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층고 높은 집의 장단점

어떠세요 조회수 : 3,295
작성일 : 2024-04-17 19:01:21

저는 키 160이고 성인이 될 때까지 아파트에서만 살았어서 그런지 층고 높은 집은 집같이 느껴지지가 않아요. 은행이나 호텔 공공건물 같아서 편안하지 않아요. 지금은 결혼해서 단독 주택에 살지만 층고 낮은 오래된 주택이에요. 그 아늑한 느낌이 우리집같아서 좋아요. 잠도 크고 멀쩡한 침대방 놔두고 손바닥만한 짜투리 방에서 요깔고 자요. 엄마 뱃속에 다시 들어간 것 같은 아늑한 느낌이 좋아서요. 짐작 가시겠지만 미니멀 인테리어 안 좋아해요. 나만의 영역표시가 전혀 없는 익명의 공간, 호텔, 콘도같은 느낌이 싫어서요. 아기자기 복작복작 그런 인테리어 좋아하고요. 옷도 차도 몸에 딱 맞는 작은 걸 좋아해요.

 

근데 이번에 새 집을 찾아서 이사갈 일이 생겼는데 키 180의 남편이 이번엔 층고가 높은 집을 사자고 하네요. 그동안 많이 답답하고 불편했다고요. 뭐라고 하죠, 펜듈라 조명? 댕글댕글 매달린 조명이요. 거기 부딪힌 적도 많았고 천장이 높으면 숨이 탁 트일 것 같다고, 하지만 제 돈으로 살 거니까 목소리를 높이지는 못하고 조심스레 의견을 제시하네요. 그렇다면 층고가 높은 집의 장점은 뭘까요?

 

전 단점밖에 생각이 안 나요. 냉난방이 효율적이지 못하고 제 기준으로 볼때 아늑한 느낌이 없고, 그런 집 들어가보면 이걸 다 누가 청소하나 특히 저 높이 달린 등이랑 커텐이랑 통창이랑 다 어떡하나 싶고요. 요즘은 층고 높은 집이 인기가 많은 것 같은데 살아 보신 분들, 장점이 뭔지 알려주세요. 감사!

IP : 74.75.xxx.12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4.17 7:56 PM (59.30.xxx.66)

    답답하지 않고 햇볕도 잘 들고 더 환해요.
    여유 있으면 층고 높은 집이 더 좋지요

  • 2. 층간소음이
    '24.4.17 8:06 PM (211.250.xxx.112)

    적어요. 딱 들어섰을때 천장이 왜 이리 낮지?생각했던 서울 아파트는 진짜 지옥이었어요. 경기도로 이사왔는데 에어콘이 난장이처럼 느껴지더라고요. 커튼도 7부치마처럼 쑥 올라가고요. 그러더니 윗집 소음이 귀를 때리는게 아니라 아련하게 들려요.

  • 3. 바람소리2
    '24.4.17 8:28 PM (114.204.xxx.203)

    적응돼요
    더 쾌적할거에요

  • 4. ..
    '24.4.17 8:46 PM (125.186.xxx.181)

    전 체적이 큰 집이 좋아서 천장 높은 집이 좋아요. 사람이 훨씬 넉넉해지는 느낌이 들어요. 한국 아파트 높이 2.4 너무해요.

  • 5. 근데
    '24.4.17 8:56 PM (118.34.xxx.85)

    복층도 아니고 그냥 층고 조금 높아지는거 얘기신가봐요
    신도시 아파트 225였나?
    이게 훨씬 좋아요
    낮은집 답답 ~

  • 6. ....
    '24.4.17 9:05 PM (39.7.xxx.9)

    아파트높이 2400 기본이구요 낮으면 가구들도 다 낮아져서 협소한 느낌이 들어요. 그리고 층고가 늦으면 무의식적으로 압박감이 느껴져요. 5평7평 원룸을 왜 복층으로 만드는데요. 좁으니까 위로라도 늘려서 개방감을 줘야 사람 사는거 같죠. 남편 키가 작고 크고 문제가 아니라 원글님이 특이한거에요. 층고가 낮으면 넓어도 답답함이 있어요. 프랑스보니까 신생아들 보육하는 방은 천장에서 넓은 천을 펴서 천장이 아주 낮아진것처럼 만들어주던데요. 그래야 애들이 안락함을 느낀다고요ㅡ 근데 우린 성인이에요 아이가 아닌데 낮은천장에 안락함을 느끼신다면 같이 사는 사람들은 뭔가 매우 말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을수 있어요

  • 7. .....
    '24.4.17 10:00 PM (175.117.xxx.126)

    저 2400 신축 살다가 2200? 구축 왔는데
    살짝 답답한 느낌이 있어요..
    실링팬 설치하고 싶었는데 180 남편이 천정고도 낮은데 실링팬은 진짜 안 하고 싶다고 해서 못했고요 ㅠㅠ
    천정 에어컨 설치시 천정고가 너무 낮아 단내림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었어요.
    (애들 방도 학습지 수업이라도 하려면 에어컨 다 필요해서 천정 에어컨 다 매립했네요)
    단내림 했더니 창가쪽이 천정부분 몇 cm 아래로 내려와서
    사다리차로 이사시에 베란다 난간과 에어컨 단내림 사이 공간이 좀 좁아서 덩치큰 가구는 좀 곤란했고요.
    에어컨 단내림한 바로 아래쪽은 천정고가 더 낮아지기 때문에 키큰 일룸 이타카 네오 책장이 안 들어가서 4개 발을 떼고 간신히 넣었어요.
    구축이지만 인테리어 해서 천정 면 정리 해서 그나마 살만 한 거지 아니었으면 진짜 답답했을 듯요.
    천정 낮아서 커튼 뗄 때는 좋을 듯요..
    아직 이사한 지 얼마 안 되어서 떼보진 않았네요.
    그런데 2400도 의자 위 올라가서 커튼 달면 못 달 높이는 아니었어요~
    아파트라 픽스창인 통창은 없고요..
    제 키가 159로 작은 편인데 저는 천정고 2200보다는 2400이 시원하고 넓고 편안한 것 같아요...

    2200이랑 2400은 뭐 냉난방 차이를 느낄 정도는 아니더라고요..

  • 8. ...
    '24.4.18 12:37 AM (220.126.xxx.111)

    저 층고 280에 삽니다.
    꼭대기층이고 저희층만 280, 나머지는 250이에요.
    이제 다른집 가면 답답해요.
    대신 제가 키가 작아 5단 사다리로도 커튼 못달아요.
    남편 키가 175인데 손을 최대한 뻗어야 전등이라도 갑니다.
    그렇지만 이 시원한 느낌이 제일 좋아요.

  • 9.
    '24.4.18 7:29 AM (112.166.xxx.70)

    50평대고 층고가 270-280 정도 됩니다…. 일단 환기량이 다르니 냄새가 덜 납니다. 쾌적하죠. 시각적으로도 상당히 넓어 보입니다. 수납 공간이 상당히 많아집니다. 단점은 아무래도 난방비가 다소 더 든다는 점이겠죠. 전체적으로 장단 비교하면 장점이 9 단점이 1입니다.

  • 10. ....
    '24.4.18 11:35 AM (121.137.xxx.59)

    저도 오래된 천장 낮은 집에 살 때 답답하더라구요.
    지금 다른 아파트 이사나오니 한 5cm 차이일 듯한데도 답답한 느낌이 덜해요.
    낮은 천장은 짓눌리는 느낌이고 뭘 해도 갑갑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7989 아이 낳을 생각 없으면 13 .. 2024/04/27 3,496
1577988 아침부터 남편이 애를 잡네요 42 ........ 2024/04/27 16,558
1577987 전국 병원 '주 1회 휴진' 일파만파, 진료 축소 불가피 10 일파만파 2024/04/27 2,495
1577986 완전 새 가구를 팔아야하는데 어디다? 3 ㅡㅡㅡ 2024/04/27 1,732
1577985 시판고추장 선택 도와주세요 6 ... 2024/04/27 1,460
1577984 집 사는거요. 16 .. 2024/04/27 3,470
1577983 자식들에게 부모는 어떤 존재일까요? 11 -- 2024/04/27 3,463
1577982 이쁘기만 하구먼 12 퓨리 2024/04/27 3,842
1577981 오븐 사용법 질문드려요 1 구글 2024/04/27 751
1577980 냄새나고 썩은 60대 여자들을 누가건드리냐고? 9 ㅍㅎ 2024/04/27 7,470
1577979 플라스틱 비닐 포장을 줄이는 거 소비자가 해야할거같아요 4 포장 2024/04/27 866
1577978 저 아래 갱년기 화 얘기보니.. 6 ... 2024/04/27 2,476
1577977 이유없이 눈밑 멍이 들었어요 4 아시는 분 .. 2024/04/27 2,059
1577976 50중후반 남편들 어떤모습으로 사나요? 12 ... 2024/04/27 5,792
1577975 남편이 너무 꼴베기싫어요 16 2024/04/27 5,041
1577974 학교친구 없는 아이… 15 .. 2024/04/27 4,318
1577973 EM효소 실수로마심ㅜ.(급질) 8 EM 2024/04/27 1,954
1577972 10시 양지열의 콩가루 ㅡ 양육비 전쟁의 끝 , 양육비를.. 1 같이봅시다 .. 2024/04/27 693
1577971 가르치는 말투로 말하는 사람 싫어요 22 ........ 2024/04/27 5,347
1577970 아침에 엘베 문이 막 열렸는데 5 ... 2024/04/27 2,869
1577969 저 같은 엄마 있으세요? 17 응? 2024/04/27 4,910
1577968 김현정 "손흥민이 용돈은 주지 않냐" 질문했다.. 27 개망신 2024/04/27 6,361
1577967 조국혁신당, 개원 후 검찰캐비닛 국정조사 추진 17 ㅇㅇ 2024/04/27 2,097
1577966 아일릿 하도 화제라 찾아봤는데 14 dd 2024/04/27 4,146
1577965 어제 남편한테 1 허허 2024/04/27 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