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후빈곤 막으려면...

예비부자 조회수 : 7,082
작성일 : 2024-11-01 22:48:46

서민 기준 50대부턴 내핍생활 필수에요. 생애최고 근로소득은 대부분 40대에 정점찍고 50대부터 하락하거든요.

 

부동산담보대출 받아서 생활비로 쓴다던가 자산과 소득규모에 비해 비싼 차를 탄다던가 잦은 외식 호캉스 명품소비 등 자산 빵꾸 내는 행동은 절대해선 안돼요.

 

소득이 줄은만큼 40대 때보다 소비 규모를 줄여야돼요.

 

그리고, 부동산 상가니 오피스텔이니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 공장)니 수익형 부동산은 거들떠도 보지 말 것.

 

서민은 A급지 물건을 못사니 공실확률 높음.

 

비트코인이랑 주식은 여유자금으로 아주 조금만... 주식으로 큰 돈 벌 생각하지 말 것. 족발 사먹을 돈 번다는 생각으로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1년 단위로 적금들고 모이면 예금 들기.

 

자투리 돈으로 골드바 조금씩 사두기.

 

자녀 교육비에 올인하지 말 것.

차라리 그 돈 모아 사회초년생 때 정착금으로 보태 줄 것  

 

다들 가정경제 경영 잘해서 자산손실 막고 평안한 노후 보내시길요.

 

나는 가정경제부장관이다 하고, 1년 5년 10년 단위로 계획 짜서 잘 이끌어보세요.

IP : 1.229.xxx.172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ㅋㅋㅋ
    '24.11.1 10:56 PM (121.166.xxx.230)

    맞는말이긴한데
    자녀교육에 올인하지않으면
    대학은 어찌가나요
    요즘같은 경쟁시대에

  • 2. ㅡ,ㅡ
    '24.11.1 10:58 PM (112.168.xxx.30)

    마지막 말씀이 와닿아요.

    저희부모님 맞벌이 대기업다니시고 선생님이셨는데 두자녀 미국 유학까지 시키시고나서 노후 힘들어지셔서 자식들몫이되었고 그것에대한 보상을 엄청 바라세요.

    솔직히 감사는하지만...버겁고 부담되네요

  • 3. ㅡㅡㅡㅡ
    '24.11.1 11:01 PM (61.98.xxx.233) - 삭제된댓글

    매우 옳은 말씀.
    내 생애주기는 82랑 함께 하는게
    나이들수록 더더 감사해요.
    비슷하게 퇴직 은퇴시기인 또래들과
    그 시기를 함께 지낼 생각하니
    든든합니다.

  • 4. 맞아요
    '24.11.1 11:05 PM (125.178.xxx.88)

    맞습니다 쓰는데 장사없어요 요새 옛날드라마보다보면
    어머니 아버지들이 얼마나 아끼고사셨던지 새삼 느끼게돼요
    전기불꺼라 물아껴써라 손리도진짜 달고사시고
    반찬도 두가지정도만 놓고 먹어야돼요
    집밥이 안버거우려면 단촐해야되더라구요
    옛날 일본도 가난해서 된장국에 단무지가 밥상에전부던데
    생선도 한달에 두어번먹었다고
    그런정신으로 살아야될듯요

  • 5.
    '24.11.1 11:12 PM (14.55.xxx.141)

    내핍도 중요하지만 투자를 잘못하면 거지꼴 못 면해요
    젊어서는 회복이 빠르고 기간도 짧지만
    늙어서는 거의 불가능 하죠
    더 큰 문제는 본인이 괜찮아도 자식이 문제를 일으켜
    그거 도와주려다 원룸으로 떠돌이 하는 부모들 많죠
    이래저래 노년은 어려워요

  • 6. 라일
    '24.11.1 11:19 PM (1.239.xxx.222) - 삭제된댓글

    조만간 유럽여행 가려고 채비중인데
    맘이 착잡하네요... 다른곳엔 돈 아껴도 여행비는
    돈 들이거든요 60대 되면 힘부쳐서 못갈까봐 ㅠㅠ

  • 7. ...
    '24.11.1 11:34 PM (211.234.xxx.57) - 삭제된댓글

    50대부터 하락이 아니라 60대구요
    서민은 냅피생활이 아니라, 제2직업 72세까지의 일거리를 찾아야 되요. 노후 고민되면 가용소득에 대해 공부하세요.
    노인 일자리가 왜 중요한지 아실겁니다

  • 8.
    '24.11.1 11:35 PM (211.234.xxx.57) - 삭제된댓글

    50대부터 하락이 아니라 60대구요
    서민은 내핍생활이 아니라, 제2직업 72세까지의 일거리를 찾아야 되요. 노후 고민되면 가용소득에 대해 공부하세요.
    노인 일자리가 왜 중요한지 아실겁니다

  • 9.
    '24.11.1 11:36 PM (211.234.xxx.57)

    50대부터 하락이 아니라 60대구요
    서민은 내핍생활이 아니라, 제2직업 72세까지의 일거리를 찾아야 되요. 노후 고민되면 가용소득에 대해 공부하세요.
    노인 일자리가 왜 중요한지 아실겁니다

    아끼는게 버는게 아니라
    끝까지 버는게 버는거예요.

  • 10. 원글
    '24.11.2 12:05 AM (1.229.xxx.172)

    아껴서 노후대비 확실하게 해놓고, 노년기엔 40대 때 취득해 놓은 자격증으로 소일거리로 할거에요. 건강보험료 절약용으로요.

    젊을 때 대책 없이 쓰다 노후에 똥줄타서 무리 안합니다.

  • 11. 원글
    '24.11.2 12:06 AM (1.229.xxx.172) - 삭제된댓글

    은퇴하면, 0.3인분치 일만 할거에요.

  • 12. 원글
    '24.11.2 12:08 AM (1.229.xxx.172)

    은퇴하면, 0.2~0.3인분치 일만 하면서 몸 살살 다뤄가며 아껴쓸거에요.

  • 13. 여기
    '24.11.2 12:20 AM (59.8.xxx.68) - 삭제된댓글

    82는 소비를 부추기지요
    돈이 화수분이 아닐진대
    돈을 펑펑써도 되는 사람은 연금 300 이상인사람입니다
    믿을건 연금이고
    월세나 배당 이자는 그 담이고요

    돈은 벌때 있을때 아껴서 꿍쳐야 하는대
    사람들은 거꾸로 하지요

  • 14.
    '24.11.2 12:35 AM (42.35.xxx.95)

    예적금..
    은행금리..미친짓
    무조건 예적금아니고 주식해야함

  • 15. ㅇㅇ
    '24.11.2 7:46 AM (59.7.xxx.50)

    교육비는 쓸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잖아요. 무조건 안쓰는게 아니라 적절히 투자 잘 해서 자립 가능한 대학, 학과에 진학시키는것도 노후 대비에 아주 중요해요.

  • 16.
    '24.11.2 10:10 AM (115.138.xxx.1)

    최고의 노후대비는 소비수준을 차츰차츰 줄이는거에요
    갑자기 자린고비한다고 스트레스받기보다는
    연단위로 불필요한 소비를 점점 줄여나갑니다

    생활용품 옷 등은 꼭 필요한거 외에는 거의 안사구요
    식비도 냉파해가며 최소한으로 조금씩 구매하니 많이 줄었고, 50대에 소득의 대부분을 저축하니 마음이 풍요로와져서 그런가 물욕이 더 없어져요

  • 17.
    '24.11.2 10:12 AM (115.138.xxx.1)

    저는 isa계좌에 배당주 위주로 적립식으로 모아갑니다
    예적금은 인플레때문에 별로고 가끔 채권특판상품도 넣는데 짭짤해요

  • 18. 생활비
    '24.11.2 10:29 AM (210.222.xxx.226)

    퇴직하면 노는 시간 많아져서 돈 더 씁니다
    최소 생활비*2해야 노후 생활비예요
    질병 등 급작스러운 소비는 제외하더라도요
    그래서 퇴직 시기를 늦추거나 세미잡을 꼭 가지셔야 합니다
    시간 보낼 수 있고 사람 만날 수 있고 돈 벌 수 있고 절약할 수 있고 일석사조입니다
    물론 소비 줄이기도 미리 연습하셔야 합니다

  • 19. 딴소리
    '24.11.2 11:27 AM (211.209.xxx.251) - 삭제된댓글

    ㅎㅎ 근데 와 명화씨 음성 재생이 되나 모르겠네요~
    명화씨가 부자라 그런강 ㅎㅎㅎ

    마지만 멘트는 이.끌어. 보새.요
    이렇게 들려요
    (농당 죄송)

  • 20. 좋은
    '24.11.2 1:54 PM (39.7.xxx.185)

    좋은 말씀이네요. 소비의 끈을.. 잘 조절해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3593 작은댁에서 저를 심리적으로 힘들게해요.조언좀.. 31 ㅡㅡ 2024/11/13 4,806
1643592 조국혁신당 “오는 20일 광화문 광장에서 탄핵소추안 공개” 6 지지합니다 .. 2024/11/13 768
1643591 ‘차기 대권 주자 적합도’…이재명 46.9% vs 한동훈 17... 16 대단 2024/11/13 1,435
1643590 삼성전자, 지금 사면 안 될까요? 17 ... 2024/11/13 5,490
1643589 넷플 영화 추천합니다~~ 8 여성의 삶 2024/11/13 3,034
1643588 어지러우신데 뭐가 좋을까요? 4 88세어머니.. 2024/11/13 822
1643587 5박 6일 해외순방 다녀오면 피곤하지 않나요? 12 세상편해~ 2024/11/13 1,482
1643586 차영업맨들은 저렴한차판매는 싫어하나요 4 땅지 2024/11/13 912
1643585 주말에 청승떨지않고 할수있는일 있을까요? 3 주말 2024/11/13 1,042
1643584 음주운전만 3번 박상민, 집행유예 선고 선처 통했다 3 ........ 2024/11/13 1,230
1643583 청년내일 저축계좌 개설 조건 .... 2024/11/13 673
1643582 송재림 수능 수험생 수송 자원봉사도 했었나봐요 5 송재림 2024/11/13 2,532
1643581 솜씨좋은 치과샘인데... 12 ㅇㅇ 2024/11/13 2,900
1643580 커피 안 마시는 분들 투썸에서 뭐 드세요? 9 .... 2024/11/13 1,642
1643579 생일선물로 에어랩 또는 2-3백정도 가방중에 선택을 8 아직 2024/11/13 1,045
1643578 만두에 돼지고기 부위 7 .... 2024/11/13 854
1643577 고양이 키우는것..쉽나요 37 애완 2024/11/13 2,543
1643576 [명태균] 공공기관 "기관장 임명 개입 정황".. 4 ........ 2024/11/13 1,361
1643575 수험생 어머님들 정말 수고많으셨어요 3 ........ 2024/11/13 701
1643574 에어랩 사용중인데요 2 ㅇㅇ 2024/11/13 1,474
1643573 날씨가 너무더워요 5 .... 2024/11/13 1,445
1643572 시어머님 생신 66 ㅇㅇ 2024/11/13 5,081
1643571 요즘 마포집값은 어떤가요? 7 2024/11/13 2,481
1643570 내가 이혼을 망설이는 이유.. 11 aa 2024/11/13 4,493
1643569 K8과 그랜저 중 어떤게 더 좋을까요?? 하이브리드 해야하나요... 9 자동차 2024/11/13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