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도 내달 초까지 TF팀 구성
식수 생산시설 운영 가장 유력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 우려
안정성 논란 시민 반발 불가피부산시가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을 다시 가동하기 위한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바닷물을 정화해 식수를 제공하려던 이 시설은 삼중수소를 비롯한 방사성 물질 논란으로 2018년 가동이 중단됐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또한 방사성 물질 등 안전성 문제로 연일 갈등이 빚어지고 있어 시민사회와의 대립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15일 부산시에 따르면 박형준 시장은 최근 기장해수담수화시설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시설 활용 방안을 마련하라고 관계 부서에 지시했다. 지난 12일 열린 시 주간정책회의에서 나온 지시로, 시는 늦어도 내달 초까지 시 상수도사업본부·부산연구원과 TF팀 구성을 마칠 방침이다. 박 시장이 기장해수담수화 사업 재추진 검토 지시(국제신문 지난 1월 13일 자 1면 보도)를 내린 지 5개월 만에 구체적 작업에 돌입한 셈이다.
시는 TF팀을 통해 환경부에 시설 활용 방안을 적극 개진할 계획이다. 국가 R&D 사업으로 만들어진 이 시설은 환경부가 활용 권한을 지니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해 재가동 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용역은 오는 12월 끝날 예정인데, 이에 앞서 시가 바라는 재가동 방안을 환경부에 건의해 최종 반영시키는 것이 TF팀의 목표가 될 예정이다.
환경부가 용역을 통해 가늠하고 있는 방안은 크게 6가지다. ▷시설 재가동을 통한 공업용수 공급 ▷해수전지·해수열 연구개발시설 ▷신재생·그린 에너지 생산시설 ▷해수 냉각수 활용 방안 ▷주변 관광자원 활용 개발을 통한 주민 친화 시설 연계 방안 ▷기타 적합한 활용(식수 등)이 여기에 들어간다.
환경부는 향후 관계기관 자문회의를 통해 가짓수를 줄여나갈 생각이다. 지난 5월 환경부 주관 자문회의에서도 이 같은 방침이 관계기관에 공유됐다.
가장 유력한 재가동 방안은 ‘먹는 물’이다. 애초 이 시설은 기장군·해운대구 송정동 식수 제공용으로 만들어졌다. 대변리 바닷물에서 유해물질을 정화해 하루 최대 4만5000t을 생산하려 했다. 그러나 사업장이 고리원전과 11㎞밖에 떨어지지 않아 방사성 물질이 원수에 포함될 수 있고, 정화 작업도 신뢰하기 어렵다는 지역사회 여론으로 가동이 중단됐다. 울산 등 인근 공단에 산업용수로 쓰는 방안도 검토됐으나 경제성 문제로 없는 일이 됐다.
식수 생산 시설로 활용 방안이 결정될 경우 또 다시 시민사회 등과의 마찰을 피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나온다. 특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핵오염수’ 논란과 함께 불 붙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방류에 반대하는 측의 주된 논지가 ‘삼중수소와 같은 방사선 핵종이 포함된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희석한다고 해서 안전성이 완전히 확보될 수 있느냐’이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특정 방안을 확정 짓고 TF팀을 움직이려는 것은 아니다. 식수를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환경부에 시가 검토한 활용 타당성을 어필해 시설 운영 방안을 제대로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취지다”며 “용역사 등과의 자문회의를 통해 방안을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으며, 오는 11월로 예정된 마지막 자문회의 전까지는 최종 방안을 결정 지을 계획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