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부모의 죽음을 어떻게 설명해야하나요

ㅇㅇ 조회수 : 3,071
작성일 : 2023-12-16 13:30:41

갑작스레 큰 일을 겪게 되었습니다

저보다 원래 불안도가 높은 중학생 아이의 마음이 더 걱정됩니다. 큰 슬픔앞에서도 내 슬픔을 표현하지못하고 남겨진 주위사람들 남편. 아버님. 아이들을 위해 의연해져아 하는 상황입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말해줘야하는지 도움좀 부탁드려요

 

 

IP : 211.235.xxx.9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3.12.16 1:34 PM (118.235.xxx.71) - 삭제된댓글

    더 자세히 풀어봐요
    글만 봐서는 님이 좀 이상해요.
    과도하게 슬픔을 표현하지 않는다면 적당한 감정표현은 필요하잖아요.
    부모죽음에 의연할 필요도 없구요.
    죽음에 대한 정의, 감정 표현, 부모와 분리 이 모든게 해결 안된된 원글님 같아요. 본인이 먼저 기준을 세워보세요.
    남눈치보지 말고.

  • 2.
    '23.12.16 1:39 PM (1.224.xxx.82)

    충분히 애도기간을 거쳐야죠

  • 3. 1112
    '23.12.16 1:50 PM (106.101.xxx.26)

    자연스러운 일인거라 설명하는건 어떨까요

  • 4. ......
    '23.12.16 2:03 PM (221.165.xxx.251)

    중학생 아이이면 그걸 굳이 부모가 설명하고 받아들이게 해야할 문제는 아니지않나요. 그냥 충분히 서로서로 슬퍼하면서 애도기간을 갖으면서 보내드리는거죠.
    그런데 연세가 꽤 있으실테고 남편분도 이미 4~50대는 되었을텐데 원글님이 그정도로 감정을 억누르고 가족들을 걱정하고 그래야하나요?

  • 5. 누가나 겪는일
    '23.12.16 2:05 PM (112.152.xxx.66)

    원글님이 좀 더 의연해지셔야
    아이도 이겨냅니다

    야이가 불안감이 심한겅우
    대부분 부모의 불안감이 전이? 전달되어서
    불안감 높은아이로 자랄수 있으니
    어딴경우든 담담해지는 연습이 원글님부터 필요해요

  • 6. ???
    '23.12.16 2:07 PM (14.45.xxx.213)

    뭘 어쩌겠어요 님이 할 일이 별로 없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잖아요. 시아버지 거취나 의논하고 음식이나 좀 챙겨드리는거죠 남편이나 아이는 그냥 스스로 알아서 하겠죠 뭘 꼭 해야하나요?

  • 7. ㅐㅐㅐㅐ
    '23.12.16 2:41 PM (118.221.xxx.243)

    중학생한테 죽음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까요?
    그냥 마지막 가는길 예를 다하고
    남은 사람은 하던대로 삶을 살아야한다는거
    그게 자연의 이치고
    조부모님의 바람이라고 말해주면 되죠

  • 8. 아줌마
    '23.12.16 3:13 PM (106.101.xxx.25)

    며칠전 친정아버지 돌아가셨고 울 중딩이가 상주노릇 했어요. 무서웠을수도 있었을뗀데 잘 해주어서 너무 고마웠고..할아버지 생각해서 잘 해낸거라고 봐요.할아버지도 고마웠을거라고 말해줬어요

  • 9. 7세
    '23.12.16 3:18 PM (223.39.xxx.167) - 삭제된댓글

    이후면 죽음의 의미
    다 알아요
    중학생을 유아취급하시는 건 아니신지요..

  • 10. 아마
    '23.12.16 3:19 PM (222.102.xxx.75)

    글 내용상 원글님 시어머님,
    애들에게는 친할머니가 돌아가신거 같은데요
    갑작스럽게 돌아가셨으면
    온가족 충격이 다 크시겠어요
    그런데 별 다른 방법이 없고 아이에게
    이러저러해서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너무 슬퍼하면 좋은 곳 못 가신다 하니까
    너무 힘들어하지 말고 우선 잘 보내드리자... 하시고
    돌아가셨어도 늘 우리 생각하실거다
    나중에 조금 나중에 꼭 다시 만나자.. 이 정도..

    아이도 아이지만
    남편분과 아버님의 충격도 크실텐데요..
    각자 이겨내야 하는 몫이 있더라구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11. ……
    '23.12.16 4:22 PM (114.207.xxx.19)

    주변의 생로병사를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이 필요해요. 슬픈 일은 충분히 슬퍼하고, 아침이 되면 눈뜨고 때되면 밥먹고 학교가고 일하러 가고.. 매일매일 닥치는 일상생활은 평소처럼 담담히 해내면서 가끔 생각나면 울컥하는거구요. 떠난 분들 좋았던, 고마웠던 추억 가끔씩 꺼내 이야기하는 게 건강한 모습이죠. 굳이 설명과 이해를 통해 감정을 정리할 필요는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1586 저 완벽한 소음인인데 사우나 좋아요. 10 궁금 2023/12/17 3,096
1531585 빙판길에 스노우타이어 궁금증. 5 몬스터 2023/12/17 698
1531584 걱정거리 하나 없이 사는 사람도 있을까요? 13 ... 2023/12/17 3,350
1531583 대기업 하위 30프로의 선택 7 2023/12/17 2,783
1531582 요즘 굴 어디서 사드시나요? 4 .... 2023/12/17 1,648
1531581 김밥쌀때 단무지대신 35 김밥자주 싸.. 2023/12/17 5,298
1531580 이낙연에 대한 며러썰 24 낙아리 2023/12/17 3,733
1531579 캐비초크 구매대행으로 ㄴㅅㅈ 2023/12/17 318
1531578 한지민은 왜 결혼 안할까요? 14 오지랖 2023/12/17 7,741
1531577 용인과 남해의 중간지점 점심 먹을만한 곳 좀 찾아주세요 2 ㅇㅇ 2023/12/17 609
1531576 내향적인 아이 진로 12 junsu 2023/12/17 1,750
1531575 전기압력밥솥 처음입니다. 10 쌀밥 2023/12/17 1,552
1531574 국민70% "尹 `김건희특검`거부권 말아야" 7 주가조작 중.. 2023/12/17 1,677
1531573 뭐 그리 샘들이 많으실까? 22 안녕사랑 2023/12/17 3,899
1531572 저희 엄마는 김밥쌀때 11 ㅇㅁ 2023/12/17 6,980
1531571 목요일 한파와 면접 4 이직기원 2023/12/17 1,911
1531570 남편이 잘하는건가요? 15 오늘 2023/12/17 3,162
1531569 밥 잘사주는 예쁜 누나는 로맨스물의 명작이예요 9 ... 2023/12/17 3,122
1531568 테무가입하면 공짜로 준다는거 받은사람 있을까요? 4 테무무 2023/12/17 1,742
1531567 올해 3천만원 모았어요 25 .. 2023/12/17 8,563
1531566 돈 쓰기 쉽네요 8 ... 2023/12/17 4,278
1531565 부산 날씨 6 Ew 2023/12/17 1,167
1531564 유자차 레몬차 같은거 카페에서 시켜먹는데.. 2 ..... 2023/12/17 2,578
1531563 놀면 뭐하니, 김석훈 20 ... 2023/12/17 8,218
1531562 한라 영실만 갔었는데요 11 이번은홀로 2023/12/17 2,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