 건 치매인데, 치매에 걸릴 경우 더 이상 '어시스티드 리빙'에 머물지 못하고 별도의 시설로 입원조치 되기 때문이다.
 
3. 한국어 자막에 버젓이 "실버타운"이라고 써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계속해서 '어시스티드 리빙'이라고 쓰는 이유는 탈시설에 대한 상상력의 빈곤함을 지적하기 위해서다.
 
나는 벨기에 어시스티드 리빙 입주자다.
드라마 속 주인공이 잠입한 샌프란시스코 '어시스티드 리빙'과 마찬가지로, 벨기에 루벤의 '어시스티드 리빙'에서 살고 있다. (내가 사는 벨기에의 어시스티드 리빙은 미국처럼 럭셔리한 곳은 아니지만) 한국의 탈시설 장애인권활동가들이 추진하는 자립지원주택과 유사한 구조다.
장애인을 비롯한 신체적 불편함을 가진 이들이 비장애인과 함께 머물고,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고, 내 명의로 계약한 개별적인 방을 가지고 있는 곳은 집단 거주시설도, 실버타운도 아니다.
 
4. 실버타운이라는 단어는 입주민을 '노인'으로 한정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적 여유를 전제로 입주하는 곳을 지칭하는 문화적 용어다.
다시 말해, 부동산 또는 연금이 충분한 노인들이 집에서 사는 게 불편해서 대안으로 선택하는 안정적인 주거처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곳에 입주할 수 없는 노인들은 요양원, 재활병원, 요양병원으로 차례차례 밀려난다.
 
5. 한국에서 탈시설 운동을 할 때면 늘 '대안'이 없지 않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정말 그럴까?
벨기에에서의 지금 나의 삶은 무엇일까.
나는 혼자서 무엇도 들 수 없다. 휠체어로 출입도 자유롭지 않다.
플래미쉬를 하지 못해 공과금을 내지도 못하고, 아직 내 명의의 휴대폰과 계좌도 없다.
요리도 제대로 못한다.
무엇하나 혼자 할 줄 모르지만, 나는 격리되지 않은 채 어시스티드 리빙에 입주한 다양한 입주민의 도움을 통해 살아가고 있다. 
모든 입주민 친구들이 도와준다. 서로의 스케줄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3주마다 1번씩 회의를 하고, 매주 나의 장보기와 청소 도우미 당번을 정해서 함께 일을 해나간다.
그 덕에 나는 말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고, 걷지 못하고, 옮기지 못하지만 이 곳에서 존엄을 지키며 안락하게 살아가고 있다.
정말 냉정하게 말해 벨기에 사회에서 나라는 사람은 국민으로 인정조차 되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 어느날 소리없이 죽거나 사라져도 슬퍼할 이유가 없음에도, 누구도 그것을 바라지 않으며 서로의 삶을 지탱해주고 있다.
 
6. 탈시설 이후의 삶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어시스티드 리빙(자립지원주택)이 강력한 대안 중 하나다.
지금은 벨기에에서 오직 나만 누리고 있지만, 이것을 한국의 모든 중증 장애인들이 누리기를 꿈꾸는 것이 과연 그토록 급진적이고, 좌파적이고, 선동적인 주장인가.
벨기에에서는 외국인인 나에게도 이 기회가 주어지는데, 한국에서는 왜 장애시민에게 같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가.
노인은 또 어떻고, 아동은 또 어떤가.
왜 지금 우리 사회는 어시스티드 리빙과 통합된 공동체의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터무니없다' 또는 '돈이 많이 든다'는 평가만으로 좌절시키고 마는가.
 
7. 넷플릭스에서 '어시스티드 리빙'을 '실버타운'으로 일괄 번역하는 것을 보며, 한국 사회에 몸이 불편한 이들이 함께 살아가는 대안적 주거 공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지금 우리에게 존재하는 건 아프고 가난한 사람들끼리 가두어져야 할 시설, 돈있는 사람들끼리 살아갈만한 실버타운. 두개의 선택지밖에 없다.
제발 시설에만 들어가지 않게 해달라는 주인공 아내의 간절한 바람(유언)의 무게를 한국 사람들이 과연 공감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는 장애인의 문제였지만, 이제부터 노인의 문제가 될텐데,
지역사회에서의 통합된 삶을 대안에서 삭제한 채
나는 돈많은 사람들이 실버타운 가고, 돈없는 사람들을 대형 시설에 두는 이분법적 문제만을
한국사회의 영속적인 대안으로 제시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IP : 14.38.xxx.24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출처
    '24.11.28 10:18 AM (14.38.xxx.243)

    https://www.facebook.com/HobbitJ1/posts/pfbid02DPCKKi6ixFMA8SN3rEmwXyp1Yaghfp7...

  • 2. 이기적이고
    '24.11.28 10:22 AM (121.162.xxx.190)

    돈 밖에 모르는 현재의 대부분의 서민, 중산층 한국인의 의식이
    과거의 서로 돕고 살던 두레와 부조의 정신을 회복할 때야 가능한 일이겠죠.

    지금은 서로 서로 서로 가두고 의심하고
    많이 갖고 있으면서 가진 것을 제대로 쓰지를 못하고 사는 꼴이죠.

  • 3. ..
    '24.11.28 10:24 AM (202.128.xxx.100)

    요즘 한국사람들은
    한국이 세계 최고라고 믿고 싶어하기때문에
    다른나라의 의료복지 시스템의 장점들을 알고싶어하지 않더라고요.
    한국보다 좋은점이 있을리가 없다고 믿던데요

  • 4. 원글
    '24.11.28 10:27 AM (14.38.xxx.243)

    저는, 우리가 시야를 좀 더 많이 넓히면 좋겠기에 이런 글들 퍼와 봅니다.정답은 아닐지라도 그래도 해외에선 이런 저런 제도들이 있고 수혜자들이 있고, 그런 정도 복지를 마련하려면 어떤 준비와 투자를 해야 하는지 정말 진지하게 논의하는 분위기가 마련되면 좋겠어요.
    늙어서 시설 가느니 자살할 거라는 각오들만 말하지 말고요.
    해외 사례들이 단점도 있다면 우리가 그런 단점들 최소화한 우리에게 맞는 제도를 만들면 되잖아요.
    국민들의 시야가 넓고 눈높이와 기대치가 크면 정책 입안자들도 움직이겠지요..

  • 5. ㅇㅇ
    '24.11.28 10:33 AM (180.69.xxx.156)

    생각해 볼만한 내용이네요 좋은 글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넷플 영화도 찾아볼게요

  • 6. 좋은글이긴 하나
    '24.11.28 10:42 AM (112.149.xxx.140)

    한국에선 불가능 할거라고 생각해요
    더불어 살자 최저임금 높여주자 하는 민주당이 싫고
    부자세금 줄여주고 상속세 줄여주고에 열광하는
    국민들이 더 많아서요
    우리나라는 정글이고
    벨기에는 사람사는곳이고
    그 차이 입니다
    부모라 해도 서로 돌보지 않으려 하는게
    지금의 한국의 상황입니다

  • 7. 한국인들은
    '24.11.28 11:18 AM (220.117.xxx.100)

    과정은 안 좋아해요
    내가 나서서 내가 아닌 남들이 뭔가를 누리기를 바라며 자신이 뭔가를 할 생각도 없어요
    그러자고 하면 “내가 왜?”라고 할걸요
    이미 존재하는 좋은 것들을 남들 제끼고 나만 누릴 생각은 있어도요
    이기주의의 극을 달리는 중이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1627 어제 국회의원들이 빠르게 진행했지만 11 ... 2024/12/04 2,611
1651626 박호산 배우 한마디. /펌 jpg 11 멋지네요. .. 2024/12/04 6,457
1651625 곧 한강으로부터 듣는 계엄시대 이야기가 이어지겠네요 4 2024/12/04 1,404
1651624 2찍친구랑 브런치 약속 취소했습니다 28 에휴 2024/12/04 4,840
1651623 드라마 대사처럼 ㅇㅇㅇ 2024/12/04 499
1651622 서울의 봄, 소년이 온다 그리고 어젯밤 계엄선포 6 ㅇㅇ 2024/12/04 2,057
1651621 국회의사당 사무총장 2 .... 2024/12/04 1,498
1651620 누가 좀 설명좀 해주세요. 10 111 2024/12/04 2,347
1651619 군인이 유일하게 출동한 언론사 14 ㅂㅅㄴ 2024/12/04 7,964
1651618 빠르게 진행될거예요 4 ㅇㅇ 2024/12/04 2,192
1651617 윤석열 긴급 체포하라!!!!!!!!!!!!!!!!!!!!!!!!.. 13 ㅁㅁㅁ 2024/12/04 2,555
1651616 그래도 국힘 당대표 외 몇명의 국회의원들이 멀쩡해서 다행이네요 6 ㅇㅇ 2024/12/04 1,322
1651615 이준석 진짜 너무 싫다 20 인간 2024/12/04 4,400
1651614 대구사는데요 16 사실 2024/12/04 4,054
1651613 왜 안잡아가요? 그냥 두는거 맞아요? 5 2024/12/04 1,359
1651612 흥분한 민간인을 안아주는 계엄군 21 aa 2024/12/04 5,732
1651611 미필이라서 착각한게 아닌지 5 Sffg 2024/12/04 1,458
1651610 윤석열.김건희를 긴급 체포하라!! 7 당장 2024/12/04 967
1651609 아니그래서 어제 계엄선포해서 취할수있는 이득이 뭔가요? 13 ..... 2024/12/04 3,088
1651608 대학 동문회에서도 윤 탄핵 촉구 서명 ... 2024/12/04 905
1651607 피를 토하는 심정 6 흐흐 2024/12/04 1,278
1651606 2024년 방송3사 연애(예)대상은??? 8 겨울왕국 2024/12/04 2,392
1651605 이 와중에 쿠팡 도착함!!! 6 …… 2024/12/04 2,200
1651604 순식간에 자유를 빼앗길수 있다는걸 깨달았어요 2 .. 2024/12/04 941
1651603 계엄해제를 그대로 믿으면 안됩니다 21 ㅇㅇㅇ 2024/12/04 5,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