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문열은 왜 상을 못받았을까요

ㄴㄷㅈ 조회수 : 5,438
작성일 : 2024-10-10 20:44:37

이사람의 보수적인(?) 여성관이 많은 안티를 불러일으킨 알겠지만

글자체는 무척 잘쓰고 재능러임은 인정하는데요

저는 이사람이 쓴 책중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와 익명의 섬, 들소를

좋아합니다만

노벨상은 시대의 운이란것도 타고나야 할까요

이사람의 전성기는 한국이 막 한류이런걸 탈때가 아니어서

경제력도 지금만 못했고...

 

또 작가가 흡입한 시대의 공기도 달라서

문학의 두 거대 기둥, 보편성과 특수성에서

특수성은 충족했지만 보편성 획득을 못한걸까요

 

아주 보수적인 근대적인 한국의 모습과 문화를

세계인이 좋게 받아들였을려나요..

 

 

IP : 61.101.xxx.67
4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ㅈㄱ
    '24.10.10 8:46 PM (14.42.xxx.224)

    가볍지않나요?

  • 2. 이사람은
    '24.10.10 8:46 PM (59.17.xxx.179)

    짧은 문장 재주는 있다 생각합니다.
    근데 전체로 보면 글쎄요....

  • 3. ...
    '24.10.10 8:46 PM (116.125.xxx.62)

    상아온 삶, 특히 늙그막의 행적을 보세요. 극보수주의자.

  • 4.
    '24.10.10 8:48 PM (1.240.xxx.21)

    한강의 문학성은 독보적이고
    시대를 읽는 탁월한 분석과 인류애를 뛰어난 문학성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노벨문학상을 받았겠죠.

  • 5. 그게
    '24.10.10 8:48 PM (113.210.xxx.200) - 삭제된댓글

    운도 많이 작용하잖아요. 저는 이문열씨 작품 좋아합니다.

  • 6. ㅇㅇ
    '24.10.10 8:49 PM (182.220.xxx.154) - 삭제된댓글

    전 노벨문학상 수상 뉴스보고, 박경리 선생님 생각이 났어요.

  • 7. ..
    '24.10.10 8:49 PM (175.193.xxx.10)

    주제가 보편적이지 않고 너무 지 얘기잖아요.

  • 8. 이문열 김지하
    '24.10.10 8:50 PM (59.6.xxx.211)

    너무 싫음.

  • 9. 이문열은
    '24.10.10 8:53 PM (125.138.xxx.203)

    천재에요. 정치적인 탄압받아서그렇지. 한창 진보정권에 페미니즘이 창궐할때..악다구니 뺵뺵뺵들의 희생자.. 어찌보면 이문열이니 할 수 있다고 봅니다.

  • 10. 아니 ㅎㅎ
    '24.10.10 8:53 PM (121.162.xxx.234)

    에이,, 반공시대를 타고 교과서에 올린 작가지
    이 문열을 그 정도는 좀—;
    조정래나 박경리셈은 왜 못받았을까도 아니고,,
    솔직히 노벨상에 끌어올 작가는 한참 아닙니다

  • 11. 한강은
    '24.10.10 8:53 PM (211.206.xxx.180)

    노벨상 외에도 여러 해외상들 탔었네요.
    인지도에서 이미 넘사벽.

  • 12. starship
    '24.10.10 8:53 PM (106.101.xxx.142)

    오래된 기억이지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표절의혹 있었어요. 그리고 여성의 삶에 대한 왜곡된 소설도 있었고요.
    여러가지로 노벨상 깜이 안되죠

  • 13. 리메이크
    '24.10.10 8:54 PM (125.183.xxx.169)

    그에게는 한강같은 독창적인 세계와 인류애가 앖었죠

  • 14. ....
    '24.10.10 8:55 PM (116.38.xxx.45)

    전 이문열씨 작품 여럿 읽었지만 그렇게 뛰어나단 생각은 안들었어요.
    상당히 현학적이다 란 느낌만.

  • 15. ㅇㅇ
    '24.10.10 8:55 PM (112.133.xxx.73)

    이문열은 노벨문학상 받을 격이 아닙니다.
    재기와 잡학다식으로 인기를 끈 작가였죠.

  • 16. 하늘에
    '24.10.10 8:55 PM (183.97.xxx.102)

    다 떠나서... 번역되는 게 중요한거 같아요.

  • 17. ㅡㅏ
    '24.10.10 8:55 PM (114.203.xxx.133)

    이문열도 글은 잘 쓰지만
    급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이문열에게 시대를 통찰하는 능력은 없어 보여요.

  • 18. 지금
    '24.10.10 8:55 PM (124.50.xxx.70)

    치매 아닌가요?

  • 19. dma
    '24.10.10 8:55 PM (124.49.xxx.205)

    스케일이 달라요. 한강작가 만큼의 스케일에 훨 못미쳐요. 이문열은 보편성 뿐 아니고 편협하고 왜곡된 시선도 갖고 있어서 읽는데 불편해요.

  • 20. 에이
    '24.10.10 8:56 PM (59.11.xxx.27)

    어딜 이문열을…
    너무하시네…

  • 21. ㅇㅇ
    '24.10.10 8:57 PM (112.133.xxx.73)

    맞아요.
    이게 정답이네요.

    이문열에게 시대를 통찰하는 능력은 없어 보여요.
    222222222222222

    그냥 인터넷이 없던 시대, 지적인 향연에 독자들이 매력을 느낀 거지,
    스케일은 아니죠.
    격이 한참 떨어지는 작가입니다.

  • 22. 돌려생각해보면
    '24.10.10 8:58 PM (59.17.xxx.179) - 삭제된댓글

    이문열 행태는 당연히 맘에 들지 않으나
    한 인간의 개인사로보면 불쌍한 마음도 있긴 있음.

    왜냐, 이문열 아빠가 월북했거든요.
    어린나이에 아빠와같은 공산주의자로 몰릴까봐 엄청 두려워했던걸로 보여요.
    연좌제로 피해볼까봐 어려서부터 더욱 더 보수 보수 극보수를 외치며 살아왔죠.

  • 23. 글만
    '24.10.10 8:59 PM (211.107.xxx.122)

    잘 쓴다고 상 받는 게 아니겠죠.
    몇 권 읽어 보니 알맹이 없는 자뻑, 허세가 심해요.
    특히 황제를 위하여, 사람의 아들, 선택 이렇게 세 권은
    거의 천상천하유아독존 스타일의 글쓰기 신공이 엿보였어요.

  • 24.
    '24.10.10 8:59 PM (106.101.xxx.52) - 삭제된댓글

    글을 끌고 나가는 힘도 없어요. 궤변적일 뿐..

  • 25. ...
    '24.10.10 9:00 PM (175.114.xxx.108) - 삭제된댓글

    이문열에게 시대를 통찰하는 능력은 없어 보여요. 3 3 3 3

  • 26.
    '24.10.10 9:03 PM (211.186.xxx.59)

    잡다한지식많음 편협한 시각 동의요

  • 27. ...
    '24.10.10 9:03 PM (118.235.xxx.3)

    이문열은 초기 단편이 뛰어났어요. 그 시절과 지금은 화두가 다르죠. 저는 한강 작품은 별로 인지라 노코멘트.

  • 28.
    '24.10.10 9:12 PM (124.49.xxx.205)

    글재주와 작가적 정신은 다르죠. 글재주 있는 사람은 이문열 말고도 많아요.

  • 29. ......
    '24.10.10 9:13 PM (61.73.xxx.242) - 삭제된댓글

    이렇게 무시당할 작가는 아닌데 안타깝네요. 문학 바깥에서의 행보가 문학을 덮었나봅니다.

  • 30. ㄴ 글쎄요
    '24.10.10 9:17 PM (121.162.xxx.234)

    덜 유명한 더 뛰어난 작가 많습니다만 ㅎㅎ

  • 31. 쓸개코
    '24.10.10 9:17 PM (175.194.xxx.121)

    책 몇개 잘 읽긴 했는데.. 이문열이 정치탄압을 받았다니.. 금시초문이에요.

  • 32. ㅇㅇㅇ
    '24.10.10 9:19 PM (120.142.xxx.14)

    중학교때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 팬이 되었어요. 이후로 그의 책을 많이 읽고 좋아했는데... 레드컴플렉스로 찌든 그의 사고가 본인이 쌓은 공을 엎더군요.
    글 잘 쓰는 사람 많지만 이문열은 이야기꾼의 자질이 높았죠. 근데 거기까지. 걍 이야기꾼일뿐. 철학이 없어요.

  • 33. ...
    '24.10.10 9:21 PM (223.39.xxx.2)

    노벨상을 개나소나 주겠나요

  • 34. ...
    '24.10.10 9:35 PM (61.79.xxx.23)

    표절 논란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35&num=612812

  • 35. 졸리
    '24.10.10 9:39 PM (210.223.xxx.28)

    이문열을 이리 폄하하는 사람들은 대체 뭘까?

  • 36. 이문열은
    '24.10.10 9:48 PM (119.71.xxx.160)

    작품들에서 깊이가 부족하죠 철학도 얕구요
    재미는 있었습니다만. 그래도 이문열 작품 중엔 사람의 아들이
    오래토록 기억에 남네요.

  • 37. ㅇㅅ
    '24.10.10 9:49 PM (175.198.xxx.212)

    탄압을 받아요? 하고싶은 말 다 하고 산 사람인데?

  • 38.
    '24.10.10 9:58 PM (61.97.xxx.142) - 삭제된댓글

    스웨덴 한림원이 밝힌 수상이유를 읽어보세요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
    시대의 아픔을 흘려넘기지 않는 한강 작가의 시선에 대해서 상을 준거에요

    이문열은 촛불집회에 모인 시민을 보고 “김일성 생일잔치에 동원된 북한주민같다”고 막말했었죠

  • 39.
    '24.10.10 10:03 PM (61.97.xxx.142)

    스웨덴 한림원이 밝힌 수상이유를 읽어보세요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
    시대의 아픔을 흘려넘기지 않는 한강 작가의 시선에 대해서 상을 준거에요

    이문열은 촛불집회에 모인 시민을 보고 “김일성 생일잔치에 동원된 북한주민같이 보인다는 사람들도 있다”고 말했죠.
    안티조선일보 운동을 하는 시민단체들을 홍위병이라고 부르기도 했죠
    그런 인간한테 한림원이 상을 주겠어요?

  • 40.
    '24.10.10 10:10 PM (125.184.xxx.70)

    이문열을 갖다대다니요?

  • 41. ㅇㅇ
    '24.10.10 10:19 PM (61.97.xxx.142)

    점셋님이 댓글로 달아주신 링크 읽어보니 대박이넹와..

  • 42.
    '24.10.10 10:21 PM (211.218.xxx.115) - 삭제된댓글

    시대 정신을 통착하는 능력이 없죠.
    박완서 작가가 산업화와 물질 만능주의 ,계급주의를 소설에서 드러냈다면.
    김영하 작가는 세월호 사건 이후 모티브를 얻어서 두사람이란 소설을 썼고요ㅡ
    작가라면 독자들과 시대를 공감할줄 알아야합니다.

  • 43. 이문열의 수준
    '24.10.11 9:53 AM (220.117.xxx.100)

    그럴듯한 이야기꾼
    딱 거기까지인 수준을 그대로 이야기했을 뿐인데 있는 그대로 말한 것을 폄하라고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대체 뭘까요?

  • 44. 아이고
    '24.10.11 1:50 PM (220.118.xxx.65)

    노벨 문학상 물망에 오르렴 글재주 있는 정도로는 안되요.
    이문열 저도 몇 개 읽어봤지만 이 사람이 일관성 있는 깊이 있는 세계관과 자기 성찰이 있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2891 다이소에서 과소비하고 나니 생기가 돌아요! 19 호ㅗㅗ 2024/10/14 5,267
1632890 에어컨 추가 달았어요 3 2024/10/14 1,255
1632889 전란...민주주의국가에서 태어나서 사는 기쁨 10 2024/10/14 1,750
1632888 마약은 다 묻혔네요 6 .... 2024/10/14 3,387
1632887 신발장 펜트리 정리하니 날아갈것 같아요 2024/10/14 1,210
1632886 전세 재계약관련, 정말 몰라서요 7 가시 2024/10/14 1,093
1632885 투썸 케잌중 어떤게 제일 맛있어요? 11 ... 2024/10/14 4,239
1632884 병원 예약해두긴 했는데 2 .. 2024/10/14 856
1632883 친정 가까워도 잘 안가고 연락 잘안하게되네요. 6 휴우 2024/10/14 2,674
1632882 비행기에서주는 여행용 파우치 좋아하세요?? 22 해외 2024/10/14 3,842
1632881 헬기가 계속 여의도쪽에서 성남 방향으로.. 3 ........ 2024/10/14 1,904
1632880 홍대 신촌근처 인당 10만원 식사 6 ... 2024/10/14 1,085
1632879 여학생들 비둘기를 대부분 무서워하나봐요 25 ..... 2024/10/14 2,565
1632878 정치)ㅎㅎ희안하네요.윤건희 이재명 15 ㄱㄴㄷ 2024/10/14 2,714
1632877 [펌] 동물병원에 입원한 반려견이 걱정돼 칼퇴하고 찾아갔더니.j.. 5 ..... 2024/10/14 2,684
1632876 넓적하고 무거운 돌을 주을 수 있는 곳은 어딜까요? 3 취미생활 2024/10/14 979
1632875 말레이시아 아이들이랑 한달살기 하신분들 6 2024/10/14 1,537
1632874 글올리기위한글_여행유튜버 역마살로드 강추합니다 4 글쓰자 2024/10/14 799
1632873 산길을 산책할 수 있는곳 1 서울시내 2024/10/14 603
1632872 영화 아델라인 처럼 평생 안늙을수 있다면 9 ㅁㅁㅁ 2024/10/14 1,783
1632871 “한의원 대상 민원 넣으면 40만원”…비방에 사직 전공의 동원 10 qwerty.. 2024/10/14 3,187
1632870 염소탕 택배 되는 곳 있을까요? 8 ㅇㅇ 2024/10/14 709
1632869 질초음파 안아프게 하는 산부인과 없을까요? 13 서울 2024/10/14 2,971
1632868 여론조사 꽃 윤석열 긍정평가 19.2% 14 여론 2024/10/14 2,673
1632867 누구나 하나쯤 집착하는게 있겠죠? 4 그림 2024/10/14 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