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능을 가진 사람이 쓰는 재능에 관한 생각

참고 조회수 : 1,409
작성일 : 2023-12-16 15:33:10

그전부터 한번 이런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는데 

혼자만의 여유로운 주말에 컴 앞에 앉을 여유가 생겼네요

 

저는 천재, 선천적 재능 이런 이야기 들을때마다 저는 예전 TV 드라마인 대장금에서 나왔던 이야기가 떠오릅니다. 음식에서 다른 사람은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맛을 맞추는 어렸을때 장금이에게 아마 수랏간 어른이 너는 어떻게 아느냐 물으니 

"감 맛이 나서 감 맛이 난다고 대답했는데 어떻게 그걸 아냐고 물으시면.. (제가 드릴 답이 없네요)"

이랬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별거 아니지만 남들보다 뛰어난 재능을 하나 가지고 태어나서 그걸로 밥 먹고 살아온 저로써는 재능에 대해 이것보다 더 정확한 설명이 없는 것 같아요. 

재능이 있는 사람은, 진짜 남들에게 어려워 보이는 일이 그냥 되고, 본인도 그 이유도 모르고 설명할 수도 없어요.... 그냥 되니까... 

저도 제가 뛰어난 부분에 대해서.. 제게는 그게 너무 당연하게 가능하니까.. 20대, 30대 초반까지는 왜 저 사람은 저게 안되지? 약간 그런 느낌이었고 답답해 했어요. (그걸 항상 예의바르게 숨기거나 하지 못했으니 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욕도 많이 먹었을 것 같구요) 

 

여기는 자식 키우는 분들이 많으실거고, 사실 재능이라는 것이 나의 재능보다는 어떻게 자식의 재능을 키워줄까 이실텐데 제가 주변분들에게 드리는 대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아이 재능이 뭔지 알아내고 그것을 지원해주기 위해서 너무 애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진짜 재능이 있다면, 우리나라 같은 환경에서 그게 눈에 안 띄기가 더 어렵습니다 

낭중지추라는 옛말처럼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띄게 될 수 밖에 없어요. 특히나 우리나라처럼 기본 교육 인프라가 깔려진 나라에서는요. 학교든 어디서든 뭔가에 특별한 재능이 있다면.. 그게 학교 생활 중에 안 드러나기가 어려울 거에요. 

 

- 특별한 재능이 없어도 아주 문제 없어요. 대부분의 사람은 특별한 재능이 없어요 (이건 저희 딸 포함입니다) 괜챦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교육자들이 하는 제일 의미 없는 말 중에 하나가 공부 강요하지 말고, 아이가 잘하고 관심있어 하는 것을 찾아서 키워줘라 일거에요. 대부분의 부모는 그렇게 하고 싶어도 아이가 특별히 잘하거나 관심있어 하는게 없어서 문제이니까요. 저희 딸도 딱히 별 재능 없습니다. 특별히 뭘 더 관심있어 하거나 하지도 않고 그냥 평범합니다. 그러나 매우 행복하게 잘 살고 있고 제가 보기엔 사회성과 자존감이 (엄마인 저보다도) 훨씬 나아서인듯 합니다. 행복은 마음의 건강에 제일 크게 좌우 되는 것 같아요. 

 

- 재능이 있다고 다 성공하는 것 아니고, 오히려 더 안풀리는 경우도 있어요. 재능에 대한 환상은 안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성공은 오히려 사회성과 관련된 역량과 더 좌우된다고 생각됩니다 (남들과 소통 교류하고 남들이 생각하고 느끼는 바를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것) 

사회에서 성공하는데는 재능 보다도 사회성이 더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전에는 천재들이 왜 그 시대 인정 못받고 불우한 삶은 살았는지 이해 안되었는데 이제는 좀 이해가 됩니다. 천재들 대부분 자기를 인정해주지 못하는 사회와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좌절했을 거고, 그건 천재들이 상대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천재를 평가할 만한 역량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당연한 거구요. 저도 제 분야에서도 정말 답답함을 많이 느꼈거든요. 그러면서도 보통 재능있는 사람들은 남들이 왜 그러는지도 몰라요 (욕먹기 딱 좋은 상황이죠) 

 

세상에 자녀 키우기 만큼 어려운 일이 없는 듯 한데요.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IP : 1.234.xxx.5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아요
    '23.12.16 3:45 PM (1.235.xxx.154)

    예전엔 그걸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았는데
    지금은 좀 나아진 사회가 되었다고 봅니다

  • 2. 맞아요
    '23.12.16 3:56 PM (39.122.xxx.3)

    그림에 특별한 재능을 타고 났는데 형제중 저만 그렇고 오히려 다른형제는 그림을 너무너무 못그려요
    아주어릴때 제 그림을 보고 칭찬들으면 기분은 좋았지만 이게 왜?라는 생각도 들었어요
    그냥 나에겐 아무렇지 않은 별다른 노력없이 하는건데 놀라며 비슷하게 흉내 못내는것에 저걸 왜 못하나 이해가 안갔어요 조금 커서 운동이나 음악적 재능 공부재능 그외 다른 재능 가진 여러부류의 친구들을 보며 깨달았죠
    가지고 태어난것이 얼마나 큰자산인지

  • 3.
    '23.12.16 3:58 PM (118.235.xxx.101)

    저는 삼단방귀 재능이 있습니다. 부럽쥬?

  • 4. wii
    '23.12.16 4:03 PM (14.56.xxx.71) - 삭제된댓글

    어린 아이 중에 업으로 삼는 제가 봐도 놀라운 걸 가진 아이도 봤는데, 본인은 이 정도가 뭐? ? 대수롭지 않게 여기더라고요. 지망생들 보다 훨씬 나은 수준이고 어 이건 가짜가 아닌데? 하고 느껴질 정도의 것인데도 본인은 그 쪽에 관심없다고 하고요. 창작의 경우는 재능만 가지고는 얼마나 길게 갈 수 있을지, 쉽지 않은 길인 걸 아니까 적극 권하지 않았는데, 눈이 번쩍 하는 경우도 있어요. 당사자는 대수롭지 않아 하고요.

  • 5. 나이가 들면서
    '23.12.16 4:13 PM (1.234.xxx.55)

    나이가 들면서 왜 재능이 다가 아니라고 하는지 알것 같고,
    왜 천재들이 대부분 불행했는지도 이해가 되더라구요

    그 천재들은 살면서 얼마나 답답했겠어요.
    당연한 것도 이해 못하는 사람들, 시기 질투하는 사람들....

    저도 젊었을때는 인정하기 싫었지만..
    공감 능력, 사회성 이런게 훨씬 더 중요한것 같아요
    사회생활에서 실력도 없이 아부만 잘한다 처세술 뛰어나다 하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이 보통 사회적으로 성공하죠) 아부하고 처세술도 실력인거고.. 그게 다 타인을 잘 파악해서 가능한 일이더라구요 (가스라이팅도 나쁜 쪽으로의 사회성이겠죠.. 남을 이해해야 이용해먹으니)

  • 6.
    '23.12.16 5:17 PM (211.192.xxx.227)

    무슨 재능인지 궁금하네요
    억지로 찾아줘야 하는 건 재능이라 부를 순 없죠 ^^; 아마도 그나마 수월히 안질리고 할 수 있는 적성찾기 정도랄까...

  • 7. 디도리
    '23.12.16 8:54 PM (110.13.xxx.150)

    뭔말인줄 완전알죠
    남들이 답답
    이걸왜못해
    근데 사회넝없어서 천재성 발휘못하고 끝

  • 8. ...
    '24.5.2 2:34 PM (115.138.xxx.60)

    재능은 찾아준다고 찾아지는 게 아니죠.
    저는 아이 키우면서 제일 집중하는 게 뭐든 너 하고 싶은 걸 해라.. 강요하지 않기.
    그리고 전 열심히 벌어요. 잘 벌고 이미 벌었고.. 아이가 돈에 매이지 않고 뭔가 진짜 하고 싶은 걸 하게 하고 싶네요. 전 제가 좋아하는 걸 직업으로 가지지 않아서 취미로 진짜 열심히 하거든요. 뭔가 자기 몸과 마음을 다 바쳐서 해보고 싶은 걸 찾고 그걸 평생 한다는 거 너무 행복하잖아요. 아이가 그렇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대부분이 그걸 못 찾고 찾았지만 생계 때문에 못하고. 아이에게 기회를 열어주고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1698 무통장 입금할때 입금자명이 다른 경우 1 ㅇㅇ 2023/12/17 1,421
1531697 티쳐스 보시나요? 6 .. 2023/12/17 3,911
1531696 홧병이라는게 유교로 부터 비롯된거 아닌가요? 10 한국정서 2023/12/17 1,699
1531695 헬스런닝머신에서 11 oo 2023/12/17 2,032
1531694 윤석열 헛짓하고 왔네요. 네델란드 총리 정계은퇴 선언.jpg 19 k접대 2023/12/17 6,648
1531693 내일 운전 괜찮을까요? 9 ㅣㅏㅓ 2023/12/17 2,377
1531692 딸이 저를 귀여워해요 6 ㅇㅇ 2023/12/17 2,647
1531691 폐렴이면 꼭 입원해야 하나요~? 4 ... 2023/12/17 2,384
1531690 귤 10킬로 5천원 33 2023/12/17 7,171
1531689 공기업은 학점을 안보나요? 9 2023/12/17 2,901
1531688 이재용도 네덜란드에서 최고대우 받았다고 하네요. 14 재용 2023/12/17 5,102
1531687 75년생들 건강검진하셨나요?? 2 궁금이 2023/12/17 2,756
1531686 노현정 남편은 어찌됐어요? 9 궁금 2023/12/17 18,144
1531685 시누이가 아이 학교 어디 썼냐고 문자 왔네요 17 짜증나 2023/12/17 7,897
1531684 빨래들은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10 ㅇㅇ 2023/12/17 3,725
1531683 푸라x 고추마요가 원래 이런맛인가요? 12 배고파 2023/12/17 2,080
1531682 건겅검진 질문이요 2 ..... 2023/12/17 1,062
1531681 소년시대최고 18 ㅋㅋㅋ 2023/12/17 5,483
1531680 애 공부로 친구 앞에서 꼬이는 제 마음 19 ㅇㅇ 2023/12/17 5,833
1531679 냥이 살던집 냄새 제거 아시는분 ㅠㅠ 19 2023/12/17 3,790
1531678 나이들어 행복감 상승 11 맘먹기 2023/12/17 5,649
1531677 이제서야 미우새 이동건과 딸 8 ... 2023/12/17 7,712
1531676 카톡 리스트 보다가 보니 저랑 안맞는 사람의 공통점 발견 5 소오름 2023/12/17 2,425
1531675 현대엔지니어링 어떤가요? 3 ㅇㅇ 2023/12/17 1,940
1531674 국정운영 위해 5년간 술 입안댄 대통령 15 누굴까 2023/12/17 4,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