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석사 2년하고도 눈이 달라지던데

ㅇㅇ 조회수 : 8,355
작성일 : 2023-05-08 18:34:51
보는 눈이 확달라지고

취업도 의외로 도움이 됐고요.



2년이란 시간에 어떻게 이렇게 달라질수가 있을까

신기히기도 한데요.

박사를 하면 어떨지 모르겠네요..

제가 학비를 버느라 휴학도 두세번 하고

함들게 마쳤는데
마치고 나니 길거리에서 양말을 팔아도
더 자신감 있게 팔수있을거 같더라구요



남들은 그거 취업에 도움안된다 극구 말렸는데

하고나서는 잘했다고 생각했고요.



졸업하고 나니

어려서는 나를 내려다보는 무서운 봉우리가

지금보니 오히려 내가 내려다 볼수있는 작은 언덕에 불과하더라구요.





자녀들에게 가급적 석사까지 하라고 하고

기회되면 해외에서 해보라고도 합니다.

취업 안되도 공부후에 길거리에서 어묵을 팔건 김밥을 필건

상관없다고 얘기합니다.

무엇을 해도 더 넓은 세상 보고 더 넓은 시야를 접하라고

꼭 말합니다.



아래 대학 교육 얘기가 나와서 적어보아요.

효율이라는 측면에서는 취업이 안되면 쓸데없는거 같아도

뭐든 열심히 배워두면 언젠간 쓸때가 있고

배움 자체이 큰 의미가 있다고요..






IP : 211.36.xxx.2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23.5.8 6:39 PM (223.63.xxx.91)

    원글님같이 공부의지 있는 사람은 가도 좋아요
    근데 지금 학부생들보면 중학생 수준도 안되는 애들 많아요

    정말이지 돈 낭비 시간낭비
    공부가 체질이 아닌 애들이 대다수인데

    혹은 아직 공부할 생각이 들지 않는 경우들이 다수인데
    대학 꼭 갈 필요 없다싶어요

    그것보다는 언제든 내가 준비되면 갈 수 있도록
    시간 여유 등을 주면 좋겠어요
    울나라는 1년만 지나도 30대 정도에도 뭐 늦었다면서
    새로운 길을 선택하는게 아주 어려운듯

  • 2. ㅎㅎ
    '23.5.8 6:39 PM (49.1.xxx.81) - 삭제된댓글

    저 석사도 하고 외국에서 또 다른 공부도 했는데..
    요즘 길에서 오뎅이나붕어빵 파는 사장님들 젊은 아가씨도 있던데
    존경스러워요
    뭔가 투자하고 리스크 떠안고
    발 뻗고 잠잘 수 있는 배짱이 저는 없어서요 ㅎ

  • 3. dd
    '23.5.8 6:40 PM (61.254.xxx.88)

    저도 그랬어요 무슨말씀인지알아요

    연구자의자세를 가지면
    지식연구를.넘어서
    내면 자체가 깊어지고 멀리볼줄아는 사이트가 생기는거같아요

  • 4. ...
    '23.5.8 6:42 PM (106.101.xxx.113)

    공부는 진심 학문적 호기심있고 성실한 사람만 하기를...
    저처럼 석사 마치고 나는 공부할 사람은 아니구나 확실하게 알게되는 경우도 있으니 나쁠 건 없지만...

  • 5. 저는
    '23.5.8 6:44 PM (211.215.xxx.111) - 삭제된댓글

    생전 안해본 알바 뛰어보면서 그런 마음 드네요.
    남들 시선따위... 아는 사람도 상관없어요.

  • 6. 자린
    '23.5.8 6:50 PM (211.234.xxx.111)

    난 한가지 이해가 안되는게
    최승희 sns올라온...
    파국아재와 같이 간 모든 여행을
    딸 혼자 냅두고 둘만 간걸까요?
    아무리 며칠 혼자 있어도 될 정도로 컷고
    학회 등으로 말하고 다녔어도..,친아빠인데
    딸 두고 혼자? 싶더라고요.

    근데...
    나를 왜 낳았냐는 딸에게
    너를 보고 싶어서 낳았다는 대사는 진심인거 같던데요?

  • 7.
    '23.5.8 6:51 PM (1.245.xxx.158) - 삭제된댓글

    넘 멋지세요ㅜ 석사 마치고 몇살이셧어요?
    나이때문에 고민이에요ㅜ

  • 8. 공감
    '23.5.8 6:51 PM (211.243.xxx.185)

    원글님 의견에 백프로 공감해요
    저도 결혼하고 애키우고 직장 다니면서 주위 여러 눈치 봐가면서 어렵게 석사 마쳤는데요
    다니면서 공부하고, 수업 준비하고, 발표하고, 의견 나누면서 전반적으로 시야가 이렇게 넓어질수 있구나 라는 생각을 정말 많이 했어요 자신감도 많이 높아졌구요
    석사가 대단한 공부는 아니지만 저한테는 아주 실용적이고 제 분야의 필요한 지식을 얻는데 큰 도움이 됐고 제 평생 잘한일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졸업해서도 박사 만큼은 아니지만 석사 받은거 인정도 받구요

  • 9. ㅇㅇ
    '23.5.8 6:53 PM (211.36.xxx.52) - 삭제된댓글

    석사마치고 40대였어요..ㅋㅋ

  • 10. ...
    '23.5.8 7:02 PM (58.122.xxx.2)

    저도 원글님처럼 생각합니다.
    경제적으로 투자만큼 회수했느냐와는 또 다른 얘기죠.
    사실 그 투자만큼 다른 소비를 양껏 못하고 줄이기도 했는데
    소비할 시간도 부족했고 학비가 만만한 것도 아니었으니까요.
    그래도 만족해요. 제 시야가 넓어졌어요.
    그리고 전 원글님보다 더 늦었어요. 석사 마치고 40대 후반.
    사실 공부가 제일 싸게 드는 취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 11. ㅇㅇ
    '23.5.8 7:10 PM (1.245.xxx.158) - 삭제된댓글

    오 공부가 가장 싸게 드는 취미
    와닿네요 취미라곤 그저 먹고 옷사는거 밖에 없던 닝겐인데ㅜ

  • 12. ㅇㅇㅇ
    '23.5.8 7:11 PM (120.142.xxx.18)

    몇 년 전에 이코노미스트에서 읽은 것 같은데, 여기에도 한번 쓴 적이 있었을거예요.
    전엔 독일사람들이 대학 진학을 안했는데 요즘은 대학 진학률이 높은 이유.
    마이스터만 되면 평생 먹고 살 수 있던 시절이 지나고 사람의 직업이 몇번이나 바뀐다는 요즘 시대에
    새로운 직업에 적응할려면 메타인지능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 그것은 대학교육을 받음으로써 더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 능력을 가져야 새로운 것을 배우고 적응할 때 더 빠르고 쉽다는 거죠.
    미적분 풀어내는 사람이 산수는 껌값인 것처럼.
    고등학교 교육까지만 배운 사람과 대학 혹은 그 이상을 배운 사람과의 인지능력은 다르다는 거죠. 그래서 요즘은 대학 혹은 그 이상의 교육이 필요한 시대라는 거죠.

  • 13.
    '23.5.8 7:25 PM (223.38.xxx.172)

    00년에 38세로 석사 들어가 마치고
    여태 일 잘해요. 그것도 전공 바꿔서요.
    안했음 클날뻔요.
    저는 아마 죽을때까지 뽕 뽑을겁니다.
    돈 융지 받아서라도 공부 더 하실분은 하셔여해요.

  • 14. 맞아요
    '23.5.8 7:34 PM (180.228.xxx.130)

    제 딸에게 늘 원글님처럼 말해요.
    뭘 해도 자신감이 생길거라고
    내가 보는 나 자신에게
    당당하고
    가장 중요한 사람이 되라고

  • 15. ..
    '23.5.8 7:39 PM (106.101.xxx.229) - 삭제된댓글

    공감합니다

  • 16. 정말
    '23.5.8 7:42 PM (183.98.xxx.141)

    그렇더라구요

    제 동생이 서울 모대학 학부 마치고
    취직하고 이직하고 결혼하고 애들 셋이나 키우며 살다가

    이 꼬마들 컸을때 아빠가 노는사람 되면 안되겠다고, 어디 강단에라도 서야겠다며
    방송통신대 석사하고
    아주힘들게 모대학 박사에 들어가 아주 어렵게 이번에 수료하고 논문 남겨두고 있는데


    가족간 카톡을 해보면, 세상에..... 세상을 보는 눈이 깊어지고 긍정적이고 암튼 애가 달라졌어요
    박사의 길을 선택한 동생이 멋지더라구요

  • 17. ㄴㄷ
    '23.5.8 8:00 PM (118.220.xxx.61)

    이런글 너무 좋아요.
    82에 멋진분들 많아요.
    전 공부열의가 없어서 아버지가 대학원보내준다해도
    안간사람인데요.
    사람들이랑 얘기해보면 사고의깊이가
    다 틀리죠.

  • 18. ㅇㅇ
    '23.5.8 8:24 PM (118.235.xxx.233)

    메타인지, 높은 곳에서 아래로
    너무 좋은 말씀이에요

  • 19.
    '23.5.8 8:27 PM (106.101.xxx.193)

    석사라도 맞춤법, 띄워 쓰기 엉망인 건,
    고칠 수 없나 봐요?

  • 20. . . .
    '23.5.8 8:28 PM (124.54.xxx.86) - 삭제된댓글

    학부와 석사가 차이가 크고 석사와 박사도 차이가 크죠. 대학원 안가본 사람들이 남들 석박사 우습게 보더라구요.

  • 21. ㅎㅎ
    '23.5.8 8:34 PM (175.223.xxx.220)

    메타인지.
    높은 곳에서 아래로..
    아들에게 물어 봐야 겠어요.

  • 22. ㅡㅡ
    '23.5.8 9:13 PM (161.81.xxx.187)

    석사마치고 내 인생의 공부는 이것으로 됐다 했는데
    어쩌다 기회가 되어 호기심에 박사 들어갔다가
    정말 공부가 너무너무 어렵고 읽어야할게 너무 많고
    내가 무슨짓을 했나싶고 졸업이나하자
    시키는대로 졸업할수 있게 현실적으로
    그럼에도 뼈대 컨셉 잡는거부터 아무도 안도와주고
    심지어 남이 안할걸 해야하기에
    아무도 안만나고 마치 세상에 없는 사람마냥
    책만읽고 글만쓰고 몇년을 그렇게 했더니
    어느순간 마무리가 되어가고 나는 이거밖에 안되는 인간이구나 세상에 대단한 사람이 이렇게 많은데..
    자학하며 디펜스마치고 까여도 졸업만 시켜주십쇼 어케어케 졸업을 했고 박사가 되었어요
    작년에 낸 박사논문 지금 읽으면 또 한없이 부족하지만 저런 시간이 없었다면 내가 이런 생각에까지 도달했을까 싶고
    내 분야 어떤 주제를 줘도 강의할수 있고 일주일 공부해서 살 붙이면 학회도 나갈수있고
    내 자신이 내 상태가 가끔 신기해요

  • 23.
    '23.5.8 9:21 PM (59.10.xxx.133)

    전 잘모르겠던데요
    열심히 안 해서 그런가 ㅠ

  • 24. 저도
    '23.5.8 9:26 PM (124.5.xxx.26)

    주변 공부잘하면 석사까지 하라 권유합니다. 날라리로 나왔지만 날라리가 아니게 되어버림.
    어린 나이에 못 공부한게 한...이라는게 이런거구나 느끼지요.

  • 25. 맞아요
    '23.5.8 11:23 PM (203.243.xxx.247)

    학사와 석박사는 달라요
    공부에 한이 있으면 꼭 관심분야 석사 해 보는게 좋아요

  • 26. 고고
    '23.5.8 11:37 PM (183.99.xxx.196)

    직장 들어오고 석사하고 재미 붙여 워킹맘이 박사까지 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애 크면 취직 늦어도 박사까지 하고 취업하라 하고 싶어요 아무리 박사 깔렸고 가방 끈 길어도 도움안된다 하지만 전 심지어 회사 다니면서 한건데도 자신감도 생기고 사고의 깊이, 탐구하는 능력도 생기더라구요 대학이 그냥 가성비 따지고 취업만을 위한 곳은 아니라고 봐요

  • 27. ...
    '23.5.9 7:14 AM (211.234.xxx.147)

    대학 석박사 좋은데, 이왕이면 시장 수요가 있는 것으로 해야죠. 그래야 써먹어요. 인문학은 집에 돈 많고 시간 많은 사람 일부만 하고요. 석박사 하면 시야가 넓어지는데 그 시간 만큼 다른 분야(재테크, 운동)열심히 해도 아웃풋이 좋을 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69355 이태리 베로나 보는데 너무 멋지네요. 가 보고 싶어요 5 이태리 2023/05/20 1,462
1469354 까치가 알을 낳았어요 5 손님 2023/05/20 1,323
1469353 지금 40대이상 의사들처럼 운좋은 사람들 있을까 59 돌고돌고 2023/05/20 7,314
1469352 잠복결핵 약안먹고 좋아지는법은 없을까요? 4 여름 2023/05/20 1,286
1469351 요즘 10대남 정치성향이 어떤가요? 13 ........ 2023/05/20 1,194
1469350 쯔쯔가무시 전염되나요? 2 ... 2023/05/20 931
1469349 하남 쪽 멋진 카페 추천 좀 해주세요~ 4 ^^ 2023/05/20 1,166
1469348 미국대학 바이오 전공 23 2023/05/20 2,347
1469347 요리사 이혜정씨 밥상 그거 방송용이라 일회성이죠? 37 오은영상담 2023/05/20 18,269
1469346 최대공약수. 13 2023/05/20 1,613
1469345 드레스 입고 나오는 재밌는 시대극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12 브리저튼 2023/05/20 1,653
1469344 매트리스 위에 올려쓸 라텍스 , 라텍스토퍼, 알려주세요 1 슈퍼싱글 2023/05/20 723
1469343 임실 신병훈련소 숙박 괜찮은데 아시는 부운~ 2 .. . 2023/05/20 656
1469342 식도쪽 시술환자 병문안 뭐사갈까요? 9 ... 2023/05/20 782
1469341 셀프등기시 위임장 대리인란은 매수인 인적사항이 들어가나요? 1 ........ 2023/05/20 343
1469340 텐트밖은 노르웨이의 텐트 2 ㅇㅇ 2023/05/20 2,782
1469339 혼주 한복머리 의논드려요. 17 가르쳐주세요.. 2023/05/20 3,099
1469338 시어머님이 오래살고싶다고 하시면서 덧붙이는 말씀이 58 ... 2023/05/20 18,361
1469337 판교 살고 계시는 분. 10 판교 2023/05/20 3,190
1469336 우리나라 상위1% 순자산 29억 24 ㅇㅇ 2023/05/20 5,041
1469335 시가랑 식사하면 짜증 나는점 33 ... 2023/05/20 7,514
1469334 세 친구, 헤어질 결심 17 qkfka 2023/05/20 3,924
1469333 길고양이 떠먹으면안되나요? 6 고양이 2023/05/20 1,934
1469332 슈가버블 버블원샷 세탁세제( 세제추천 좀 해주세요) 2 .. 2023/05/20 621
1469331 왜 아들엄마들은 아들 엄청 먹는 걸 자랑스러워해요? 71 ㅇㅇ 2023/05/20 5,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