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젓이 형체 거의 없이 몇 년 삭은 것과 형체 그대로 있는 생젓...

멸치젓 조회수 : 1,317
작성일 : 2024-11-11 17:40:17

멸치젓이 멸치의 형체도 없이 다 풀어진 채로 몇 년 삭은 것 과

멸치 형체가 그대로 있으면서 국물도 있는 멸치젓의 차이점이 무엇 일까요?

둘다 모두 끓이지 않은 멸치젓인데,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맑은 멸치액젓과 함께 넣으려고 하는데

김장에는  둘중에 어떤 멸치젓을 넣어야 맛있을까요?

위에 두가지 모두 김장에 넣었을때 비린맛이 없는 건가요?

김장 망칠까봐 확실하게 알아 보려고 합니다.

 

멸치젓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211.203.xxx.24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11 6:05 PM (106.101.xxx.165)

    젓갈냄새 나고 양념이 진한 남도쪽 김치 좋아하시면 진젓 넣으시구요 섞어서 넣으면 괜찮을꺼에요
    생선이 덜 삭은건 담근지 오래되지 않은 젓갈인데
    이걸로는 담궈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푹 삭은걸로만 해봐서요

  • 2. ,,,,,
    '24.11.11 6:21 PM (14.42.xxx.186)

    덜 삭으면 비린 맛이 나지 싶어요.그건 건지 뼈추리고
    양념에 묻혀 먹음 맛있어요.김장은 잘 삭은걸로 하는게 낫지 싶네요.
    아니면 푹달여서 걸러서 먹던가 하는게,,,,

  • 3. ...
    '24.11.11 6:49 PM (220.75.xxx.108)

    건더기 있는 건 건져서 무쳐먹는 게 나을거에요. 아직
    덜 삭은 거 같은데...

  • 4. 잘 모르지만 ..
    '24.11.11 7:50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결론은 김장에 쓰는건 형체없이 잘 삭은 거라는 말이지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5. ^^
    '24.11.11 7:52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6.
    '24.11.12 1:54 AM (116.37.xxx.236)

    창호지에 받쳐서 액젓만 걸러 쓰면 고급스러운 깔끔하고 달큰 고소한 맛이에요. 끓이지말고 걸르기만요. 전천후 액젓이에요. 나물도 무치고 국도 끓이고…
    혹시 진젓을 쓰면 쿰쿰해서…폭 익으면 맛은 좋아지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6813 국가장학금 10분위는 상위10%가 아니에요 15 .. 2024/11/22 3,316
1646812 11/22(금) 오늘의 종목 나미옹 2024/11/22 286
1646811 성경을 읽고 있는데 자꾸 분심이 들어요. 22 성경읽기 2024/11/22 2,465
1646810 건조기 없이 감말랭이 만들기 9 가을아침 2024/11/22 1,413
1646809 주식 계좌 만들려고요 어디가 편해요? 2 2024/11/22 1,210
1646808 글이 정말 줄었네요 27 글이 2024/11/22 3,039
1646807 손가락 잘린 18개월 영아,병원 15곳에서 거부 11 2024/11/22 3,719
1646806 요양원계신 시아버지 17 며느리 2024/11/22 4,183
1646805 주변에 이런 사람 있나요? 9 agony 2024/11/22 1,975
1646804 23일 더불어민주당 집회 안내 16 !!!!! 2024/11/22 1,154
1646803 걱정 말아요. 그대 5 오늘 2024/11/22 1,201
1646802 윤석열ㅡ 이재명 트라우마 자극하라! 7 역시나 2024/11/22 1,142
1646801 멀어지고 싶은 친구 5 질문 2024/11/22 3,009
1646800 매일 1시간씩 걷는 86세 아버지 38 2024/11/22 24,666
1646799 불교의 무아개념 아시는분 계세요? 4 무아 2024/11/22 1,007
1646798 동덕여대 헛웃음 나오는 두 가지 49 woke 는.. 2024/11/22 6,233
1646797 위키드 보려는데 선택 사항이 많네요 1 영화까지 2024/11/22 1,341
1646796 대전청소년 ADHD진료 병원 추천 좀 해 주세요 은이맘 2024/11/22 298
1646795 갑자기 보고싶어지고 미안한 언니.. 12 세일러문 2024/11/22 6,180
1646794 고급스런 안경테 어디서 맞추셨나요? 8 ㅇㅇ 2024/11/22 1,800
1646793 동대문에 스카프와 모자 도매하는.시장 9 진진 2024/11/22 2,403
1646792 건강검진 3 아침 2024/11/22 1,248
1646791 상담심리 사이버 대학 어디가 좋을까요? 2 상담심리 2024/11/22 1,035
1646790 병원에서 허리사이즈 잴때 8 궁금 2024/11/22 1,911
1646789 비트코인 늦었지만 해보고싶어요 11 ㅇㅇ 2024/11/22 6,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