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의 소득이 오르는게 싫은 사람들-김원장 기자

뤼씨 조회수 : 930
작성일 : 2023-05-15 11:20:14
국찜에겐 찍소리도 못하고 민주당은 만만하고
노조, 노동자는 밟아버려야하고
정말 이상한 나라 2찍들의 세상


https://twitter.com/wpdlatm10/status/1657820338602819588?s=46&t=81cX0rMMYKtZxF...


김원장 기자

남의 소득이 오르는게 싫은 사람들.

1.

영국이 잘 나갈 때 해로드백화점은 최고 명소였다. 다이애나비가 이 백화점 아들을 사귄 적도 있다. 그런데 신세계 강남점 매출이 연 3조원이다. 런던의 해로드백화점이나 도쿄의 이세탄 신주꾸보다 더 높다. 한국 경제가 발전하면서 낯선 경제 수치들이 우리 앞에 쏟아진다.

급여도 마찬가지다. 진짜 팍팍 오른다. 대기업은 물론이고, 은행 등 대형 금융회사의 부장급 연봉이 이제 1억 5천만 원을 육박한다(삼성카드는 지난해 전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4천만 원이다). 부산에서 피부과 전문의 한명 고용하려면 연봉 3억 원은 불러야 내려온다. 그래서 지난해 E클래스는 전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샤넬 핸드백은 1조 6천억 원 어치가 팔렸다. 나인원 한남 244㎥은 지난해 공시가격만 97억 원이다. 뭐가 이상한가.

2.

그런데 5천년을 너무 가난하게 살아서인가. 예컨대 종합병원 8년차 간호사가 연봉 5천만 원을 받는다면 “무슨 간호사가 연봉을 5천씩 받아??”

솔직히 말하면 다수가 비정규직인 사회에서 남의 급여가 오르는 게 썩 반갑지 않다. “교사들은 대박 연금 나오는데 무슨 월급을 또 올려줘?” 그래서 지금 우리 경제 규모에서 선생님들의 급여는 적당한 것일까? 올해 일선 경찰서를 지휘하는 서장급 총경 10호봉의 월급은 418만원(2023년 경찰 공무원 봉급표)이다. 지난해보다 7만 1천 원이 올랐다. 삼성전자 대리급 소득이다.

누군가의 소득은 팍팍 오르는데, 누군가의 소득이 오르는 것은 싫다. 급기야 노사정 대화를 책임진다는 한 정치인 출신 위원장은 지방의 자동차 공장을 방문해 “평균 임금이 4천만 원이 안된다며 감동받았다”는 글을 올린다. 자본주의가 성숙한 미국이나 유럽에서 이런 주장을 펼치면 어떤 반응이 돌아올까. 아니면 그가 원하는 경제는 베트남이나 라오스 같은 것일까? 그곳에 가면 연소득이 1천만 원이 안되는 급여생활자가 넘친다. 그는 얼마나 큰 감동을 받을까.

3.

이게 정규직이 아니면 임금인상에 대한 사회적 저항은 더 거세진다. 조선소 하청 근로자는 월급 400만 원을 요구하면 안된다. 이런건 사회적으로 위험한 주장이다. 체제전복세력처럼 보인다. 그러니 숙련공들이 공장을 떠난다. 우리 산업사회를 이끌었던 그들은 오늘 어디서 치킨을 배달하고 있다.

물론 걱정 안해도 된다. 우리에겐 캄보디아나 미얀마 근로자들이 있다. 정부는 용접공과 도장공의 쿼터를 폐지했다. 계절근로자들도 계속 쿼터를 늘려 지난해 8만여 명의 외국인근로자들이 우리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대신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세상 모든 것의 가격이 다 올랐다. 그런데 스웨덴의 버스기사 월급은 높은 게 당연한데 우리 버스기사가 400만원 받는다고 하면 나라 걱정부터 앞선다. “이러다 다 같이 망하는 거 아닌가. 북한 되는 거 아니야?” 김정은이 빼고 다 같이 못사는 곳이 북한이다. 다 같이 잘사는 곳은 북한이 아니다.

미국에서 싱크대 한번 고치려면 일단 와서 한번 들여다보고 100달러를 받아간다. 작은 기술도 큰 비용이 드는 나라. 그래서 작은 기술을 가진 사람도 먹고 사는 게 걱정이 없는 나라를 우리는 ‘선진국’이라고 한다.

4.

수 십년 동안 기업을 위해 근로자의 허리띠를 동여맨 일본은 지금 어떤가? 20대 청년 근로자의 급여를 100으로 했을 때 30대 근로자의 수준은 1990년 151.0에서 2020년 129.4로 줄었다(니혼게이자이신문/한국경제 정영효특파원 인용). 30년동안 임금이 14%나 줄었다. 그렇게 구매력이 줄고 소비가 줄고 기업 매출이 줄어든다.

우리는 자본주의 경제를 하면서 왜 타인의 임금인상을 걱정하게 됐을까? 일단 ‘임금’이 높아지면 기업 경쟁력이 낮아진다고 믿는다. 그런데 저소득 근로자의 임금이 높아지면 이 돈은 결국 어디로 향할까? 예컨대 저소득층은 번 돈 대부분 또는 그 이상을 지출한다. 우리 소득 1분위(하위 20%)는 한달 112만원을 벌어 147만원을 지출했다(통계청 2022년 4분기 경제동향).

매달 적자인생이다. 경제학은 이렇게 가난할수록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소비성향’이 높다고 설명한다. 결국 이들이 쓴 돈은 대부분 자영업이나 기업 또는 정부로 이전된다. 이들에게 지급되는 급여는 저축을 해서 은행에 잠기거나(저축을 할 수 있는데 요구불예금이 아니면 이 예금액도 역시 투자로 이어진다) 우주밖으로 사라지는 게 아니다. 기업의 지출을 투자라고 하듯이, 이들의 소비도 누군가의 소득으로 이어진다.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급여가 오를수록 우리 경제에 득이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IP : 123.111.xxx.1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시
    '23.5.15 11:26 AM (59.4.xxx.58)

    읽어도 너무 명료한 글...
    경제 지식만 있어서 쓸 수 있는 수준이 아니네요.

  • 2. 소비능력
    '23.5.15 12:21 PM (116.34.xxx.234) - 삭제된댓글

    = 경제능력으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기사 같습니다만...

    "지난해 E클래스는 전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샤넬 핸드백은 1조 6천억 원 어치가 팔렸다. 나인원 한남 244㎥은 지난해 공시가격만 97억 원이다. "
    이게 우리나라 경제가 건실하고, 성장하고 있다는 근거가 됩니까.

    우리나라는 대기업, 중소기업 임금격차가 큰 것이 문제이지
    (성장의 대부분이 대기업에서 나오는 구조)
    임금 인상률은 전세계 1위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4030600003

    국가별로 경제성장률과 기업규모별 임금 인상 폭을 비교한 결과 우리 대기업의 임금 상승률은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 상승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02∼2018년 우리나라의 1인당 명목 GDP 증가율은 123.3%로 비교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지만, 명목 GDP 증가율 대비 대기업 임금 인상률도 97.9로 1위였다. EU는 73.7이었고, 일본은 명목 GDP가 6.9% 늘었는데도 대기업 임금은 5.1% 줄었다.

    기사가 완전 엉터리네요.

  • 3. 1. 소비능력
    '23.5.15 12:23 PM (116.34.xxx.234)

    = 경제능력으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기사 같습니다만...

    "지난해 E클래스는 전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샤넬 핸드백은 1조 6천억 원 어치가 팔렸다. 나인원 한남 244㎥은 지난해 공시가격만 97억 원이다. "

    많이 쓴다와 많이 번다는 엄연히 다른 것.

    2. 우리나라는 대기업, 중소기업 임금격차가 큰 것이 문제이지
    (성장의 대부분이 대기업에서 나오는 구조)
    임금 인상률은 전세계 1위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4030600003

    국가별로 경제성장률과 기업규모별 임금 인상 폭을 비교한 결과 우리 대기업의 임금 상승률은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 상승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02∼2018년 우리나라의 1인당 명목 GDP 증가율은 123.3%로 비교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지만, 명목 GDP 증가율 대비 대기업 임금 인상률도 97.9로 1위였다. EU는 73.7이었고, 일본은 명목 GDP가 6.9% 늘었는데도 대기업 임금은 5.1% 줄었다.

    기사가 완전 엉터리네요.

  • 4. 제일
    '23.5.15 3:53 PM (211.206.xxx.191)

    웃긴 게 최저시급 오르는 걸로 난리 치는 인간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0360 소파에 있으면 잠이 잘 와요 9 흐아 2023/05/23 2,115
1470359 발레 아시는 분들 이런거 보신적있나요 ㅇㅇ 2023/05/23 893
1470358 출생률 늘릴려면 노인 의료복지 줄여야할거 같아요 30 ... 2023/05/23 4,918
1470357 요리하면 진빠지지 않나요? 13 음식하기 2023/05/23 2,738
1470356 우크라 10조원 지원, 외교부 사실무근 12 진실게임 2023/05/23 1,493
1470355 이런 생각 꼰대라고 하는 거죠? 16 꼰꼰 대대 2023/05/23 2,175
1470354 수급비 받는 노모와 두 남매 5 .. 2023/05/23 3,398
1470353 바깥 공기가 참 선선하고 좋아요. 고딩큰애마중 3 네이 2023/05/23 1,284
1470352 순진하고 해맑은 초등 남아 귀엽네요 6 귀여워요 2023/05/23 2,186
1470351 국힘, 오염수 관련 문 정부때 모습이네요. 3 .. 2023/05/23 1,132
1470350 수능)한국사 4등급 이하뜨면 대학 못가나요? 24 .. 2023/05/23 7,747
1470349 저희집 강아지 자랑 좀 할께요~^^ 22 .... 2023/05/23 4,044
1470348 백화점에서 본 개념없는부모 27 클로이0 2023/05/23 19,675
1470347 카니발 7인승과 9인승중에 뭐가 더 인기많은가요 2 2023/05/23 1,092
1470346 전업은 부모님 병원 전담반인가요 32 너트메그 2023/05/23 8,018
1470345 회사 출근하는 거리가 이정도면 괜찮을까요 4 장마 2023/05/23 958
1470344 똥오줌 치워주고 있는건가요? 2 dma 2023/05/23 2,727
1470343 고등과외 첨 구해보는데요 4 몰라 2023/05/23 1,014
1470342 노무현 대통령 14주기 유홍준의 생생한 회상에 빵~터진 유시민 7 그리운분과 .. 2023/05/23 2,698
1470341 울적한 밤 2 시원 2023/05/23 1,254
1470340 살면서 크게 자극받으신 적 있으신가요 2 ㅇㅇ 2023/05/23 2,061
1470339 질문)) 산양유단백질 뭐 드세요? 4 연나라..... 2023/05/23 1,288
1470338 충격이네요. 니케이 30년만에 최고가. 16 니케이 2023/05/23 6,062
1470337 지금 부산 모 입고 다니나요?(날씨/기온) 4 여행자 2023/05/23 1,168
1470336 제니는 정말 born to be star네요. 68 라ㄴ냐 2023/05/23 26,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