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최저를 더 높여야 하는데. .

대학 조회수 : 2,987
작성일 : 2023-01-15 10:27:03
24년부터 비교과 거의 축소 시켜 내신이 더 중요하게 됐다던데 대학들이 일제히 최저를 많이들 완화 하네요

최상위권은 물론 하위권은 아예 최저를 없애기도 하구요

2합7정도는 없는것과 마찬가지인데도 그걸 못맞쳐 교과에서

떨어지는 학생들이 인서울권 수도권에서 발생하다보니

입결이 떨어져 최저를 많이들 낮추네요

숭실같은 경우 우리아이때 영어로 못맞추고 탐구는 두개 평균으로 맞춰야 했는데 영어로도 가능에 탐구도 한개 선택가능

솔직히 비교과가 축소되면 최저를 낮추기보다 더 높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내신 중심에 수능 최저 빡세게나 정시선택

이게 그나마 공정하다 보는데 점점 최저를 낮춰버리네요
IP : 39.122.xxx.3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아요
    '23.1.15 10:30 AM (175.223.xxx.181)

    수능 최저 올려야해요
    내신 따기 쉬운 환경에서 내신받았지만
    그 낮은 최저도 못맞춰서
    수시 준비하다보니 정시 준비할 시간 없어
    수능 성적 안좋다는 이야기 하는 사람들 보면 넘 웃겨요

  • 2. 최저
    '23.1.15 10:35 AM (39.122.xxx.3)

    그쵸? 비교과 축소면 더더욱 내신비중 커지는데 헉교간 차이가 얼마나 큰데 최저까지 완화 시키면 너무 하죠
    최저가 더 높아지고 비교과 축소 내신 중요로 수시
    수능으로 정시
    이렇게 가야 그나마 격차가 줄어들거라 생각돱니다

  • 3. ㅇㅇ
    '23.1.15 10:39 AM (125.178.xxx.39)

    저는 이 상황이 이해가 잘 안가는데
    저러면 공부 못하는 일반고 아이들이 유리해 지는거 맞나요?
    대학들은 공부 잘하는 아이들 뽑고 싶을텐데 왜 점점 최저를 낮추는 건가요?

  • 4. .....
    '23.1.15 10:41 AM (221.157.xxx.127)

    그최저를 못맞추는애들이 많아 컷이 넘 낮아지니 최저완화한듯요.

  • 5. 학력저하
    '23.1.15 10:46 AM (39.122.xxx.3)

    학생들이 내신 공부는 빡세게 하는데 수능은 못해요
    특목 학군지 빼고 일반고는 수능과 연계해 시험문제 안냅나다 수능 공부를 현역은 3학년때 시작
    내신 안좋으면 2학년말에 시작
    최상위 빼고 중위권 최저 못맞춰 내신 좋은 학생들 탈락으로 입결 하락이 오니 최저 완화 하는거죠

  • 6. 어제
    '23.1.15 10:56 AM (210.178.xxx.44) - 삭제된댓글

    학군지라고 다 최저 맞추는 줄 아는 수능만능 주의자 분들...
    수능 최저가 문제가 아니예요.
    고교학점제 되고 수능은 자격고시화한다잖아요. 이미 이명박 정권때부터 진행되고 있는 겁니다.

  • 7. 어제
    '23.1.15 10:57 AM (210.178.xxx.44)

    학군지라고 다 최저 맞추는 줄 아는 수능만능 주의자 분들... 현역은 학군지도 생각보다 최저 많이 못 맞춰요.

    그리고 수능 최저가 문제가 아니예요.
    고교학점제 되고 수능은 자격고시화한다잖아요. 이미 이명박 정권때부터 진행되고 있는 겁니다.

  • 8. 그럼
    '23.1.15 11:00 AM (39.122.xxx.3)

    고교학점제 되고 수능 자격시험으로 바뀌면 특목 학군지가 매우 유리하게 되는건가요? 내신 경쟁력이 없어지면 대학레선 뭘로 뽑아요 수능도 자격시험이면?

  • 9. 비학군지 1
    '23.1.15 11:02 AM (124.49.xxx.188)

    1점대 모고 점수보고 놀랫어요.. 최저 올렷음 좋겟어요

  • 10. 확실치않은데
    '23.1.15 11:05 AM (218.238.xxx.14)

    교육청 입시사정관 강연에서 들었는데 ( 제 요약 수준과 기억력을 못 믿겠거든요)

    면접을 없앤 대학은 그간의 데이타로 볼때 면접하고 뽑아도 거의 생기부 좋은 순과 일치하더라
    그래서, 그냥 서류로만 뽑아도 크게 문제없다고 봐서.
    대학이 뽑고싶은 학생은 교과, 비교과, 학교 공동 생활 등등 고교 교육과정에 전체적으로
    다 참여하는 성실한 학생을 원한다. 교과 전형에 서류 20프로,30프로 반영하는 정책도 이런 의도이며
    최저를 낮춰도 되겠다고 본 거 라고 들었습니다.

  • 11. 정말
    '23.1.15 11:12 AM (210.100.xxx.239)

    지방에 공부안하는 일반고에서 1점 극초반에
    4합7도 못맞추는 거 많이 봤거든요.
    최저 높이면 좋겠어요

  • 12. 얼마전
    '23.1.15 11:14 AM (210.100.xxx.239) - 삭제된댓글

    수만휘에서 11모 전교일등이라고 성적표 인증한 학생꺼를 봤는데요.
    수학 한개틀리고 전교일등이고
    토탈 전교일등이라는데
    저희애 반에는 그정도 성적이 4~5명은 나오거든요
    일반고가 이렇게 차이가 크구나 놀랐네요
    용인 수지입니다

  • 13. 얼마전
    '23.1.15 11:15 AM (210.100.xxx.239)

    수만휘에서 11모 전교일등이라고 성적표 인증한 학생꺼를 봤는데요.
    지방 일반고요.
    수학 한개틀리고 전교일등이고
    토탈도 전교일등이라는데
    저희애 반에는 그정도 성적이 4~5명은 나오거든요
    일반고가 이렇게 차이가 크구나 놀랐네요
    용인 수지입니다

  • 14. 다들
    '23.1.15 11:26 AM (210.178.xxx.44)

    11모면 고1, 2죠?
    ㅋㅋ
    모의 얘기는 내년에 얘기하세요.
    설명회 가면 얘기들 하잖아요. 고3에 수능 공부 진짜 열심히 해야 한다고 하면서 붙는 데이터에.. 학부모들이 잘 몰라서 그러는데 학군지도 현역은 최저 많이 못 맞춘다.

    근데 학군지 범위가 어느 정도인가요?

  • 15. 두아이
    '23.1.15 11:38 AM (125.177.xxx.70)

    몇년동안 두아이 정시 쳐저있는 논수로 입시끝내곱ᆢ면
    농어촌이나 지방 비학군지 일반고하고
    서울 수도권 일반고 학력차이 많이나는데
    왜 최저없는지 많이 의아했는데
    수시로 교과나 면접보고 들어간 학생들이
    입학하고 학교 잘다니기때문인것같아요
    정시로 들어간아이들 재수나 반수로 계속 옮겨가거나
    타과로 전과 등등만 생각하잖아요
    인서울 공대 농어촌 교과 /면접으로 들어가서
    미적 물리나 화학같은거 어려워해도 다 따라가니
    이렇게뽑는거 아닌가싶어요

  • 16. 그쵸
    '23.1.15 12:23 PM (180.67.xxx.60)

    서울 유명대 입시 설명회에서 들은 내용이에요
    수능최저를없애는 이유는 수시로 들어온애들이 자퇴나 휴학 안하고 학교생활한다고해요
    그래서 학교 입장에서는 그런 아이들을 많이 뽑고 싶은 거에요

  • 17. 의대
    '23.1.15 12:35 PM (122.36.xxx.14)

    의대 수시에서 최저 못 맞춰 떨어지는 아이들 많아요 이런 아이들 재수해서 최저 겨우 맞추고 합격하죠 정시애들 대학가면 현타가 말도 못 하대요
    수시로 들어온 애들과 같은 선상에 있는 것에요
    그러니 정시애들은 반수에 삼반수에 이탈이 심할 수 밖에요

  • 18. 의대제외
    '23.1.15 1:41 PM (14.47.xxx.18)

    의대는 최저 높구요
    최저 맞추면 서울대 왠만한과은 붙어요
    그리고 의대정시로 들어간 아이와 내신 1극초반 하고 최저맞춰 들어간 아이 비교하자면 3년 내내 내신 1초반대로 챙기면서 최저 맞추고 들어건 애가 정시로 계속 달렸다면 그 정시 성적 안나왔을까요?

  • 19. 최상위 대학
    '23.1.15 1:44 PM (14.47.xxx.18)

    최상위대학 일수록 정시 수시 모두 들어오기 힘들기 때문에
    게다가 의대는 mmi면접도 있죠
    서로 존중해주는 분위기에요 중위권 대학에서 정시네 수시네 말이 많죠. 중위권에서 수시로 대학 운젛게 들어간 케이스는 종종 있으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4668 0부인 진짜 나대네요 26 콜걸 대통령.. 2023/01/15 4,856
1424667 호텔 어메니티는 공짜가 아닌가요? 15 숙소 2023/01/15 6,754
1424666 왼쪽 종아리 통증입니다 Stella.. 2023/01/15 883
1424665 저는 명품소비에 아이돌들 책임도 크다고 봐요 29 ㅇㅇ 2023/01/15 4,757
1424664 ~대다 를 왜 ~되다로 쓰는 거에요? 29 맞춤법 2023/01/15 2,379
1424663 읽으려는 책 두권입니다 3 오늘 2023/01/15 1,436
1424662 김건희 왜 거기 3 미치겠다 2023/01/15 2,458
1424661 이영자 주방도구 탐나요 18 물욕왕 2023/01/15 6,239
1424660 오늘의 냉털 - 북어포 없애기 5 ... 2023/01/15 1,348
1424659 발레리나 강효정 빈필 신년음악회 나왔군요(영상) 4 2023년 2023/01/15 837
1424658 그알 빌라왕 보는데요 6 2023/01/15 2,647
1424657 윤석열 그 표정이요 14 ... 2023/01/15 3,836
1424656 앗.. 다들 넘 감사합니다. 27 ㅇㅇ 2023/01/15 4,563
1424655 아하! 텀블러 계란삶기 실패 이유 20 하나 배움 2023/01/15 4,895
1424654 한국은 여기까지다 9 김갑수의 생.. 2023/01/15 2,155
1424653 키작은 중학생 단백질파우더 괜찮을까요 12 ... 2023/01/15 2,311
1424652 자식들 여행다니면 서운해 하시는 부모님 31 ㅎㅎ 2023/01/15 6,803
1424651 성취에 따라 자녀를 사랑하지 말라 5 ... 2023/01/15 2,039
1424650 나이들면 가족 외에는 다 별로인가봐요 14 ㅇㅇ 2023/01/15 4,552
1424649 20년 동안 가끔 인사나눈 관련회사 대표님 부친상 직접 가나요 2 조문 2023/01/15 1,062
1424648 음주운전 사망자 줄이는 확실한 방법이 있었네요 10 살인자들 2023/01/15 1,952
1424647 명품 소비 관련해서 놀라운게 13 .. 2023/01/15 4,703
1424646 티타늄.백금 다른건가요? 4 .. 2023/01/15 1,133
1424645 시트지 붙인 벽 위에 실크벽지 도배 가능할까요 4 도배 2023/01/15 1,507
1424644 묘향만두 질문이여 1 궁금해요 2023/01/15 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