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식은 희생과 책임이 필요해요

나는 조회수 : 3,950
작성일 : 2024-07-08 21:49:31

6-70년대 출생이후 자란 세대는 

8-90년대 사교육이 있어도

지금처럼 필수보단 선택의 시기였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지만

부모가 낳아만 놓아도 알아서 학교다니기도 했는데요,

 

요즘은 사교육필수에 애들 라이드에 

부모가 전적으로 애들 지지해줘야 하고, 

애 하나당 사교육비에 유지비가 만만치않고

비용을 떠나서

자식은 내 이기심을 다 내려놓고 

인내와 희생과 사랑이 필요하고, 

그중 그렇지 않음에도 잘자라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게는 그래요,

그리고 1-2년 단기간이 아니라 

제대로 사람 만드는데 정성과 20년이란 시간이 걸려요,

 

그렇기에 

자식은 그런 마음과 다짐으로 낳아야 된다고 봐요, 

자기 필요에 의해 (내 노후나 봉양등) 만드는 존재가 아니기에

그리고 나와 자식의 절대적 건강도 미지수라는 점 염두하고요,

 

희생과 인내 다짐이 되고,  

나도 자식도 건강 보장이 어느정도 된다면

언제든지 낳고 그리고 이세상에 내 배우자만큼 혹은 그보다  더욱 서로 사랑하는 대상이 되는 기쁨임에

틀림없으니 응원합니다. 

IP : 121.170.xxx.15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7.8 9:51 PM (222.98.xxx.109)

    그래서 안 낳죠...

  • 2. ...
    '24.7.8 9:53 PM (115.138.xxx.39)

    결혼해서도 안떠나잖아요
    집사달라 애키워달라 무슨날만 되면 돈내어놓아라
    영원한 족쇄고 목줄이에요

  • 3. 동감
    '24.7.8 10:03 PM (114.203.xxx.133)

    우리 부모가 희생으로 우리를 키워 냈듯이
    저도 희생으로 아이를 키울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고요
    아이가 저에게 주는 기쁨이 커서 보람찬 희생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도 그렇게 살았으면 좋겠는데 세상이 너무 많이 변하고 환경오염도 심해서 권고를 못 하겠어요

  • 4. 문제는
    '24.7.8 10:12 PM (27.117.xxx.155)

    우리 부모세대는 그걸 희생이라고 생각 안 하셨죠.

    그때는 그냥 사회 분위기가 그게 당연했으니까.

    부모면 당연히 아이들 그렇게 키운다고 생각하셔서...

    새벽 같이 일어나서 하루에 도시락 3-4개씩 준비하고, 그런 거 다 하셨죠.

    근데 요즘은 안 그러죠. 도시락도 안 싸고, 솔직히 아이 키우는 물리적 환경은 편해졌죠.

    그러면서 돈이 더 든다, 사교육비 더 든다고 말은 하지만,...

    예전 부모님 세대에 비해서 자신의 행복을 우선 순위에 놓는 사회적 분위기가 된 거죠.

    지금 세대를 비난하는 건 아니에요. 다만 사회가 바뀌었을 뿐이에요.

    "자식을 위해 희생한다" 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애를 쉽게 못 낳으니까요.

  • 5. ㅇㅇ
    '24.7.8 10:15 PM (210.126.xxx.111) - 삭제된댓글

    자식은 부모의 사랑과 희생을 먹고 자라는 거야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 같지만
    옛날에는 자식을 낳고 기르는 일이 사람이 살아가는 한 부분이었다고 생각되는데
    지금 시대에는 왠일이지 부모가 자식에 몰빵한다 싶은 게
    부모의 스케쥴이 자식한테 맞춰져 있는 듯한 그런게 있어요
    그러니까 옛날에는 자식을 공부를 시키되 잘되고 못되고는 니탓이다 이런 생각이었는데
    지금은 부모가 자식을 이끌어줘서 자식을 성공시켜야 한다는 강박증이 있는 사회가 되어서
    부모와 자식 모두가 경쟁에 뛰어든 느낌
    보면 숨막혀요. 요즘세대가 자식을 낳지 않으려고 하는게 이해가 가기도 해요

  • 6. ㅇㅇ
    '24.7.8 10:16 PM (210.126.xxx.111)

    자식은 부모의 사랑과 희생을 먹고 자라는 거야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 같지만
    옛날에는 자식을 낳고 기르는 일이 사람이 살아가는 한 부분이었다고 생각되는데
    지금 시대에는 왠일이지 부모가 자식에 몰빵한다 싶은 게
    부모의 스케쥴이 자식한테 맞춰져 있는 듯한 그런게 있어요
    그러니까 옛날에는 자식을 공부를 시키되 잘되고 못되고는 니탓이다 이런 생각이 강했는데
    지금은 부모가 자식을 이끌어줘서 자식을 성공시켜야 한다는 강박증이 있는 사회가 되어서
    부모와 자식 모두가 경쟁에 뛰어든 느낌
    보면 숨막혀요. 요즘세대가 자식을 낳지 않으려고 하는게 이해가 가기도 해요

  • 7. 그런데
    '24.7.8 10:19 PM (211.234.xxx.112)

    자식에게 헌신, 희생은
    고생스러우면서도 할 때 기쁨이 느껴지고 헌신, 희생으로 안 느껴진다는데 묘미가 있죠.
    이건 낳고 기르기전 막연히 생각만으로 상상하는 것과는 다른 경우가 많아서(없을 때 생각으로는 희생만 보이고 기쁨은 짐작조차못하죠) .
    적어도 저는 그랬어요.
    원래 이기적 개인주의적 성향 강한데다 아이를 원래 좋아하지도 않았던터라(고집부리고 때쓰는 아이들 보면 짜증나고 때려주고 싶음ㅡ.ㅡ),
    제가 이렇게 느낄지는 몰랐어요.

    내가 누리는 것보다 내가 누릴것 주면서 더 기쁜 대상이 자식이더라고요.

  • 8.
    '24.7.8 10:42 PM (122.36.xxx.14)

    도시락 두개씩 총 새벽에 6-7개씩 싸도 누구 도시락엔 계란 깔려 있었다(차별) 누군 밥만 먹고 컸다 평생 원망 듣고 살아야 하니 보통일이 아니죠
    저 또한 부모 원망할 때도 있지만 부모 참 아무나 하는 거 아니구나 실수할 수 있고 그걸 어느정도 받아들이는 사회적 분위기도 됐음 좋겠다 싶은데 걸핏하면 의절하래 좀 적당했음 싶은데 너무 심한 상처입은 분들께는 또 그또한 상처겠죠.어려워요 ㅜ

  • 9. ...
    '24.7.8 11:00 PM (124.60.xxx.9)

    그래서 안낳죠2222

  • 10. .....
    '24.7.8 11:52 PM (220.118.xxx.37)

    모든 동물이 자식 낳아 헌신으로 키우죠.
    인간만 안 그럴 듯

  • 11. 대신
    '24.7.9 4:46 AM (219.255.xxx.39)

    봉양과 보험역할 기대했죠.

    요즘은 안낳고 안키우고 안기대죠.

  • 12. 저 위에
    '24.7.9 7:23 AM (211.212.xxx.141)

    자식을 위한 헌신은 기쁨이고 어쩌고 쓰신 분은 애가 어린가?
    돈은 때려박는데 공부는 못하고 아무 생각없이 성인되어서도
    부모한테 빌붙으려는 자식을 보면서도 저리 말할 수 있을까요?

  • 13. 그리고
    '24.7.9 7:24 AM (211.212.xxx.141)

    동물은 모성호르몬 나오는 짧은 기간에만 자식을 위해 헌신합니다
    인간처럼 최소20년에서 40년갈아넣질 않아요.

  • 14. 자식한테 부모는
    '24.7.9 3:22 PM (122.37.xxx.108) - 삭제된댓글

    문서없는 종이고
    인생의 평생 숙제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2665 시댁식구와 2박3일 휴가. 9 2024/07/17 4,166
1602664 차납...이 뭔가 했더니 24 우와 2024/07/17 5,502
1602663 아들집사준태 대출 3 부모집 2024/07/17 2,149
1602662 댓글팀은 자유롭게 탈퇴가 가능할까요? 20 국정농단 2024/07/17 1,132
1602661 고추가 맵다 1 물물 2024/07/17 585
1602660 직장생활MZ들이랑 잘 지내시나요? 13 2024/07/17 3,379
1602659 원목마루 쪽갈이 분쟁 ᆢ 어째야 할까요? 3 123123.. 2024/07/17 1,898
1602658 유산균 추천해 주세요! 1 신나게 2024/07/17 865
1602657 이런 남편의 심리..뭘까요? 5 .... 2024/07/17 2,024
1602656 압력솥사려는데 AS받을수 있는곳 11 ㅇㅇ 2024/07/17 896
1602655 회사에서 이런 컵 쓰면 유치하겠죠 10 ... 2024/07/17 2,448
1602654 성게알이 많아요~어떻게 먹어야하나요? 21 레시피 2024/07/17 2,292
1602653 오븐 열기에 싱크대 괜찮은가요? 3 오븐 2024/07/17 1,149
1602652 트럼프 총알 빗맞는 영상 분석한 거래요 16 .. 2024/07/17 6,143
1602651 (교회) 심방, 구역예배 이런 거 꼭 해야 하나요? 8 언젠가는 2024/07/17 1,766
1602650 쿠쿠나 뉴트리불렛 믹서기 써보신분 좋나요? 5 믹서기 2024/07/17 814
1602649 수육은 구이보다 기름섭취를 덜 한다? 12 고정관념 2024/07/17 3,247
1602648 새끼발톱모양 다들 어떠세요? 7 새끼발톱모양.. 2024/07/17 2,274
1602647 7/17(수) 오늘의 종목 나미옹 2024/07/17 652
1602646 여름김치가 먹고 싶어요 10 서울 2024/07/17 1,959
1602645 내일이 서이초 선생님 기일인데; 가짜꽃(조화)으로 된 근(조화).. 2 서이초 2024/07/17 1,249
1602644 사람은 알 수가 없네요 13 심리 2024/07/17 5,829
1602643 윤병희 배우..연기잘하네요 19 123 2024/07/17 3,618
1602642 임플란트 비싼 치과는 뭔가 다를까요? 3 임플란트 2024/07/17 1,863
1602641 와 청와대인줄알았네 7만평에 4000억들인 경북 도청 16 2024/07/17 5,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