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60대인분들 부부사이 그냥그냥인 관계에 남편이 먼저 죽으면

홀로되서 조회수 : 5,220
작성일 : 2024-03-31 19:41:46

슬픔이 얼마나 갈까요?

아니 아예 안슬플라나요? 저희 엄마나 시모도 팔십일때 아버지, 시부

다 돌아가셨는데 부부사이 좋은편이 였는데도 그다지 슬퍼하지 않더군요.

그렇다고 혼자 슬퍼하는것 같지도 않고요.

주위사람들봐도 이런경우 딱히 슬퍼하고 막 이런게 없는데

만약 부부사이가 안좋으면 아예 홀가분 할까요?

IP : 61.85.xxx.9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3.31 7:43 PM (183.102.xxx.152)

    밖으로 표현을 안해서 그렇지
    속으로는 울고 계실지도 모르죠.

  • 2. 홀가분하죠
    '24.3.31 7:44 PM (123.199.xxx.114)

    근데 의지하면서 싸우던 상대가 사라지면
    감정쓰레기통이 죽어도 상실감이 크데요.

    사이좋다는건 어찌보면 독립적인 사람들일 확률이 높아요.
    서로를 존중해주는 사이

  • 3. ㅇㅂㅇ
    '24.3.31 7:46 PM (182.215.xxx.32) - 삭제된댓글

    사이좋다는건 어찌보면 독립적인 사람들일 확률이 높아요.
    서로를 존중해주는 사이


    ㄴㄴ 일리있네요.. 서로의 영역을 존중..

  • 4. ..
    '24.3.31 7:46 PM (211.208.xxx.199)

    팔십이나 사셨으니 겉으로 슬픔을 표시하지 않는거죠.
    그 연세에 슬픈 표현하면 안좋은 소리를 하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살만큼 살다 가는데 유난스럽다 등등)
    부부 사이 대면대면해도 막상 내 짝이 가고 안슬플 수 있나요? 영원한 내 편이 없어지는데요.(자식 소용 없다는걸 느낄 나이죠)

  • 5. .....
    '24.3.31 7:47 P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아무리 그래도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았는데 어떻게 홀가분할수가 있겠어요.???
    슬픈지 안슬픈지는 밖으로 표출을 안하면 모르죠..ㅠㅠㅠ 저희 아버지도 내색은 안하셨는데 엄마 돌아가시고 나서 1년뒤쯤부터 아프시기 시작했어요. 아버지 혼자서는 정말 스트레스 많이 받으신것 같더라구요..

  • 6. ....
    '24.3.31 7:50 PM (114.200.xxx.129)

    아무리 그래도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았는데 어떻게 홀가분할수가 있겠어요.???
    슬픈지 안슬픈지는 밖으로 표출을 안하면 모르죠..ㅠㅠㅠ 저희 아버지도 내색은 안하셨는데 엄마 돌아가시고 나서 1년뒤쯤부터 아프시기 시작했어요. 아버지 혼자서는 정말 스트레스 많이 받으신것 같더라구요.. 진심으로 홀가분한다고 하면 그건 이혼직전까지 갈 경우이구요..
    그냥 평범한 부부사이라면. 배우자 죽음이 스트레스 1위라고 하지 않나요??? 얼마나 힘들면 그게 스트레스 1위이겠어요..저는 표현 안하는게 더 무서워요. 속으로는 너무 힘들것 같아서.

  • 7. 두 집이
    '24.3.31 7:50 PM (1.235.xxx.138)

    남편이 갑직스레 어느날 사망했거든요.
    평소 사이는 그닥..
    1년정도 슬퍼하다가 각자 자기삶에 너무 잘살더군요, 1년이상 안가요 보통

  • 8. 두 집이
    '24.3.31 7:51 PM (1.235.xxx.138)

    남편은 60초반,50후반이었음

  • 9. ....
    '24.3.31 7:56 P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211님 같은 이야기를 예전에 저희 이모가 하더라구요.. 저희 엄마 돌아가셨을때 제가 너무 힘들어서 한동안 이모집에서 지낸적이 있었는데.. 이모도 이모부 돌아가시고 슬픔을 남들한테 표현하면 남들이 유난스럽다고 이야기 할까봐 표현 못하셨다고. 그때 지금도 이모부 생각 나신다고...
    근데 내색을 안하니까 겉으로 볼떄는 씩씩하게 잘살아가는거 처럼 보였던거죠...

  • 10. ...
    '24.3.31 8:08 PM (114.200.xxx.129)

    211님 같은 이야기를 예전에 저희 이모가 하더라구요.. 저희 엄마 돌아가셨을때 제가 너무 힘들어서 한동안 이모집에서 지낸적이 있었는데.. 이모도 이모부 돌아가시고 슬픔을 남들한테 표현하면 남들이 유난스럽다고 이야기 할까봐 표현 못하셨다고. 그때 지금도 이모부 생각 나신다고...
    근데 내색을 안하니까 겉으로 볼떄는 씩씩하게 잘살아가는거 처럼 보였던거죠...
    당장 우리가 배우자나 주변인이 하늘나라 갔는데 홀가분한 감정이 들겠어요.??? 부모가 아닌 배우자로 상상해도 아니지 않나요.

  • 11. 맑은향기
    '24.3.31 8:12 PM (121.139.xxx.230)

    표현만 안할뿐이겠지요

  • 12. 언제 가도
    '24.3.31 8:13 PM (114.204.xxx.203)

    상실감이 크죠
    매일 같이 보던 사람이 사라지는데...
    더구나 애들은 다 독립하면

  • 13.
    '24.3.31 8:34 PM (121.185.xxx.105)

    부부사이가 그냥저냥 좋지 않았더라면 별로 슬프지 않을 것 같아요. 본인 혼자 살아 갈 걱정에 슬플지도..

  • 14. 진진
    '24.3.31 8:44 PM (121.190.xxx.131)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렇게 슬퍼할 일은 아닌거 같아요.
    배우자와 사별하는 일은 매우 충격적이고 슬픈일이라는 사회적 관념에 동일시 된것일지도 몰라요.
    60초반에 시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시어머니는 집 도배를 새로 싹 다하시고 남은 인생 정말 홀가분하게 잘 사셨어요

    이런 삶도 있고 저런 삶도 있는거죠.
    이왕이면 가볍게 이왕이면 즐겁게

  • 15. ..
    '24.3.31 8:49 PM (119.197.xxx.88)

    데면데면한 사이였어도 없으면 허전하겠죠.
    병석에 있다 간거 아니면 더 아쉽고. 이래저래 의지도 됐을텐데.그래도 경제적으로 여유 있고 몸 건강하면 남음 사람은 잘 살거 같아요.

  • 16.
    '24.3.31 11:28 PM (14.33.xxx.161) - 삭제된댓글

    상실감커도 다 살아져요.

  • 17. 시어머니
    '24.4.1 1:04 AM (211.106.xxx.210)

    보니까 시아버지 멀리 출장 가셨지 하는 맘이시다는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73265 나도 이간질해볼까 7 2024/04/11 1,623
1573264 오늘 주식 왜 빠져요? 22 ㅇㅇ 2024/04/11 4,151
1573263 동작 사시는 분들은 강남처럼 되는것이 꿈인가봐요 24 아우 2024/04/11 2,712
1573262 선거.. 신기해요. 6 less 2024/04/11 1,883
1573261 어제 올라온 푸바오 영상중에 채혈훈련하는 장면 귀엽지 않았어요?.. 20 ㅇㅇ 2024/04/11 3,157
1573260 저 아래 글 신고 어떻게 해요 ? 10 관리자님 !.. 2024/04/11 664
1573259 드라마 완전한 사랑 엔딩이 현소 2024/04/11 477
1573258 교정후 휴대용 유지장치하면 한쪽 입천장과 어금니.편도까지 아파요.. 유지장치스캔.. 2024/04/11 552
1573257 이탄희는 왜 안나왔어요?은퇴했나요? 15 그러고보니 2024/04/11 3,780
1573256 서울에 진짜 사람많아요 7 서울 2024/04/11 2,381
1573255 노인들 공략 전략이 필요해요. 25 지나다 2024/04/11 2,019
1573254 어제 주차장에서 예의바른 애엄마 9 ........ 2024/04/11 3,775
1573253 서초강남산다고 다 부자는 아닐텐데 빨간색 안변하네요 18 00 2024/04/11 2,692
1573252 내가 이 나라에서 위기에 처할때 도움을 요청할 곳이 어디일까요?.. 2 00 2024/04/11 629
1573251 여당이 최대로 진선거 8 여당 2024/04/11 1,787
1573250 엄마, 어머니라쓰고 돈벌레라고 생각합니다. 11 엄마 2024/04/11 3,788
1573249 대통령은 한동훈을 못버릴거에요, 국힘이 대통령을 버릴듯 11 봄날처럼 2024/04/11 2,370
1573248 200석은 꿈의 숫자였고 이것만도 큰 승리긴 한데… 6 ㅇㅇ 2024/04/11 1,471
1573247 정의당 선거비보존 못 받겠네요 22 .. 2024/04/11 3,154
1573246 조국혁신당 12석으로 끝난건가요? 24 ... 2024/04/11 4,637
1573245 국회의장 1순위 추미애 "의장은 중립도 아냐…그냥 가만.. 6 000 2024/04/11 2,015
1573244 대전 청주 대단하지 않아요? 28 dd 2024/04/11 4,246
1573243 게를 찌면 크기가 작아지나요? 1 초보 2024/04/11 739
1573242 네이버카페 홍보게시물 올리려고 하는데 이미지 작성은 어디서 구해.. 3 111 2024/04/11 224
1573241 인구 소멸하는데 10년에서 15년 뒤면 안 싸울 듯 5 2024/04/11 1,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