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축안하고 다 소비하는 집

다랑 조회수 : 14,501
작성일 : 2023-05-25 21:03:03

저축안하고 다 소비하는 경우 본 적 있나요?

확실히 노후가 문제되지요??
IP : 211.234.xxx.251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5.25 9:04 PM (58.124.xxx.225) - 삭제된댓글

    뭐 이런글이...
    저요. 소득은 낮은데 아이둘 혼자키우느라 저축은 못하고 있네요. 노후걱정 해주시는건가요. 거참..

  • 2.
    '23.5.25 9:07 PM (58.231.xxx.119)

    저요 저요
    저축이 아니라 까 먹고 있어요
    둘다 특목고라 학비에 학원비에 적자에요
    노후 걱정입니다

  • 3. ㅇㅇ
    '23.5.25 9:08 PM (119.198.xxx.247)

    저요~
    결혼후 한번도 저축한적없어요
    집사고 원리금갚고 보험내고 나머지는 다썼어요
    다행이 평수넓혀저질러놓은게 많이 오르고
    대출갚아가며 아주조금씩이지만 원금도 갚고사는거지
    급여도 오르고.. 충분히 즐기며살아요.
    아등바등하고산 엄마보고 다필요없다싶어서요
    한푼두푼이 모여 세푼만 돼도 머라안하겠는데
    안그러드라구요 운도있고 팔자도있는거같고

  • 4. 보긴 봤어요
    '23.5.25 9:09 PM (61.109.xxx.141)

    노후가 문제 되는게 아니라
    노후가 너무 잘되어 있는 경우요... 물려받는 재산이 어마어마해요
    부부가 경쟁하듯 쓰더라고요

  • 5. ...
    '23.5.25 9:15 PM (222.236.xxx.19)

    물러받을재산이 확실하게많겠죠.. 물러 받을거 없으면 일단 불안해서그렇게는 못살겠죠...

  • 6. ..
    '23.5.25 9:21 PM (211.246.xxx.183)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8098673?type=recommend

    노후까진 모르겠고
    저축에 관해선 여기 대답이 더 많네요

  • 7. -----
    '23.5.25 9:30 PM (211.215.xxx.235)

    물려받은 건물 등 유산이 많은 경우죠. 주변에 몇몇 있어요.
    아낄 필요없죠 여행 가고 싶은데로 다니고..

  • 8. 기억
    '23.5.25 9:36 PM (221.165.xxx.250)

    완전 큰 공기업 한국** 다녔던 친척부부가 그렇게 저축없이 살다가 바깥분이 갑자기 40대 초 돌아가시고 홀로 남겨진 분이 자식들 키우느라 진짜 험한일은 다 하시더라구요
    노후도 준비안되어 힘드실거예요
    애들 어릴때 단단한 직장믿고 재테크도 안하시더니 안되었어요

  • 9. ..
    '23.5.25 9:40 PM (210.179.xxx.245)

    성향상 현재가 더 중요하고 돈 쓰는 재미에 큰
    비중을 둔 경우요.
    은퇴는 좀 늦게 하더라구요

  • 10. ㅁㅇㅁㅁ
    '23.5.25 9:44 PM (125.178.xxx.53)

    재산이 많지않다면 그렇죠
    근데 그런사람 많을거에요
    너도나도 욜로욜로
    어쩔려구

  • 11. ㅁㅁ
    '23.5.25 9:45 PM (39.121.xxx.133)

    펑펑 쓰는 집은 물려받을 게 많거나 믿는 구석 (부모) 있는 경우겠지요? 암것도 없는데 어찌 그리 다 쓰나요?

  • 12. ㅡㅡ
    '23.5.25 9:58 PM (116.39.xxx.174)

    저요. 결혼 15년차인데 13년은 한푼도 저축 않하고
    다 쓰고 살았어요.ㅜㅜ
    해마다 명품도 사고 외식 여행 엄청나게 하구요.
    시댁 친정 여유 있으시고 물려받기도 했고
    받을것도 있다는 안일함에 그랬던것 같아요.
    근데 2년전부터 이게 아니다 싶어 저축. 절약의 즐거움에
    빠졌어요. 이제 소비하는 살에서 벗어나긴 했어요.
    좀더 돈을 가치있게 쓰고 싶어요.

  • 13. 가깝게
    '23.5.25 10:04 PM (112.168.xxx.241)

    두 집 있어요. 한집은 고소득, 다른 한 집은 중간 소득인데 월급 전부 쓰면서 살더라구요. 두 집의 공통점은 시댁이나 친정이 꽤 여유있는 집이예요. 믿는 구석이 있으니까 그렇구나 싶어요.

  • 14. ...
    '23.5.25 10:43 PM (122.38.xxx.57)

    대기업 외벌이 가장이 월급타서 아이들 학원비 사교육비로 쓰고 대출받아 생활비 쓴다는 집도 보긴 했습니다
    아들 둘 서울대 보내긴 했다는데 과연 그게 성공인건지 다들 알쏭달쏭해했습니다

  • 15. ㅡㅡㅡㅡ
    '23.5.25 10:55 PM (119.194.xxx.143)

    진짜 물려받을거 없는데도 펑펑 쓰는집
    봤어요 집도 없는데 50넘어서도 계속 전세 여력되는란 무조건 큰 평수로 전세다니고 차는 꼭 수입차 타야 하니 중고로 항강 수입차
    오랫동안 알고 지내면서 보니 남의 눈이 더더 중요한 사람들이더라구요
    진짜 앙가에서 받을거 하나도 없는 사람들인데 직장도 정년 다가오고

  • 16. ...
    '23.5.25 11:08 PM (223.38.xxx.174)

    저희집이 좀 그런편이었어요.
    명품이나 화려하게살정돈 아니었지만 대출 최대치로 많이끼고 큰평수집살고 차도 두대..
    저랑 동생 사고싶은거는 최대한 사주시고 대학때 중고국산차지만 차도 사주셨고요.
    알바안하고 대학생활 했고 몇백드는 학원같은거 다니고싶으면 다니고 해외배낭여행도 가고 등등..

    자영업이라 은퇴는 없어서 60대 중후반 두분다 일하시고 순자산은 그렇게 많진 않구요.
    자식들은 좋은대학나와 취업잘하고 결혼도 둘 다 잘했어요.
    저희는 허례허식이라기보단 자식한테는 아낌없이 주는 부모님이셨고
    덕분에 서민이지만 동수저비슷하게 살았던거같아요.
    지금도 자식들 펑펑 잘쓰고 사는데도 본인은 돈쓸데없다며 조금이라도 보태주려 하세요.

  • 17. 소비하기에도
    '23.5.25 11:46 PM (14.49.xxx.105)

    모자라는데 저축씩이나..
    평생 번돈보다 나가는게 더 많았어요
    남들만큼 버는데 남들은 어떻게 저축 하는지 알수가 없어요
    외상이면 소도 잡는다고,대출도 해준다면 다 받았어요
    근데 다행히도 부동산도 좋아해서 몇개 샀더니 그게 또 올라줘서 평생 저축 못해봤어도 자산은 팍팍 늘어나 있더라고요
    애들한테도 아껴쓰란말 안해요
    아껴쓰나 쓸때 쓰나 자기 팔자만큼 있게마련이라

  • 18. ...
    '23.5.26 12:39 AM (117.53.xxx.56)

    외벌이에 남편 정년 얼마 안남고 온식구 다 골프치면서 마이너스 대출 쓰는 친구있어요
    재테크 좀 하라고 하면 돈이 없는데 어떻게 하냐고
    시댁 친정 믿는 구석도 없는데 옆에서 지켜보면 왜 저러고 사나 싶어요

  • 19. 하아
    '23.5.26 7:37 AM (118.220.xxx.115) - 삭제된댓글

    저축안하고 다 소비하는 집들은 양가에 받을게 두둑하거나 퇴직후 연금이빵빵하거나 둘중하나겠죠

    둘다 아닌경우는 맞벌이빡세게해서 노후준비하셔야해요

  • 20. ...
    '23.5.26 8:07 PM (118.235.xxx.142)

    애들 사교육 때문에 저축 못하시는 집들은 정신 차리세요. 애들에게 미래의 부담을 안겨주는거에요. 좋은 학교 못 간 것보다 노후 준비 안되어있는 부모가 더 재앙이에요.

  • 21. 울집
    '23.5.26 8:39 PM (122.32.xxx.66)

    이네요 아직 전세이고 2번의 투자 실패로 힘든 시기도 있었는데 아끼고 살다 돌아보니 나이는 60이 코 앞이고. 애들 뒤로 돈 많이 들어가고 참 답답하긴 한데 이러다 죽겠다 싶어 소소하게 돈 쓰고 대출 갚고 그러고 있네요.
    연봉이쎄고 임대주는 작은 부동산에 땽 그리고 회사 지분이 있어서 버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1046 태몽. 새끼강아지가 품으로 들어왔어요 7 꿈해몽 2023/05/26 1,786
1471045 우회전할때 횡단보도 지나려고 하는 사람 11 그냥이 2023/05/26 2,678
1471044 강남 서초, 산부인과 어디 다니세요? 12 겁쟁이 2023/05/26 1,500
1471043 맛없는 오렌지 구제하려면? 5 2023/05/26 1,094
1471042 신한레이디카드 오늘 단종된대요 24 돼지토끼 2023/05/26 7,223
1471041 제주도 가서 사 올 만한 것 추천해 주세요. 10 기대 만발 2023/05/26 2,060
1471040 좋은 메모장(수첩) 어떤게 있어요? 7 수첩 2023/05/26 787
1471039 마트에서 고기 구입후 남은것 어떡하세요?? 3 해바라기 2023/05/26 1,209
1471038 매트리스만 깔면 곰팡이 생기나요? 5 침대 2023/05/26 1,903
1471037 내적댄스 유발하는 유튜브 추천해드림 4 ejsj 2023/05/26 1,023
1471036 동생네 집주인이 이러는 상황? 15 주인 2023/05/26 4,722
1471035 공부 못하는 고등1, 학원 말고 야자하고 싶다는데... 17 ... 2023/05/26 2,241
1471034 하이라이트가 원래 이런건가요 12 원래 2023/05/26 2,725
1471033 냉장실 적정온도 몇도인가요? 6 2023/05/26 1,172
1471032 리모델링예정 아파트 전세 2 ㅇㅇ 2023/05/26 1,256
1471031 몇몇 사람들 보다 나은 개와 고양이 8 개와고양이 2023/05/26 1,324
1471030 어제 오전에 소금 뿌려놓은 생선을 김냉에 두고 잤어요 3 2023/05/26 1,716
1471029 강아지가 산책후에 11 강아지 2023/05/26 2,306
1471028 화장실 앞에 대변보고 가는 심리는 무엇? 6 상가건물 2023/05/26 2,761
1471027 왜이렇게 병원가기가 싫을까요? 나이들수록요 8 겁쟁이 2023/05/26 2,100
1471026 성폭행 초등교사 그만뒀던데 소방관은요? 5 .. 2023/05/26 3,853
1471025 퇴근후한끼 보다가 (팝 제목) 2 2023/05/26 1,114
1471024 새벽에 추워서 남편 품에 파고 들었더니 36 ... 2023/05/26 29,233
1471023 에효 고딩엄빠네 엄마 36살... 15 ㅇㅇ 2023/05/26 17,417
1471022 대학생 조카가 사기를 당했다고 해요 25 사기 2023/05/26 17,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