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요리 초보분들께 요리 중급 올라가는 팁 하나 드릴께요

한식 팁 조회수 : 4,378
작성일 : 2023-01-09 10:33:56
음.. 
이렇게 쓰지만 뭐 저도 요리초보에서 코로나 덕분에 강제 중급 올라간 사람이라 
(배달 음식 한번도 없이 고등 아이 밥 해먹이면서 버텼으니 중급 해도 되겠죠?)

초급과 중급의 가장 큰 차이를 저는 감히 파와 청양고추 고추가루라고 하겠습니다 
저 요리초보일때 청양고추는 한번도 사본 적이 없고 (매운 맛으로만 알고, 매운거 별로 안 좋아하고 매운거에는 다 고추장이나 고추가루 씀) 파도 거의 잘 안 샀어요. 사면 항상 반은 말라 비틀어지다 버렸구요

요리고수 많은 82지만 또 저처럼 왕초보도 있어서 경험담 풀자면

청양고추 
왠만한 찌게 국에서 깔끔한 맛을 잡아줍니다. 특히 해산물 쪽에는 필수!!!! 찌개에 한개 넣어서 왠만한 한국사람 입맛에는 넣었는지도 몰라요. 그런데 진짜 안좋은 맛을 잡아줍니다!!!!
냉장고에서 보관도 오래되고 냉동도 가능 진짜 효자템입니다. 

파 
왠만하면 그냥 많이 넣어요. 버리기 아까워서 다 넣어요. 기름이랑 만나도 맛있고 국물에는 말할 것도 없고 파 많이 넣어서 딱히 망한적 없는듯요. 그리고 특히나 파뿌리의 힘!!!!!
파 쓸때마다 뿌리쪽 뿌리 그대로 두고 15센티 정도 잘라서 물컵에 꽂아서 흔들어 어려번 행구면 깨끗해져요. 냉동하거나 말렸다 국물 미리 낼때 넣어보세요. (보통 중 냄비에 한두개) 진짜 시원한 맛 최고입니다 (별첨. 양파 누런 껍질도 깨끗한거도 효과짱 특히 고기국물)  

그리고 고추장 대신 고추가루..
매운거 요리초보때는 고추장 위주로 했는데 고추가루에 간장이 훨씬 더 맛이 나은듯해요. 
 
아 그리고 마지막은 조미료입니다 
저도 조미료 밍밍한 맛 싫어하지만. 정말 새끼손톱 정도만 넣어도 맛이 확 달라져요
저도 요리에 자부심 있는 엄마 아래 커서 조미료 넣으면 큰일 나는줄 알았는데
배달음식 사먹는것보다는 맛있게 집밥 먹는게 훨씬 더 건강에 도움될거 같아서 쬐끔씩 쓰고 있습니다 

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혹시나 도움되실까봐 적어보았네요
모두 즐거운 하루 되세요
IP : 1.234.xxx.55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9 10:41 AM (106.102.xxx.27)

    저도 중급저도 되나봐요.
    청양고추, 파, 고추가루, 조미료..적극 활용합니다.
    조미료 사용한 지는 한 1년 되었네요.
    아주 조금 종류별(맛소금, 황태구시다, 조개다시다,연두)로 씁니다.

  • 2.
    '23.1.9 10:42 AM (216.147.xxx.235)

    꿀팁이네요. 저도 하에서 중으로 가는중인데 고추 쓰면서 맛의 변화를 느꼈어요.

  • 3. 저도
    '23.1.9 10:44 AM (108.172.xxx.149)

    애기들 어릴땐
    천연으로 키운다고
    밍밍 맛없게 먹고 살았는데
    그럴 필요가 없드라구요

    황태가루
    굴소스
    참치액젓

    맛을 확 올려주지요

  • 4. 인정!
    '23.1.9 10:45 AM (116.120.xxx.27)

    저도 매운거 싫어해서
    청양고추 사본적없는데
    요즘 냉장고에
    상비품

    고춧가루에도 특유의 감칠맛있다는걸
    깨달았네요ㅎ

    저도 조개다시다 쯔유 굴소스 액젓 상비품

  • 5. ...
    '23.1.9 10:47 AM (116.34.xxx.114)

    원글님 덕분에 제가 요리중급인거 알았어요!

  • 6.
    '23.1.9 10:48 AM (106.101.xxx.152) - 삭제된댓글

    감사
    청양고추 사러 갑니다

  • 7. 3시예약
    '23.1.9 10:49 AM (27.115.xxx.89)

    저 52세, 20년 전 부터 써 왔던 방식. 내가 중급이었다니 !!!! 조미료는 전 딱 한 가지만 써요.

  • 8. ..
    '23.1.9 10:50 AM (124.57.xxx.89)

    고딩 아이 메뉴도 좀 알려주세요

  • 9. 어머머
    '23.1.9 10:50 AM (218.234.xxx.7) - 삭제된댓글

    청양고추와 생파 고추장에 찍어먹는 남편은 고급단계라고 해야하나? ㅋ
    원글님 글 무슨 말인지 알아요.

  • 10. 요즘
    '23.1.9 10:53 AM (211.234.xxx.158)

    고깃집에 가면 고기가 감칠맛이 도는 게 이상타했어요
    그 비법이 조미료 ㅠ
    집에서 고기 굽기 전에 조미료를 뿌려 보니 바로 이 맛이더군요 ㅠ
    스파게티에도 조미료 약간 넣으면 고급 레스토랑 맛이 나구요 ㅠ

    천연으로 키운다고 죽기살기로 살았는데 후회해요
    애들이 식당 된장찌개 더 좋아하고 외식을 더 좋아해요 ㅠ
    요즘엔 조미료 씁니다 ㅠ

  • 11. ..
    '23.1.9 10:56 AM (222.106.xxx.201) - 삭제된댓글

    원글님 말씀 맞아요.
    특히 찌개 끓일때 고추장 쓰면
    텁텁해지거든요.
    고추가루와 간장, 소금으로 간해도
    충분히 깔끔하고 맛있어요.
    그리고 육수 끓일때 멸치 많이 쓰는데
    채소로만 해도 시원하고 맛있답니다.
    원글님처럼 대파 뿌리, 양파, 마늘, 무, 배추
    이런 걸로만 해도 국물이 시원하고 맛있어요.
    (떡국, 떡볶이, 각종 국과 찌개...)

  • 12. ..
    '23.1.9 10:57 AM (1.237.xxx.58)

    요즘 요리가 중에서 하로 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식구들이 예전보다 집밥을 다같이 먹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넣어야될것을 생략하고 있었네요ㅎ

  • 13.
    '23.1.9 11:10 AM (211.114.xxx.77)

    맞아요. 진리입니다. 그리고 하나 더. 양파도 필수고 간마늘도 필수죠. ㅋㅋ.

  • 14. 오호
    '23.1.9 11:14 AM (222.98.xxx.68)

    마지막 한꼬집,..중급 인정

  • 15. 숟가락 얹자면
    '23.1.9 11:22 AM (112.150.xxx.193)

    후추요.
    볶음이나찌개 마지막 단계에 화룡점정!

  • 16. ...
    '23.1.9 11:26 AM (221.160.xxx.22)

    난 고급인가?? 싶게 다 아는 내용이네요. ㅋ

    저는 설탕 이라고 말하고 가볼께요.

  • 17. ....
    '23.1.9 11:34 AM (210.219.xxx.34)

    따듯한 조언 감사합니다.항상 행복하세요~

  • 18. ……
    '23.1.9 11:43 AM (180.228.xxx.220) - 삭제된댓글

    저도 중급할래요.ㅎㅎㅎㅎ
    국물요리는 조미료 대신 육수한알 부셔서 국물내서
    표고밑둥 말린것과 파뿌리 투하.
    육수한알 그래로 넣으면 빨리 안녹아서 늘 부셔요.

    시판소스 넣을때는 국간장이 한스푼이
    달달달한 맛을 잡아줘요.

    계란요리는 계란 한개당 소금한꼬집 (손가락 세개 모은)이면
    실패 없는 간 맞추기.
    채소 많이 들어가면 한꼬집보다 약간만 더 넣어요.
    찜이나 말이 할때 불에 들어가기전 참기름 살짝 추가.

    짜고 맛없는 된장 버릴려다가 찌개 끓여서
    마지막에 꿀 조금 넣어봤더니 된장찌개가 살아났어요.

  • 19. 오..
    '23.1.9 11:52 AM (112.150.xxx.156)

    그렇군요

  • 20. 요리 자뻑 원글
    '23.1.9 12:25 PM (1.234.xxx.55)

    맨날 해놓고 자뻑하는 자칭 중급인데요
    제가 초보 시절을 오래 겪었기 때문에 저정도면 충분히 중급이라 생각합니다!!!!

    또 한가지 중급 팁은 백종원
    고대로 하면 초급이고, 백종원에서 설탕 조금만 줄이면 (어려운 말로 커스터미제이션) 중급이라 생각합니다 ㅋㅋ

  • 21. 요리 자뻑 원글
    '23.1.9 12:40 PM (1.234.xxx.55)

    추가로 하나 더 풀자면

    정말 조미료는 그래도 어찌 내 요리 인생에.. 하시는 분들은
    위에도 나와있지만 참치액젓으로 시작해보세요
    한수저씩만 써도 정말 맛이 확 달라집니다

    (다 써본결과, 역시 최강자는 미원이구요. 정말 쬐끔만 써도 맛이 확!!!! 달라집니다)

  • 22. ㅇㅇ
    '23.1.9 12:48 PM (119.194.xxx.243)

    참치액 브랜드 알고 싶어요.그리고 아무 국요리에 쓰는 건가요?
    저는 맛소금 정도 무침요리에 쓰는데 그것만으로도 훨 맛있더라구요ㅎ
    국 간 맞출때는 어떤 조미료가 좋을까요?

  • 23. ㅎㅎ
    '23.1.9 12:49 PM (210.217.xxx.103)

    보통 커스터마이징 똔든 커스터마이제이션이라 하지 않나.
    청양고추 파 넣는건 신혼때부터 알았는데 그게 대단한 팁인지는 ㅎㅎ
    조미료는 안 쓰다 쓰기 시작하면서 편리함에 눈을 뜨긴 했는데.
    들쭉 날쭉한 맛을 평균에 딱 맞춰주는 역할은 하는 듯.
    고추장보단 고추가루에 간장은 동감.

  • 24. 집밥요리
    '23.1.9 1:20 PM (59.6.xxx.68)

    30년이 넘으니 원글님 말씀하신 것들 다 실천 중이네요 ㅎㅎ
    청양고추는 기본으로 냉장고에 썰어서 얼려놓고 아무때나 한수저씩 넣고 파도 잘라서 두었다 기본으로 넣고 고추가루 잘 활용하고 (고추장은 텁텁해서 떡볶이 할 때 외에는 잘 안씀) 참치액젓의 쏠쏠한 쓰임새도 잘 알죠 ^^
    조미료는 안 넣어도 가족들이 다 맛있게 싹싹 잘 먹어서 굳이 쓸 필요를 못 느끼네요

  • 25. 위에
    '23.1.9 1:33 PM (1.234.xxx.55)

    참치액젓 질문 하신 분
    저는 그냥 브랜드 상관없이 하요.
    제주도 연상되는 브랜드가 유명하긴 한것 같은데
    뭐 브랜드마다 크게 다르지는 않는것 같아요

  • 26. 위에
    '23.1.9 1:34 PM (1.234.xxx.55)

    맛소금도 짱이죠 ㅎㅎ
    저희집 싱크대위에 올라와 있는 유일한 양념통이

    맛소금 후추 소금 입니다
    맛소금은 뭐 매일 써서 그냥 꺼내놓고 써요

  • 27. 초보
    '23.1.9 5:30 PM (223.62.xxx.196)

    초보인 저는 너무 도움되는 글인데요? 고수들은 자꾸 초치는 댓글 달지 마세요! 다른 초보들이 도움 못 받잖아요

  • 28. ….
    '23.1.10 12:12 AM (210.205.xxx.129) - 삭제된댓글

    와 저 같은 초급에게 단비같은 글이네요!!
    저도 청양고추나 파 별차이 없는줄 알고 귀찮아서 안쓰는데요
    써볼게요!!!

  • 29. 저장
    '23.1.10 7:33 PM (222.239.xxx.66)

    초급요리팁 청양 파 고춧가루 조미료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2594 핸드 워시랑 폼 클린징이랑 달라요? 6 .. 2023/01/09 972
1422593 새로 산 tv 액정교환 어떻게 생각하세요? 3 소비자 2023/01/09 499
1422592 넷플영화 랜덤하트 스토리 이해 되시는분 있나요? 1 qwerty.. 2023/01/09 518
1422591 미리 답을 정해놓고 왜 물어보는걸까요? 6 ㅇㅇ 2023/01/09 1,355
1422590 의류먼지 원인이 10 먼지먼지 2023/01/09 3,170
1422589 가출해서 호캉스했다던 원글입니다 33 ... 2023/01/09 6,957
1422588 지금 김만배 한짓이 기사로 들어 나니 뻘글이 올라오네여 10 웃겨요 2023/01/09 1,225
1422587 유시민 "尹한테는 자기 자유만 자유, 그분 말에 논리 .. 6 자유 2023/01/09 1,960
1422586 영어문장 하나만 봐주세요 9 .. 2023/01/09 706
1422585 주민등록지를 옮기는건 4 웃음의 여왕.. 2023/01/09 775
1422584 저도 비만글 썼었는데 일주일만에 빠졌어요 조금 12 화이팅 2023/01/09 3,239
1422583 45년생 79세 아버지와 뉴욕갈수있을까요 36 뉴욕 2023/01/09 4,072
1422582 시중은행 정기예금 8 궁금 2023/01/09 2,461
1422581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 확진시 2 궁금 2023/01/09 765
1422580 김부영 창녕군수 자살 2 ㅇㅇ 2023/01/09 8,352
1422579 50대 남자 자켓 안에 이너 반폴라 티셔츠 2 언제나 2023/01/09 883
1422578 이 트위드 자켓 봄,가을에 괜찮을까요? 21 ........ 2023/01/09 2,558
1422577 요리 초보분들께 요리 중급 올라가는 팁 하나 드릴께요 24 한식 팁 2023/01/09 4,378
1422576 베프한테 제가 마음이 닫힌거 같아요 13 Dd 2023/01/09 4,402
1422575 뉴스공장은 팟캐스트로 못듣나요? 5 .. 2023/01/09 1,803
1422574 이케아 커튼 석고보드 천정에 설치 가능한가요? 4 .. 2023/01/09 1,359
1422573 책임감이 무섭네요. 9 .... 2023/01/09 2,190
1422572 검찰이 언론 뇌물을 흘린 이유 ?? - 펌 19 feat 봉.. 2023/01/09 1,860
1422571 82하는 여자들 모임글을 생각하다가 4 얼마전 2023/01/09 1,180
1422570 인생에 자랑거리 없는데 미모 포메 산책시킬때 칭찬 많이 듣네요 12 포메 2023/01/09 3,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