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남은 떡국은 어떻게 보관해야 할까요?

sos 조회수 : 4,756
작성일 : 2023-01-04 19:20:38
떡국떡 아니고 떡국이요~
한그릇쯤 남았는데
내일 먹으려면 어떻게 보관해야 할까요?
전에 떡만 건져놨더니 떡끼리 다 들러붙어서
정말 떡이 되더라고요;
국물에 그냥 담가두면 다 불어터질 테고.
좋은 방법 아시는 고수님 알려주세요~

(이 글 올리기 전에 자게에서 떡국으로 검색해봤는데
7페이지 가도록 남은 떡국 얘기가 없더라고요 ㅎㅎ)
IP : 218.51.xxx.95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불어서
    '23.1.4 7:21 PM (220.117.xxx.61)

    다 불어서 버렸어요
    못먹어요.
    그래서 딱 맞게 끓여요

  • 2.
    '23.1.4 7:22 PM (121.167.xxx.120) - 삭제된댓글

    최선은 국물 따로 떡 따로 보관하고 그렇게 남으면 안 먹고 버려요

  • 3. 그냥
    '23.1.4 7:22 PM (210.96.xxx.10)

    불어터진 채로 먹어요 ㅎㅎ
    뭐 나름 먹을만은 해요

  • 4. ㅇㄱ
    '23.1.4 7:27 PM (218.51.xxx.95)

    떡국떡은 분량을 잘 가늠 못하겠어요.
    정녕 방법이 없는 걸까요?ㅠ
    맛있게 끓여져서 아까운데..
    얼려볼까도 생각해봤습니다만..
    내일까지 두면 국물이 사라질 것 같아요 ㅎㅎ

  • 5. ...
    '23.1.4 7:28 PM (221.151.xxx.109)

    불은 거 좋아하는 사람은 뎁혀서 그냥 먹어요
    저는 어묵도 불어터진거 좋아해서

  • 6. ㅇㅇ
    '23.1.4 7:29 PM (180.230.xxx.96)

    저도 불어도 그냥 먹어요
    원래 불은 라면도 잘먹는지라..

  • 7. ㅇㄱ
    '23.1.4 7:30 PM (218.51.xxx.95)

    그럼 그냥 냉장고에 넣어놨다가
    데파서 먹겠습니다~
    답 주신 고수님들 감사합니다~

  • 8. ㅇㅇ
    '23.1.4 7:41 PM (124.53.xxx.166)

    실온에 보관
    그담날 데우지 말고 그냥 먹어야 쫄깃한채 맛있게 먹을수 있어요
    데우는 순간 퍼져버림

  • 9. ..
    '23.1.4 7:44 PM (106.101.xxx.184) - 삭제된댓글

    그냥 떡국죽이다 생각

    처음 끓일때 나 몇 개, 남편 몇 개, 애들 몇 개
    대충 먹을 수 있는 떡의 갯수를 가늠하며 넣어요
    그리고 국물이 떡보다 많~으면 좀 덜 떡져요

  • 10. ㅇㄱ
    '23.1.4 7:45 PM (218.51.xxx.95)

    실온에 보관이요? 상하진 않을까요? ㅎㅎ
    그럼 ㅇㅇ님 말씀대로 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11. ...
    '23.1.4 7:49 PM (218.51.xxx.95)

    아 떡 개수로 대략 가늠을!
    좋은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12. ...
    '23.1.4 7:53 PM (112.161.xxx.251)

    떡을 밥 공기에 담아서 끓여요. 한 공기가 1인분.

  • 13. ..
    '23.1.4 7:54 PM (222.121.xxx.232)

    떡만 따로 채로 건져서 국물없이 밀폐용기넣어서 냉장고보관
    국물도 따로 냉장고에 넣어두고~
    국물에 새국물을 조금 보태서 국물끓으면 떡국 건져놓은거 넣고 우르르 끓여서 먹어요

    사실 전 떡국끓일때 맹물에 삶아서 끓고있는 육수에 건져넣어 끓이기 때문에 국물이 걸쭉하지 않아요.
    그래서 많이 끓여 남았을때는 위에 방법으로 해서 먹어요
    조금 불은 감은 있지만 괜찮던데요

    명절에 형님이 떡국담당인데 남아서 국물속에 그냥두면 퉁퉁불어서 버리게 되드라구요

    제가 삶아서 끓여봤는데 귀찮고 설거지많다고 그냥하십니다. ㅠ

  • 14. ...
    '23.1.4 7:56 PM (220.75.xxx.108)

    떡 넣을 때 대접에 담아서 넣어야 해요. 한그릇 두그릇 세면서 먹을 사람 명수만큼 넣으면 쉽게 양을 잴 수 있죠.

  • 15. ...
    '23.1.4 8:01 PM (211.187.xxx.16)

    저는 물에 담그기 전에 무게를 재서 담가요. 파스타처럼 1인분 100그램으로 하는데 다른 분들은 좀 적을 수도 있어요.

  • 16. ker
    '23.1.4 8:04 PM (180.69.xxx.74)

    불은거 데워서 먹던지 버려요
    그래서 좀 적게 끓입니다

  • 17. ㅐㅐㅐㅐ
    '23.1.4 8:08 PM (1.237.xxx.83)

    떡과 국물을 분리하고
    떡은 대접에 담아 실온보관했다가
    다음날 먹을때 전자렌지 돌리고
    국물은 팔팔끓여 부어요

  • 18. ...
    '23.1.4 8:13 PM (218.51.xxx.95)

    그릇으로 가늠하는 거군요~
    무게 재는 방법도!
    역시 고수님들^^
    떡을 맹물에 삶아서 국물에 넣기도 하는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전 채가 없어서 대충 국물 빼고 건져놔서 떡이 되었나봐요.
    앞으론 떡국 끓일 땐 좀 모자란 느낌으로 끓여야겠습니다.
    팁 나눠주시고 답 주신 고수님들 고맙습니다~

  • 19. ^^
    '23.1.4 8:20 PM (183.97.xxx.179)

    저는 1인분을 150g으로 생각하고 만두 넣으면 조금씩 줄여요.

  • 20. ...
    '23.1.4 8:43 PM (218.51.xxx.95)

    가장 좋은 건 적당량 끓여서 한번에 다 먹는 것이겠지만
    인간사 어떻게 될지 모르니 다음에 많이 남게 되면
    그땐 국물과 떡을 철저히 분리해보겠습니다~
    떡 무게도 100과 150 사이로 잡으면 되겠어요.
    계속주시는 답변들 감사합니다~

  • 21. 성인 2인
    '23.1.4 8:51 PM (116.34.xxx.234)

    250그램 기준으로 본인양에 따라
    50그램 더하기 빼기 하면 돼요.
    ( 적고보니 원글님 댓글 내용과 똑같네요ㅋ)

  • 22. ㅇㅇ
    '23.1.4 8:56 PM (59.13.xxx.45)

    우리집은 소식좌인가요?
    떡국을 공기로 재요
    일인당 한공기

  • 23. …..
    '23.1.4 9:08 PM (59.11.xxx.216)

    세탁실에 놓고 데워 먹어요.
    떡국은 불어나면 구수해져서 더 맛있어요.

  • 24. ...
    '23.1.4 11:55 PM (218.157.xxx.8)

    엇 우리집이 너무 먹는거였군요ㅋ
    1인 150~200g에 만두도 많이 넣는데요

  • 25. ....
    '23.1.5 6:42 PM (218.51.xxx.95)

    아까 남은 떡국 먹었는데 생각보다 많이 불지 않았어요ㅠ
    은근 맛있더라고요~
    다음엔 제가 몇 그램쯤 먹는지 꼭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답 주신 모든 고수님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21170 어느정도 자산이면 부자일까요? 23 ... 2023/01/05 7,510
1421169 이태리에서 사올만한 작은 거 뭐 있을까요? 23 기리돔 2023/01/05 4,521
1421168 오후에 전복먹고 몸이이상했는데 지금 온몸이 따끔거려요 5 00 2023/01/05 4,293
1421167 집에서 국/찌개 안 먹은 지 3년 됐어요 8 국찌개 2023/01/05 5,786
1421166 윤석열이 중대선거구제 발언으로 노린 것 11 .. 2023/01/05 2,408
1421165 그래놀라 집에서 만들때 올리브유 2 ㅇㅇ 2023/01/05 1,030
1421164 화목한 가정에서 큰 분들은 우울증 걸려도 쉽게 이겨내지 않나요 17 ㅁㅁ 2023/01/05 6,796
1421163 밀가루가 가려움증을 유발하나 봐요 11 ㅇㅇ 2023/01/05 4,917
1421162 조선에 혁명이 없었던 이유가 뭘까요? 15 00 2023/01/05 2,201
1421161 갑자기 이혼녀 84 불행하다 2023/01/05 22,826
1421160 네이버페이 주으세요 5 ^^ 2023/01/05 3,638
1421159 편의점에서 쓰레기 봉투를 사신 분 계세요? 47 편의점 2023/01/05 8,438
1421158 오랜만에 플랭크 합니다 1 ..... 2023/01/05 1,459
1421157 교사 폭력 어이 없던거 말해볼까요? 60 폭력 2023/01/05 5,151
1421156 나쏠 피디 변태같아요. 3 ㅡㅡ 2023/01/05 7,087
1421155 민들레 국수집 오늘의 이야기 . 도착물품들 13 유지니맘 2023/01/05 2,283
1421154 제증상좀 봐주세요 (우울 불안) 4 &;.. 2023/01/05 2,390
1421153 pt 트레이너 중간에 바꿔보신분 있나요? 2 2023/01/05 1,470
1421152 콩크리트들의 발언 2 망조 2023/01/05 863
1421151 검은색 캐시미어 가디건은 털빠짐 있을까요? 1 1ㅇㅇ 2023/01/05 969
1421150 저 많이 우울합니다. 9 진퇴양난 2023/01/05 4,870
1421149 임용과목 중에 조경이 있긴하네요 10 2023/01/05 5,755
1421148 뻥슬라 3 ........ 2023/01/04 1,952
1421147 위염에 양배추국 끓여먹고 좋아졌어요. 14 .. 2023/01/04 5,020
1421146 완경이라 생각했는데 2년이나 지나서 갑자기 무슨일 일까요 3 무슨일 2023/01/04 2,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