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재칠시(無財七施) : 재물이 없어도 남에게 베풀 수 있는 것이 일곱가지
있다는 불교용어입니다.
어떤 이가 석가모니를 찾아가 호소를 하였다.
"저는 하는 일 마다 제대로 되는 일이 없으니 무슨 이유 입니까?"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기 때문이다."
"저는 아무 것도 가진 게 없으니 남에게 줄 것도 없습니다."
"아무 것도 없다고? 네가 남에게 베풀 수 있는 것이 일곱자기는 있는니라."
첫째는 화안시: 어굴에 화색을 띠고 부드럽고 정다운 얼굴로
남을 대하는 것이요.
둘째는 언시: 사랑의 말, 칭찬의 말, 위로의 말, 격려의 말, 양보의 말, 부드러운 말로써 남에게
따뜻한 마음을 주는 것이다.
셋째는 심시: 마음의 문을 열고 모든이에게 진실된 마음ㅇ로 대하는 것이다.
넷째는 안시: 호의와 사랑을 담은 눈으로 보는 것처럼 눈으로 베푸는 것이다.
다섯째는 신시: 남의 짐을 들어 주는 것처럼 몸으로 남을 돕는 것이다.
여섯째는 좌시: 자리를 내어서 양보 하는 것이다.
일곱째는 찰시: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속을 헤아려 알아서 도와 주는 것이다.
이 일곱 가지를 진실하게 행하면 하는 일이 순조로워질 것이다.
이것의 불교에서 나오는 말이라고 하는데
서양의학에서 보니까
친절을 베풀고 감사한 인사를 하고
이러면 몸에서 좋은 호르몬이 나와서
면연력을 높여준다고 하더라구요.
즉 좋은 생각, 좋은 말 , 좋은 행동을 하면
남에게 내가 뭔가를 해 준다고만 생각하는게
그것 보다는
내가 나 자신에게 좋은 것을 해 주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러니까 남들에게 친절을 내가 베푼다~라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내 친절에 대한 반응이 좋으면 기쁘지만
반응이 없거나 부정적이라면
내 자신을 탓하거나 상대방까지 탓하게 되잖아요.
하여간 사람들에게 친절하면 안돼~
잘하면 호구잡혀~이런 생각을 하게 되잖아요.
하지만 내가 좋은 말과 행동을 했을 때
내 몸에서 좋은 호르몬으로 보상 받았기 때문에
남들의 반응은 중요하지 않다고 보거든요.
그리고 불교에서 처럼
저렇게 하다보면
언젠가는 내 자신에게, 내 가족에게 좋은 일이 생기더라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