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가장학금 10분위는 상위10%가 아니에요

.. 조회수 : 3,316
작성일 : 2024-11-22 08:57:30

오늘 뉴스 보니

8분위까지 지원되던 국가장학금을 9분위까지 준다고 하네요. 

내년에는 지원 기준이 기존 8구간 이하에서 9구간 이하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지원 대상은 약 100만명에서 150만명으로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이게 무슨소리?

1분위~8분위 까지 다 합친 인원이 100만명

9분위는 무려 50만명

그럼 10분위는? 대략 84만명쯤 되네요. 

2024년 교육부 통계를 찾아보니 전문대, 4년제대 합친 전체 대학생이 2,343,615명 정도 됩니다. (기타대학은 몇 명 안되어서 제외)

일반대 1,837,000명

전문대 492,042명

교육대학 14,573명

 

230만명 - 150만명 (1분위~9분위 합친 숫자) = 84만명(10분위)

230만명 중 84만명이 10분위라면 10분위 인원이 대략 전체 인원의 34%쯤 되네요. 

 

이게 우리 집이 부자가 아닌데 매번 10분위로 나오는 이유네요. 

9분위를 대략 50만명으로 본다면 대략 22%

 

9분위 +10분위 = 무려 전체 인원의 56%  

 

이 글 올린 이유는 제 계산법이 맞나요? 

정확히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기사를 근거로 대략 계산한거라 오차는 있겠지만 대략입니다. 

 

9분위까지 국가장학금 준다고 하면 대략 90% 학생들이 다 혜택 받는다고 오해하기 쉽네요. ㅠㅠ

 

IP : 117.110.xxx.75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24.11.22 8:59 AM (117.110.xxx.75)

    2024년 교육기본 통계 (교육부 자료) 링크

    https://blog.naver.com/moeblog/223564984531

  • 2. ....
    '24.11.22 9:02 AM (211.114.xxx.148)

    어머
    이상하다 생각되더라구요. 우리집이 도저히 10분위가 아닌데ㅜ

  • 3. 원글
    '24.11.22 9:04 AM (117.110.xxx.75) - 삭제된댓글

    중간도 안된다 싶은 우리 집도 10분위, 우리 집보다 더 쪼달리는 우리 동생집도 10분위 ㅠㅠ

  • 4. ...
    '24.11.22 9:05 AM (220.75.xxx.108)

    부모가 등록금을 낼 만한 능력이 있다 없다의 판가름이니 어떤 선 이상으로 재산이나 소득이 있다면 그냥 무조건 십분위가 되는 건가봐요.

  • 5.
    '24.11.22 9:08 AM (124.5.xxx.71)

    학생 숫자로 등급을 매기는 게 아니고
    자산과 수입 등으로 매기는 건데요?
    지금 말씀하시는 거는 학생들 중 상위 10%이내가 아니다라는 거고
    우리 사회 전체에서 자신과 수입으로 평가했을 떼 10분위라는 거 아닌가요.

    기준점을 완전히 잘못알고 계시는듯요.

  • 6. 원글
    '24.11.22 9:08 AM (117.110.xxx.75)

    9분위까지 지원을 확대하면 전체 대학생 중 겨우 절반 정도가 지원 받는건데
    그럼 9분위가 아니고 그 명칭이 5분위 내지 6분위가 맞는거 아닐까요?
    왜????
    상위 50%인 사람을 9분위라고
    상위 30%인 사람을 10분위라고

  • 7. 원글
    '24.11.22 9:11 AM (117.110.xxx.75)

    학생 숫자로 등급을 매기는 게 아니고
    자산과 수입 등으로 매기는 건데요?
    지금 말씀하시는 거는 학생들 중 상위 10%이내가 아니다라는 거고
    우리 사회 전체에서 자신과 수입으로 평가했을 떼 10분위라는 거 아닌가요.

    기준점을 완전히 잘못알고 계시는듯요.
    ---------------------------------------------
    님 말씀이 맞아요. 인원수로 등급을 자르는게 아니고 소득으로 평가하는건 저도 알고 있는데 제 말은 구간을 설정할 때 9분위, 10분위 인원을 지나치게 많이 설정했다는게 문제라는 뜻이에요

  • 8.
    '24.11.22 9:12 AM (124.5.xxx.71)

    음 혹시 수학하고 안 친하셨나요? 이상하게 알아듣고 계심.

  • 9. 신기함
    '24.11.22 9:17 AM (175.223.xxx.110) - 삭제된댓글

    건강보험료도 10분위가 있고 어지간한 나라에서 하는 건 다 분위가 있어요. 내신성적 등급제가 아닌데요...

  • 10. 신기함
    '24.11.22 9:18 AM (175.223.xxx.110) - 삭제된댓글

    건강보험료도 10분위가 있고 어지간한 나라에서 하는 건 다 분위가 있어요. 내신성적처럼 해당하는 사랑들만 뽑아서 퍼센트 주는 등급제가 아닌데요...

  • 11. 신기함
    '24.11.22 9:21 AM (175.223.xxx.110) - 삭제된댓글

    건강보험료도 10분위가 있고 어지간한 나라에서 하는 건 다 분위가 있어요. 내신성적처럼 해당하는 사랑들만 뽑아서 퍼센트 주는 등급제가 아닌데요...지역으로 전환했을 때의 분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 같던데요. 인원이 많은 것이 먹고 살만한 사람들이 애를 낳고 대학에 보내서 그런 것 같은데요.

  • 12. ...
    '24.11.22 9:22 AM (175.223.xxx.110)

    건강보험료도 10분위가 있고 어지간한 나라에서 하는 건 다 분위가 있어요. 내신성적처럼 해당하는 사랑들만 뽑아서 퍼센트 주는 등급제가 아닌데요...건보지역으로 전환했을 때의 분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 같던데요. 인원이 많은 것이 먹고 살만한 사람들이 애를 낳고 대학에 보내서 그런 것 같은데요.

  • 13. 바람소리2
    '24.11.22 9:41 AM (114.204.xxx.203)

    중간정도나 되려나

  • 14. ㅡㅡㅡ
    '24.11.22 10:08 AM (58.148.xxx.3) - 삭제된댓글

    헐... 원글님 계산이 맞나보네요 내가 10분위인게 웃겼던게 맞는 느낌이었쒀....;;;

  • 15.
    '24.11.22 10:24 AM (39.118.xxx.241)

    대학생 있는 가정만으로 등급을 내는 게 아니니까요.

  • 16. ㅅㅅ
    '24.11.22 10:25 AM (218.234.xxx.212)

    상위 1~10%는 10구간, 11~20%는 9구간 이런 식으로 매기는 게 아니다.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기준중위소득과 연계해, 이 중위소득의 30% 이하는 1구간, 50% 이하는 2구간 이런 식으로 구간을 매기는 것이다.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는 5구간이고, 200% 이하는 8구간이다. 8구간까지 혜택을 누릴 수 있으니, 중위값의 2배를 초과하면 장학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2018학년도는 3~7분위의 지원금액이 확대된 대신, 비율을 낮춰 잡아서 그 안에 들기도 약간 더 까다로워졌다. #

    장학금이 지급되는 마지노선인 8구간의 경우, 가족의 월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200%인 10,242,160원 이하[2022년 1학기 기준]여야 한다. 여기에는 급여뿐만 아니라, 주택, 토지, 자동차 등의 일반재산, 저축, 보험증권, 주식 등의 금융재산도 포함되며, 기본적으로 대출 등의 부채는 감안하고 계산한다.

    예를 들어, 4인 가구가 소득이 월 6백만원이고, 4억원의 주택에 살고 있고, 2천만원의 차가 있으며, 예금, 보험환급금등을 포함하고, 부채는 차감한 금융자산이 5천만원이라고 가정할 때, 월소득산정액은 10,878,900원으로 학자금 지원구간이 9구간이 되어 장학금 수혜 대상에서 제외된다.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소득인정액(월) = ①소득 평가액(월) + ②재산의 소득 환산액(월) - ③형제·자매 수에 따른 공제액

    한국장학재단에서는 5인 이상의 가구에 대해서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장학금 수혜자를 결정한다.

    이렇게 하면 다자녀 가구의 첫째, 둘째뿐 아니라, 학비가 전액 지급한다고 발표된 셋째도 단 한푼도 받지 못하는 가구의 비율이 급격히 높아진다. 소득분위 상위 9, 10분위만 장학금을 받지 못해야 하지만, 실제로 세자녀 이상 다자녀가구 대학생중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하는 비율이 60%를 넘는다.

  • 17. 잘못
    '24.11.22 10:39 AM (118.235.xxx.251)

    9분위도 작은 혜택이 있다니 다행이네요.
    재산이 없어도 대출없고 최저임금 맞벌이라면
    절대 국장 받을 수 없는 구조.

  • 18. 000
    '24.11.22 10:48 AM (59.4.xxx.231)

    우리집도 맨날 9분위인데
    이게 외부장학금 100% 받고 있음 대상이 안되는건가요?
    한명은 학교장학금100% 받고있는데 얘도 대상이 안될까요?

  • 19. ㅇㅇ
    '24.11.22 11:10 AM (118.235.xxx.5) - 삭제된댓글

    원글님 계산이 이상해요
    10분위가구에서 대학을 더 간거죠

  • 20. .....
    '24.11.22 11:34 AM (121.142.xxx.3)

    왜 저런 계산이 되는 지 한참 들여다 봤네요.

  • 21. 으음
    '24.11.22 1:05 PM (163.116.xxx.120)

    10분위라는 명칭이 있다고 해서 각 구간마다 대략 10%일거라 생각하는건 그냥 원글님의 잘못된 가정이에요.
    가령 내신 1등급에서 9등급까지 있다고 해서 전 구간을 균분해서 퍼센티지를 매기는 것이 아닌 1등급 4%, 2등급 11% 3등급 이하는...모르겠네요. 이런식으로 4,5,6등급에 인원수를 많이 주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0721 혹시 반고흐전 다녀오신분 계실까요? 7 반고흐전 2024/12/03 1,763
1650720 나이들수륵 시간이 짧아질까요? 9 ㄱㄴ 2024/12/03 1,397
1650719 스트레스로 생기는 몸의 이상 증세 27 ㅡㅡ 2024/12/03 4,184
1650718 ISA계좌에서 3년후 연금저축으로 옮겨야 세제혜택이 있다는데 6 ... 2024/12/03 1,348
1650717 tv 수신료 다시 전기요금 합산... 2 ... 2024/12/03 1,552
1650716 자식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16 겨울 2024/12/03 6,156
1650715 특활비삭감 16 82고인물 2024/12/03 1,227
1650714 나이 듦 3 나이듦 2024/12/03 1,437
1650713 동생이 망해서 이사가야하는 상황인데 37 ㅇㅇ 2024/12/03 7,366
1650712 왜 인생은 고민은 연속해서 생기나요 7 삶.. 2024/12/03 1,684
1650711 왜 나이들수록 다리가 말라가죠? 15 ㅇㅇ 2024/12/03 3,691
1650710 특활비삭감에 기레기가 발악하는이유 9 검찰특활비 2024/12/03 1,243
1650709 인덕션 어디꺼 살까요? 8 .. 2024/12/03 1,163
1650708 국회 특활비, 홍준표 때문에 이미 90% 삭감했음 10 뭘알고나 2024/12/03 1,334
1650707 자식한테 큰 실망… 64 하아… 2024/12/03 16,965
1650706 12/3(화) 오늘의 종목 나미옹 2024/12/03 341
1650705 선택관광 … 15 2024/12/03 1,878
1650704 확실히 점수맞춰서 대충 입학한 애들은 애교심이 없는거같아요 11 ..... 2024/12/03 2,252
1650703 핸드폰 컬러링은 남이 듣는 거잖아요 5 핸드폰 2024/12/03 1,510
1650702 나이들수록 여자형제가 있어서 좋다고 느끼시나요? 35 자매 2024/12/03 4,237
1650701 위 안 좋은 사람에게 생양배추 괜찮나요? 7 양배추 2024/12/03 1,483
1650700 미용실 가면 너무 힘듭니다. 19 2024/12/03 5,952
1650699 코스트코에서 오일병 넘 편하고 좋은거 샀어요 17 신세계 2024/12/03 3,685
1650698 큰상을 펴두고잤는데 내내악몽꿨어요 11 ㅜㅜ 2024/12/03 2,552
1650697 요즘 돌싱은 흠이 아니라는데... 61 오잉크 2024/12/03 6,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