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값이 금리때문이라하면요...

금리 조회수 : 3,042
작성일 : 2023-01-26 15:58:20
요즘 좀 금리 내리고.. 이제 올리지 않을거란 평가가 많던데

그럼 금리 낮아지면 다시 오르나요??

단순하게 지난정권때 그렇게 못잡던것은 금리때문이고
이 정권에서는 또 금리가 내려서라고해서요
IP : 39.7.xxx.115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3.1.26 4:01 PM (172.56.xxx.114)

    3프로 티비나 연세대 한문도교수 좀 찾아보시길 추천.

  • 2.
    '23.1.26 4:02 PM (39.7.xxx.121)

    글쎄요 이번정부 집값 올리려고 규제다 풀었으니 참 코메디 집값때문에 된 정부인데 집값 올리려고 규제푼다,

  • 3.
    '23.1.26 4:04 PM (58.148.xxx.110)

    집값을 올리려고 규제를 푼게 아니라 경착륙을 막으려고 규제 푼거예요
    집값 경착륙하면 어쨌건 영끌한 서민들이 타격입을테고 그러면 줄줄이 경제 아작납니다

  • 4. ㅎㅎ
    '23.1.26 4:07 PM (210.2.xxx.206)

    우리나라들 자산의 80%가 부동산입니다.

    집값 하락도 좋지만 살살 내려야죠. 낙하산 달아서..

  • 5. ....
    '23.1.26 4:08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거시적으로 경기, 금리.....
    미시적으로 수요공급, 개발호재, 투자심리.....

    지난 7년은 미시적 요소가 시장을 집어 삼켰다면, 현재부터 향후 몇년은 거시적 요소가 그 어떤 미시적 요소의 영향을 받지 못합니다. 특히 금리는 1차 요인도 아닌 2차 요인이예요.

    만약 금리를 내리고 유지한다면 그건 경기 불황일 때를 의미하는 건데, 경기불황에 너도 나도 집을 사지 않으니까요.


    과거 한국이 늘 우상향 이유는 경제성장률도 늘 우상향 이었기 때문입니다.

    근데, 앞으로의 한국은 고작 1~2%의 경제성장률도 감지덕지 해야 하지요.

    게다가 7년간의 역사적 부동산 폭등은 10년~20년 후의 주택 미래수요(청년층)까지 다 흡수해 버렸습니다,.
    돈 없는 20~30대들이 하나 못해 빌라라도 쓸어 모았으니까요. 문제는 이들 상당 수가 부동산으로 재정적 실패를 겪게 될 것 이고, 이 또한 미래수요를 어둡게 하는 요소가 되죠.

  • 6.
    '23.1.26 4:10 PM (39.7.xxx.121)

    여기 굥덕이라며 분양가까지 가야한단 사람들도 많잖아요

  • 7. ......
    '23.1.26 4:10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거시적으로 경기, 금리.....
    미시적으로 수요공급, 입지, 개발호재, 투자심리.....

    지난 7년은 미시적 요소가 시장을 집어 삼켰다면, 현재부터 향후 몇 년은 거시적 요소가 시장을 지배해서 미시적 요소들이 힘을 쓰지 못합니다.
    또한, 금리는 1차 요인도 아닌 2차 요인 이예요.

    만약 기준금리를 내리고 유지한다면 그건 경기 불황일 때를 의미하는 건데, 경기불황에 너도 나도 집을 사지 않으니까요.


    과거 한국이 늘 우상향 이유는 경제성장률도 늘 우상향 이었기 때문입니다.

    근데, 앞으로의 한국은 고작 1~2%의 경제성장률도 감지덕지 해야 하지요.

    게다가 7년 간의 역사적 부동산 폭등은 10년~20년 후의 주택 미래수요(청년층)까지 다 흡수해 버렸습니다,.
    돈 없는 20~30대들이 하나 못해 빌라 라도 쓸어 모았으니까요. 문제는 이들 상당 수가 부동산으로 재정적 실패를 겪게 될 것 이고, 이 또한 미래수요를 어둡게 하는 요소가 되죠.

  • 8. ㅁㅇㅁㅁ
    '23.1.26 4:22 PM (125.178.xxx.53)

    금리의 영향이 어마무시하죠..

    학교때 정치경제 과목에도 다 나오는..

  • 9. ㅎㅎ
    '23.1.26 4:22 PM (118.235.xxx.194) - 삭제된댓글

    금리도 있지만
    시장 분위기(심리) 공급 다영향 있죠
    시장이 타오르던 시기에 금리가 낮았고 일부는 공급 부족 어쩌고구추기고. 다들 급하게 빚내서 사들임.

    근데 그후는. 살사람 다사고.전세는 안나가
    입주 줄줄.공급도 줄줄. 경기 인천은 폭탄급 많고
    이런상태에요.

  • 10. ㅎㅎ
    '23.1.26 4:24 PM (118.235.xxx.194) - 삭제된댓글

    금리도 있지만
    시장 분위기(심리) 공급 다영향 있죠
    시장이 타오르던 시기에 금리가 낮았고 일부는 공급 부족 어쩌고부추기고. 다들 급하게 빚내서 사들임.

    근데 그후는. 살사람 다사고.전세는 안나가
    입주 줄줄.공급도 줄줄. 경기 인천은 폭탄급 많고
    이런상태에요.

  • 11. ..
    '23.1.26 4:25 PM (106.102.xxx.79)

    금리가 영향이라면 일본은요.

  • 12. 금리가 내려도
    '23.1.26 4:34 PM (61.78.xxx.6)

    다시 상승할 일은 없어요.
    한국은 이대로 가다간 다같이 망해요.
    희망이 없는 나라

  • 13. 집값이
    '23.1.26 4:50 PM (123.199.xxx.114)

    오르기는 한동안 어려워요.
    10년 지나면 풀린돈이 좀 거둬질려나요.
    무주택자들의 집사기가 쉬워졌다지만 금리가 저리 비싼데 누가 살까요

  • 14. 경제성장
    '23.1.26 4:57 PM (116.41.xxx.218)

    경제성장이 받쳐줘야하고
    수요인구가 늘어야하는데
    가망이 없죠

  • 15. 제인
    '23.1.26 5:26 PM (165.225.xxx.97)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거시적으로 경기, 금리.....
    미시적으로 수요공급, 입지, 개발호재, 투자심리.....

    지난 7년은 미시적 요소가 시장을 집어 삼켰다면, 현재부터 향후 몇 년은 거시적 요소가 시장을 지배해서 미시적 요소들이 힘을 쓰지 못합니다.
    또한, 금리는 1차 요인도 아닌 2차 요인 이예요.

    만약 기준금리를 내리고 유지한다면 그건 경기 불황일 때를 의미하는 건데, 경기불황에 너도 나도 집을 사지 않으니까요.


    과거 한국이 늘 우상향 이유는 경제성장률도 늘 우상향 이었기 때문입니다.

    근데, 앞으로의 한국은 고작 1~2%의 경제성장률도 감지덕지 해야 하지요.

    게다가 7년 간의 역사적 부동산 폭등은 10년~20년 후의 주택 미래수요(청년층)까지 다 흡수해 버렸습니다,.
    돈 없는 20~30대들이 하나 못해 빌라 라도 쓸어 모았으니까요. 문제는 이들 상당 수가 부동산으로 재정적 실패를 겪게 될 것 이고, 이 또한 미래수요를 어둡게 하는 요소가 되죠.
    22222222222222222222222222

  • 16. ㅇㅇ
    '23.1.26 8:33 PM (116.37.xxx.13)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참고할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2926 중학생 게임 .. 10:35:12 27
1682925 오늘 겸공에서 정리해 주는 유작가님.jpg 3 10:34:28 203
1682924 박근혜가 채운 국고 문재인이 거덜낸거죠 18 . . 10:32:01 309
1682923 100억 현금 있다면 어디 사시겠어요? 5 D d 10:31:26 259
1682922 오래된 만남 추구 라는 예능 재미있어요 ........ 10:28:57 139
1682921 숙소관련 궁금한데 가르쳐주실분 4 모셔요 10:28:04 85
1682920 세뱃돈 질문이요 5 ㅇㅇ 10:23:22 231
1682919 청약 해지할까요 4 .. 10:22:00 510
1682918 다이어리 앱 추천해 주세요. 1 또또몽 10:21:36 63
1682917 미국가서 일할 기회가 있음 무조건 가는게 맞을까요? 7 ... 10:20:34 528
1682916 경기 안좋아진걸 어디서 느끼세요? 10 ㅇㅇ 10:19:51 726
1682915 지금 지하철안인데 5 빈속 10:14:54 908
1682914 수족냉증인들에게 이팥찜질팩 추천드려요 소음인 10:14:24 163
1682913 집팔아서 금샀다고 하더니 9 ... 10:10:09 1,671
1682912 아직 고등학교 입학식 안했죠? 3 00 10:08:35 237
1682911 아일랜드 식탁 수납장이 서랍식인데요 자주 여닫다 보니 쩍쩍 소리.. 1 ㅇㅇ 10:00:53 253
1682910 들기름이 올리브유보다 좋은가요? 13 .... 10:00:21 811
1682909 노인하고 살면서 힘든부분..제가 외국에서 17 10:00:01 1,387
1682908 오늘 환율 왜 이리 오르나요 4 ㅇㅇㅇ 09:57:16 1,149
1682907 슬라이딩 옷장 쓰시는 분? 2 ... 09:55:36 205
1682906 환율...1471원 11 ,,,, 09:40:33 2,045
1682905 한국일보.. 윤 대통령·여당의 '헌재 갈라치기'는 국가적 자폭 .. 10 ... 09:37:47 1,171
1682904 고2 올라가는 딸 공부가 하기 싫다네요. 조언 절실해요~ 14 고민중 09:31:11 1,214
1682903 생각보다 의사들이 영양제를 잘모르네요 37 ㄱㄴ 09:30:11 2,142
1682902 필라테스 원데이 1 필라 09:26:31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