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튭보니 다 삽겹으로 하는것만있네요
앞다리살도 똑같나요?
일단 찬물에 담궈 핏물제거하고
그담에 물에 향신채소랑 된장 등
풀고
끓으면 고기 풍덩하고 기다리기
맞나요?
팁좀 팍팍주세요
유튭보니 다 삽겹으로 하는것만있네요
앞다리살도 똑같나요?
일단 찬물에 담궈 핏물제거하고
그담에 물에 향신채소랑 된장 등
풀고
끓으면 고기 풍덩하고 기다리기
맞나요?
팁좀 팍팍주세요
전 그렇게 안 만들지만 같아요. 만드는데 다를 이유가
앞다리가 비계가 더많은것같아서요ㅠ
통후추없는데 그냥 후추넣어도되나요?
간마늘 안되고 통마늘 넣어야하늣거죠?
생강 꼭 들어가야나요?
그럼 다 사와야 해요ㅠ
간마늘 간후추 없으면 없는대로 다 괜찮아요
압력솥있으면 양파 잔뜩 깔고 물 조금만 넣고 해되 됩니다
생강은 넣어본적 없어요
커피있음 커피넣으세요 . 잡내싹잡음.
ㄴ압럭솥없어서 냄비에 물넣고할거에요
간마늘 간후추 써도된다는거죠?ㅠ
방법은 똑같아요.
생강 꼭 안들어가도 돼요.
후추, 마늘 생강은 향신채니까...고기 냄새 안나면 중요하진 않아요.
간마늘을 넣어도 되고, 후추넣어도 큰 문제는 없어요.
집에 있는 양파. 파같은걸 넣으면 됩니다.
한방수육이라고 쌍화탕음료 넣는 사람도 있고.
닭백숙에 넣는 삼계탕재료 같은거 추가하는 사람도 있고...
중국음식향 낸다고 팔각넣는 사람도 있고 그래요.
앞다리살은 좀 더 퍽퍽할 뿐. 앞다리살 비계는 삶고 나서 먹을때 떼내고 먹어도 되니까
실제로 기름을 많이 먹게 되는건 기름이 골고루 퍼져있는 삼겹살이에요.
믹스커피 뿐인데ㅠ
원두가루 넣음 지저분해지겠죠?
된장 쪼금이요
사태살이 붙어있는 앞다리살이 연하고 맛있어요
식은후에 최대한 얇게 썰어야 맛있어요
술 소주라도 부으세요
제가 하는 방법은 3중바닥 냄비에다
대파 양파 썰어 두툼하게 깔고 핏물 제거한
수육(아무거나 상관 없음) 올리고 통마늘 통후추
소주한잔 휘휘 뿌리고 월계수잎 두장...
생강 한톨..
끓어 오르면 중불로 익을때까지..
젓갈로 푹 찔러보면 알 수 있어요..
통마늘 없으면 간마늘을 세군데에다 한스푼씩..
통후추 없으면 후추 뿌려도 되어요..
없으면 없는데로 ..
자주 해 잡수실려면 위 재료들을
미리 구입해서 김냉에다 보관하면
할때마다 많이 편리하지요..
간마늘 간후추 넣어도 되는데 그게 지저분해져서 그렇거든요
다하시고 슬쩍씻어서 썰으면될듯.
참, 물은 전혀 안넣습니다.
대파 양파 수분만으로 충분.
단, 끓으면 불을 낮추세요.
김장하는날 따라서 해볼려서 저장해둔거에요
https://youtu.be/4RSJy2wCwXs?si=1PM_ENkRlrsCXnmC
https://youtu.be/4RSJy2wCwXs?si=1PM_ENkRlrsCXnmC
올해 김장할때 해볼려고 저장해둔거에요
과립형 쌍화차나 쌍화탕 한병 넣으면 돼지 냄새도 빠지는 한방 수육됩니다.
요새 고기는 다 신선해서
커피가루니 뭐니 냄새 잡는다고 고생 안 해도 돼요.
대충 있는 재료(대파, 통마늘, 양파, 된장, 통후추) 넣고 끓이세요.
정육점에서 수육용 사면 월계수잎 몇장 줍니다.
사과도 있음 넣고, 없으면 말고요.
삼겹살이 더 맛있긴 한데 비싸죠
있는 재료만 넣으세요.
생강이나 다른거 사러가지 마세요.
믹스커피. 원두가루는 노노.
두꺼운 냄비 하나도 없으실까요?
물에 풍덩보다 수분없이 하는게 훨 맛있는데...
수육초보이신거같은데
집에 가지고있는재료와 도구로도 충분히 맛있습니다.
냄비에 하신다하시니
물 넉넉히 넣으시고
혹시 고기냄새 난다면
믹스커피가루를 채가있다면 채에 받치면 커피가루만 위에 남습니다.
그걸 사용하셔도되고
꼭 없어도됩니다.
원두가루는 아주 불편한상황 발생합니다.
된장 쌍화탕 대파 고추 소주 등등 집에있는 향신료나 재료넣고 푹 삶으면 좋습니다
압력솥에 물을 자작 타지않을정도만 붙고
0.5 미리정도요 압력시작되면 약불에서
좀만 놔뒀다가 불끄면 부드럽고 좋아요
양념하면 짜져서
그냥 아무것도 안넣고
김치 했으면 먹으면 간도 딱좋아요
괜히 간했다가 짜면 곤란해서 아예 안하는데
맛이 간안한게 나아요
압력솥에 안하면 좀 질길겁니다. 믹스커피나 원두는 넣지 마시고, 마늘은 생략해도 양파는 꼭 넣으세요(잡내잡는 일등공신)
신선하다면 핏물 안 빼고
여기서 알려준 맛소금만 넣고 한 수육이 제일 맛있었어요ㅎㅎ
끓는 물에 고기 넣고 25분정도 삶은 후 불 끄고 30분이상
그대로 뜸들임. 적당히 야들하고 맛있어요!
재료 모자르면 그냥 쌍화탕으로 퉁치세요
한방 수육 좋아하면
쌍화탕 한 병 넣어보세요
엣헴 최근 앞다리살로 수육 10kg 이상 해먹은 레시피 나갑니다.
다 필요없고, 맹물에 소금간만 해도 됩니다만
저는 좀 심심해서 마늘 몇 알, 양파 한 개, 된장 한스푼 넣었습니다.
3kg 삶을 때 양파 한 개는 사실 티도 안남 ㅎㅎ
푹 삶아 부들부들 버전,
센불 바글바글 10분 중약불 30분 불 끄고 20분 뜸
좀 탱탱하게 하고프면 중약불 20~25 로 짧게요.
근데 이거 진짜 레시피 시간이 의미가 없는 게,
삶는 덩어리 크기가 다 달라서 공식화 어려움
믹스커피 설탕말고 커피 알갱이만 넣으면 되고
압력솥 없으시면 전기밥솥 고속 백미 이런걸로 하면 20분이면 돼요. 물은 조금만
쌍화탕, 커피 알, 마늘 조금, 압력밥솥이면 끝이죠. 수육은.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1669268 | 자야하는데 못자겠어요 3 | ㄱㄴㄷ | 2025/01/15 | 1,333 |
1669267 | 실시간 채널 알려주셔서 보고 있어요. 1 | 실시간 | 2025/01/15 | 1,726 |
1669266 | 두부면이 맛있나요? 12 | ㅇㅇ | 2025/01/15 | 1,985 |
1669265 | 고양이 뉴스를 보는데 1 | 고양이 뉴스.. | 2025/01/15 | 3,356 |
1669264 | 전 지금 자러갑니다 5시쯤에 뵈요 4 | 이따 뵈요 | 2025/01/15 | 1,693 |
1669263 | 저 너무 두근거려서 치킨 시켜 먹고 있어요 13 | ㅇㅇ | 2025/01/15 | 2,900 |
1669262 | 저 ㅂㅅ같은게 지가 기어 나오면 되지... 10 | ..... | 2025/01/15 | 2,628 |
1669261 | 과외다끊었어요 고등들 보통 많이 듣는 인강 플랫폼이 뭔지요? 17 | ㅇㅇ | 2025/01/15 | 2,702 |
1669260 | 공부하기싫어미치는 예비고1어쩌나요 ㅜㅜ 7 | 인생 | 2025/01/15 | 1,399 |
1669259 | 늘 이중잣대인 남편2, 취업결정 후 괴롭힘 다시시작. 22 | 숨막힌다 | 2025/01/15 | 3,320 |
1669258 | 한남동 현장 실시간 보는데 수구들은 왜 저렇게 욕해요? 13 | 000 | 2025/01/15 | 4,069 |
1669257 | 100분 토론 보고 있는데 5 | 체포를 기다.. | 2025/01/15 | 2,373 |
1669256 | 접촉사고 내고 나서 이 새벽에 7 | .... | 2025/01/15 | 2,379 |
1669255 | 오늘 소원 말해봐요. 5 | 소원 | 2025/01/15 | 838 |
1669254 | 갑자기 그 얘기가 생각이 나네요 1 | 체포전야 | 2025/01/15 | 1,399 |
1669253 | 서울의소리 재밌어요 1 | 실시간 | 2025/01/15 | 2,470 |
1669252 | 04시30 분에 뉴스특보 6 | .. | 2025/01/15 | 3,529 |
1669251 | 어떤 운동을 하면 좋은가요? 4 | 갱년기 | 2025/01/15 | 1,565 |
1669250 | 노무현 대통령 경호관들 연습보며 눈물보였다 8 | .. | 2025/01/15 | 2,814 |
1669249 | 지금 관저 앞에 극우들 집에 가라고 경찰이 방송하네요 4 | 황기자tv | 2025/01/15 | 2,451 |
1669248 | 저도.극악스럽게.검찰서.괴롭힐까요? 3 | .. | 2025/01/15 | 1,241 |
1669247 | 송중기 부인 2012년 3월 전후 사진들 56 | .... | 2025/01/15 | 30,726 |
1669246 | 대답하는 냥이 많나요 8 | ᆢ | 2025/01/14 | 1,959 |
1669245 | 육군사관학교는 폐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18 | ........ | 2025/01/14 | 3,097 |
1669244 | 이런 미치광이대통령 된 이유는 언론,검찰과 국힘 때문이죠? 8 | 윤잡범 | 2025/01/14 | 1,8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