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카드값과 생활비가 너무 많이 들어요.

까페 조회수 : 15,314
작성일 : 2023-05-27 00:51:48
한달카드값이요.
왜이렇게 많이 나오는지 슬프네요.
4인가족인데..
카드값이 매달 400정도 나오고..
현금도 많이써요..ㅜㅜ
학원비가 200정도 들어가고요. 그중 150은 계좌이체예요.
둘이 700 조금 넘게 버는데
남는게 없는것 같아서 너무 놀랬어요..
어디서 지출을 줄여야할지..
막막해요..
IP : 106.101.xxx.9
4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고
    '23.5.27 12:55 AM (210.100.xxx.239)

    먹는걸 줄일수는 없으니
    학원비, 의복비, 문화생활비 이런거죠

  • 2. 저도
    '23.5.27 1:02 AM (124.54.xxx.37)

    이번에 학원비 첨으로 2백이 넘었네요.문제는 고등이 끝나면 돈안쓸수 있는게 아니라 그것만큼 애들 용돈및 자취비용으로 들어간다슨 사실..ㅠ

  • 3. 원글
    '23.5.27 1:08 AM (106.101.xxx.9)

    학원비를 줄이질 못하니.. 넘 힘드네요.
    뭐하나 풍족한 느낌도 없는데
    이렇게나 돈을 많이 쓰고 있다니 놀라자빠지겠어요..

  • 4. ㅇㅇ
    '23.5.27 1:14 AM (106.102.xxx.92)

    빡쎄게 구조조정을 하는수 밖에 없어요 가계부 쓰다보면 불필요한 지출은 많이 줄이게되요

  • 5. ...
    '23.5.27 2:02 AM (125.132.xxx.53) - 삭제된댓글

    올해 4인가족 최저생계비가 325만원이예요
    학원비까지 따지면 사실상 줄일 부분도 별로 없는거죠

  • 6. ....
    '23.5.27 2:19 AM (110.13.xxx.200)

    저도 같은 상황.
    애 고등들어가니 대박.. ㅠ
    줄일수도 없고 진짜 하는거 없이 먹고만 사는데.. 에효...

  • 7. 몇 천원
    '23.5.27 2:34 AM (188.149.xxx.254)

    몇 만원 이런거 자잘하게 쓰이는것들을 안써야해요.
    그러니깐 바깥에서 사마시는 커피라든가 2~3정거장 거리는 그냥 걷기 등등
    사람이 구정구정하고 구질구질하게 돈 안쓰고 살아야 지출이 막아질겁니다.

    이걸 다들 모르더라구요.
    그깟 몇 천원.
    이게 가장 무서운건데.

    적은 소액을 쓰지말고 틀어막아야해요.
    애들 학원비 쓴다고 돈이 막 나가지지는 않아요.

    옷 사입는거 신발사는거 커피마시고 길가다가 뭐 사먹고...라면 한 개 아이스크림 한 개
    이런거 안먹고 안쓰고 살아야 막아져요.

  • 8. ker
    '23.5.27 4:19 AM (180.69.xxx.74)

    맞벌이고 교육비가 그러면 남는게 별로 없어요

  • 9. 사교육비가
    '23.5.27 5:53 AM (61.84.xxx.71)

    제일 무섭게 나가죠.

  • 10. 마찬가지
    '23.5.27 6:12 AM (119.204.xxx.215) - 삭제된댓글

    애들 대학졸업하고 취업해서 각자 독립하니 이제야 끝나네요
    계속 그럴겁니다. 안 줄어들어요ㅜ

  • 11. 00
    '23.5.27 6:20 AM (14.46.xxx.171)

    무례한 질문이 될수 있는데
    고딩이 월 200정도 쓰신다 하셨는데 최상위 학생인가요?
    아님 2.3등급정도 유지를 위해 월 200쓰시는건지.
    다른분들 상황이 궁금하네요.

  • 12. ..
    '23.5.27 6:56 AM (218.155.xxx.56)

    4인가족이면 아이 둘인데 학원비 2백이면 선방하시는거에요.
    최상위권는 오히려 돈이 덜 들 수도 있어요. 상위권 애매한 아이들이 돈 먹는 하마입니다.

  • 13. 애들
    '23.5.27 8:37 AM (112.162.xxx.38)

    학교 끝나야 그나마 저축되지 아님 힘들어요

  • 14. ..
    '23.5.27 9:44 AM (210.179.xxx.245)

    애들 대학졸업까지 계속 이어지더라구요

  • 15. ...
    '23.5.27 9:51 AM (221.140.xxx.205)

    그래서 아이 둘이면 노후 준비 힘들어요

  • 16.
    '23.5.27 10:00 AM (183.96.xxx.238)

    학원비를 온라인 수강으로 돌리심이 어떨까요?
    지나고 보니 학원비가 젤 아까워요

  • 17. ..
    '23.5.27 11:23 AM (180.69.xxx.29) - 삭제된댓글

    학원비에 생활비면 선방한거라고 봐요 ..

  • 18. ...
    '23.5.27 12:18 PM (121.135.xxx.82)

    카드값 400에서 학원비는 50이고 나머지 350에서 줄일거 있나보세요. 관리비 보험 핸드폰비 인터넷 유류비 부모 아이용돈 이런것도 다포함이라면아주 많이 쓰는거는 아닌거 같아요.

  • 19. ..
    '23.5.27 2:10 PM (172.225.xxx.81)

    지나고보면 가장 쓸모없는게 과한 학원비 지출

  • 20. ...
    '23.5.27 8:53 PM (125.191.xxx.252)

    대학보내니 더 나갑니다..ㅠㅠ

  • 21.
    '23.5.27 9:07 PM (1.238.xxx.15)

    대학가두 끝이 없어요
    물가두 올랐지요
    다들 그정도는 쓰고 살꺼예요

  • 22. ㅜㅜ
    '23.5.27 9:07 PM (219.248.xxx.168)

    애들 대학가면 목돈 훅훅
    단위가 달라져요

  • 23. 대학생인데
    '23.5.27 9:11 PM (58.228.xxx.108)

    애들 용돈 별로 안주는데도 4인가족 카드비 4-500이에요.. 마찬가지로 현금도 많이..
    이상해요
    교육비도 안드는데..

  • 24.
    '23.5.27 9:13 PM (125.31.xxx.43)

    구질구질한 느낌으로 살아야 돈이 모이긴해요 어차피 얼마를 벌던지 쓰고 싶은데로 쓰면 한이 있나요

  • 25. ....
    '23.5.27 9:22 PM (110.13.xxx.200)

    자잘한거 알게 모르게 쓴다고 하는데
    커피도 안사먹고 옷도 안사고 진짜 먹는거 외엔 쓰지를 않아요.
    가계부 쓰거든요. 아무리 뒤져봐도 그외엔 나가는게 없는데.
    근데 사교육비 고딩되서 훅훅 나가니 정말 실감나네요..
    대학가면 더한다니 더 절망.. ㅠ

  • 26. ㅇㅇ
    '23.5.27 9:41 PM (218.51.xxx.83)

    맞아요 사교육비 많이 들이는 것 아까워요
    애가 할 의지가 있으면 알아서 잘할 텐데
    학원 보낸 금액만큼 좋은 대학 가는 건 아니거든요
    지금은 직장인이지만 아이 고3 때 대치동 논술학원 월 70씩 들여서
    보낸 게 인생에서 제일 아까운 돈이었네요.

  • 27.
    '23.5.27 9:48 PM (61.78.xxx.19)

    진짜 바꿀 생각있으면 돈주고 유료 재무 상담 받아보세요.
    ( 무료는 나중에 댓가로 보험이나 펀드 가입요구함. )
    월지출 수입 및 본인이 미리 정리해서 가져가야해요.

  • 28. 근데
    '23.5.27 9:57 PM (60.48.xxx.221)

    지나고보니 식비 줄여도 되더라구요
    카레 짜장 만두 많이 해드세요
    과일도 좀 줄이세요

  • 29. ...
    '23.5.27 10:25 PM (39.7.xxx.135)

    저는 생각안하고 돈 막 쓸때나
    모을때나
    겉모습이 똑같이 엇비슷하대요
    어차피 써봐야 큰돈도 못쓰고 티도안나고
    안쓴다고 바로 티나는거 아니니 남들 보이는겉보기는 그게 그거겠죠
    (제 기준)돈쓰고 구질할바에야
    안쓰고 구질구질하려고요,

  • 30. ...
    '23.5.27 10:48 PM (112.168.xxx.69)

    애 둘이면 사교육비 200 기본만해도 들어가죠.. 우리나라는 진짜 부동산과 사교육때문에 망하는 것 같아요.

  • 31. ㄴㄴ
    '23.5.27 11:32 PM (121.166.xxx.213)

    400 을 생활비로 쓴다면 많이 쓰는건데요
    각 항목이 궁금하네요

  • 32. 소소한
    '23.5.27 11:55 PM (111.65.xxx.81)

    소소한 소비도 안 하면 정신 피폐해져요. 사교육비때문에 쪼들리는 거죠. 애들 클때까지는 저축은 없다라고 생각하는게 맘이 편할수도 있어요

    다음 세대는 사교육에 이렇게 투자 안 할 것 같아요

  • 33. ...
    '23.5.28 12:00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2백도 못남기고 더 쓴다는건가요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 34. ...
    '23.5.28 12:04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2백도 못남기고 더 쓴다는건가요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 35. ...
    '23.5.28 12:06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가족들 불만도 있을정도로요

  • 36. ....
    '23.5.28 12:07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살거 안사고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가족들 불만도 있을정도로요
    그게 싫음 그냥 살아야죠

  • 37. ...
    '23.5.28 12:08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살거 안사고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수제비나 빚어먹고 된장찌개나 끓이고
    그럼 가족들 불만도 있겠죠
    그게 싫음 그냥 살아야죠

  • 38. ....
    '23.5.28 12:09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살거 안사고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심플하게 수제비나 빚어먹고 된장찌개나 끓이고
    그럼 가족들 불만도 있겠죠
    그게 싫음 그냥 살아야죠

  • 39. 맞벌
    '23.5.28 12:09 AM (211.36.xxx.233)

    저도요
    너무 너무 많이 드네요
    카드값 생활비

  • 40. ....
    '23.5.28 12:11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살거 안사고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심플하게 수제비나 빚어먹고 된장찌개나 끓이고
    그럼 가족들 불만도 있겠죠
    그게 싫음 그냥 살아야죠
    저도 4일 남겨놓고 오버하겠다 싶어 내일은 수제비나 빚을려구요

  • 41. ...
    '23.5.28 12:14 AM (218.55.xxx.242) - 삭제된댓글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살거 안사고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심플하게 수제비나 빚어먹고 된장찌개나 끓이고 신발 구멍나도 버티고
    그럼 가족들 불만도 있겠죠
    그게 싫음 그냥 살아야죠
    저도 4일 남겨놓고 오버하겠다 싶어 내일은 수제비나 빚을려구요

  • 42. ...
    '23.5.28 12:16 AM (218.55.xxx.242)

    7백 넘게 벌어 카드값 4백에 계좌이체 150 도합 550을 쓰고도 남는게 없다면 더 쓴다는건데
    그럼 교육비 2백만 문제가 아닌데요
    교육비 50 제하고 카드값 350도 적은게 아니에요
    돈 모으려면 진짜 살거 안사고 거지꼴로 살아야돼요
    심플하게 수제비나 빚어먹고 된장찌개나 끓이고 싸구려 신발 구멍나도 버티고
    그럼 가족들 불만도 있겠죠
    그게 싫음 그냥 살아야죠
    저도 4일 남겨놓고 오버하겠다 싶어 내일은 수제비나 빚을려구요

  • 43. 공감
    '23.5.28 9:39 AM (124.49.xxx.188)

    하나 대학가면 덜나갈줄 알았는데(회사에서 등록금나옴) 하나도 뭐 줄어드는게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94820 고소영, 중요한 날 죄송합니다 54 ........ 2023/08/16 23,768
1494819 부부상담 받으려는데 좋은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혼인신고 한.. 8 올리브 2023/08/16 901
1494818 스트레이트 펌도 끝을 안으로 동그랗게 말아달라고 하면 해 줘요?.. 7 스트레이트펌.. 2023/08/16 1,450
1494817 학교 레벨 그리고 학과 8 .. 2023/08/16 1,840
1494816 한국의 빵값이 비싼 이유.jpg 10 아.... 2023/08/16 6,433
1494815 뇌mri 제가 먼저 찍고 싶다고 해도 실비되나요? 7 궁금이 2023/08/16 1,978
1494814 "2명도 다둥이"…정부 다자녀혜택 기준 3자녀.. 6 ... 2023/08/16 2,478
1494813 서울시 바뀐 로고 11 ㅇㅇ 2023/08/16 1,942
1494812 주식 지금 주워야하나요? 4 wntlr 2023/08/16 4,387
1494811 증여에 관해 1 아들 2023/08/16 1,423
1494810 키 작아도 인기 있는 남자라고... 57 ㅇㅇ 2023/08/16 8,239
1494809 남편 한번 한눈판거 넘어가주고 난 후 삶은 어때요? 6 길위에서의생.. 2023/08/16 3,274
1494808 1억5천 1년간 어디 넣을까요? 4 전문가분들 2023/08/16 2,793
1494807 침 사레 자주 걸리기는분 계세요.? 5 오십대 2023/08/16 1,867
1494806 저 밑에 강아지가 붕가붕가한다는글 보고 2 냥이는 2023/08/16 2,167
1494805 '카이스트 막말' 학부모 신상공개되자 발끈.."그 교사.. 13 .... 2023/08/16 5,581
1494804 졸업식 꽃다발 가격 6 꽃다발 2023/08/16 1,755
1494803 원목데크공사 하고 싶은데 어디로 알아봐야 할까요 1 전원주택 2023/08/16 382
1494802 닌자 블렌더 고민 4 랄라 2023/08/16 1,820
1494801 쿨매트 깔고 자는 분 계신가요? 3 아오ㅜㅜ 2023/08/16 957
1494800 황보승희, 비서동원 관용차 내연남 행사에도 동원 1 ... 2023/08/16 1,524
1494799 자기한 행동은 맞고 내가 한 행동은 틀리다 라고 이야기 해요. 5 ddd 2023/08/16 1,108
1494798 태권도장 하면 돈 잘버나요? 7 궁금 2023/08/16 2,996
1494797 홍천비발디파크 맛집 3대가 왔는데 어딜 가야할까요? 4 비발디파크 2023/08/16 1,382
1494796 히치콕 감독 영화중에 뭘 제일 좋아하세요? 8 ..... 2023/08/16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