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수들 강의평가 중요한가요

ㅇㅇ 조회수 : 2,850
작성일 : 2022-05-15 22:32:04
서울 상위권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데요
학부수업도 학점 인정이되서 하나 듣고있는데
코로나로 녹화강의로 하고있고 거의 피피티 읽는 수준이에요
근데 과제는 소논문제출이에요
강의 질은 떨어지는데 학부생이나 교육대학원 신입생으로 이루어진 강의에서 과제난이도가 너무 높다고 생각되거든요
연구방법 과목 안들은 학생도 태반인데요
강의평가 하면 이부분 학교에도 반영되나요?
IP : 210.96.xxx.232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년
    '22.5.15 10:36 PM (117.111.xxx.147)

    받은 교수는 상관없는데
    강사들은 영향 많죠

  • 2. ...
    '22.5.15 10:36 PM (222.112.xxx.66)

    학부도 아니고 대학원은 큰 관계없습니다.
    그리고 소논문 제출이면 적당한 것 같은데요.
    대학원때 돌아가면서 논문 서베이해서 발표했는데 집에 들어가기도 힘들었습니다.

  • 3. 교수재량으로
    '22.5.15 10:41 PM (114.203.xxx.133)

    소논문 과제를 평가 대상으로 삼는 건데
    그게 어렵다고 강의 평가에 쓴들
    학생 수준이 낮다는 걸 밝힐 뿐입니다.
    연구방법론 강의를 안 들은 건 학생의 사정일 뿐.
    시간 강사 포함, 교수에게 아무런 타격 없어요

    교수가 지각을 일삼고 휴강을 마음대로 하는 등,
    불성실하게 수업을 했다면 그 내용을 적으세요.

  • 4.
    '22.5.15 10:47 PM (218.237.xxx.150)

    연구 방법론 안 들은 거 교수 탓 아니잖아요
    거기다 과제가 어렵다고 탓해봐야
    진짜 학생수준 낮은 거 인증

    대학원은 스스로 공부하는 곳입니다
    강사가 떠 먹여주는 거 아니예요

  • 5. ㅇㅇ
    '22.5.15 10:51 PM (14.39.xxx.44)

    댓글에 교수 등판 ㅋㅋ

  • 6. ㅂ1ㅂ
    '22.5.15 10:56 PM (112.155.xxx.151) - 삭제된댓글

    한국대학문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수평가는 논문 몇편으로 점수입니다.교수승진에 논문편수로만 따지는게 현실입니다. 강의잘하는 교수점수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7. ㅂㅂ
    '22.5.15 11:01 PM (112.155.xxx.151) - 삭제된댓글

    교수가 본인실적쌓는 연구활동만 신경씁니다.
    강의는 후순위입니다. 코로나 터지면서 강의력이 들어났죠. 대학교수평가제 개선ㅡ강의
    평가ㅡ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8.
    '22.5.15 11:06 PM (14.32.xxx.215)

    근데 평가 안좋으면 자기들끼리도 좀 말해요

  • 9. ㅂㅂ
    '22.5.15 11:07 PM (112.155.xxx.151) - 삭제된댓글

    대학교수평가는 교수논문편수입니다. 그래서 강의는 후순위이고 강의못해도 신분에 영향없습니다. 배워야할 학생들에게 강의가 중요합니다. 대학이든 대학원이든 강의준비가 충실해야 된다고 봐요. 코로나 터지면서...이번 기회에 대학평가제에 강의만족도가 큰 비중을 부여했으면 합니다.

  • 10. 주제파악
    '22.5.15 11:08 PM (175.120.xxx.134)

    연구방법 과목 안들은 학생은 자기가 안 듣고 수업 들은 걸 교수가 어떻게 해줘야 하는 거죠?
    그리고 과제 많이 시키면 그거 읽는 것도 사실은 일이예요.
    일 안하고 싶어서도 편하게 지나갈려면 과제 많이 안 시킵니다.
    과제 내 주는 거 그 과제 읽어서 교수가 무슨 도움 될까요?
    그깟 고졸짜리 애들 과제 아니면 대졸짜리 애들 과제를 교수가 읽어서 교수가 얻는 게 있어요?
    그야말로 일이지 그런 건 안 읽을 수 있으면 안 읽고 싶은 걸 학생 좋으라고 읽고 피드백 해주는 건데
    이상하게 생각이 흘러 가고 있네요.

  • 11. 제발 좀
    '22.5.15 11:09 PM (175.120.xxx.134)

    들어났다가 아니고

    드러났다 입니다.

  • 12.
    '22.5.15 11:14 PM (217.149.xxx.65)

    정교수는 영향없다는건 표면적인거고
    속된 말로 쪽팔리죠.
    강의평가 낮으면 자존심도 상하고 기분 나빠요.

  • 13. 강의평가가
    '22.5.15 11:38 PM (1.234.xxx.165)

    전체적으로 낮아야 자존심 상하는 일인거죠. 아웃라이어는 어차피 존재하는 것이라 신경안씁니다. 상위권 교육대학원이라고 하셨는데 야간이라 특별? 대우를 받자는 게 아니면 학부나 대학원에서 소논문은 매학기 여러개 씁니다만....그래야 학위논문도 쓰지 않겠어요? 소논문은 그 연습입니다.

  • 14. ㅇㅇ
    '22.5.15 11:49 PM (210.96.xxx.232)

    교수가 중간에 중간고사 과제를 소논문 형식으로 바꾼거고 선행교과목에 연구방법론도 없었구요
    게다가 대학원생이 들을수는 있지만 학부과목이에요
    강의 퀄이 높으면 그나마 이해를 하겠지만
    본인이 교수자로서 학생들에게 주는 역량이나 전달력은 낮은데 소논문을 내라하니 어이가 없는거죠

  • 15. 아마도
    '22.5.15 11:49 PM (122.34.xxx.114) - 삭제된댓글

    대학원인데 학부가 학점인점이라는거 보니 학부랑 대학원전공이 다르신가 봅니다.
    교수가 읽는 ppt 가 불만이신가요.? 수업난이도가 높다고 혼자 생각하시는거 보니 불만이 많으신가 본데 교수한테 직접 이야기 하세요 그럼 수준별 수업해주실 겁니다.
    그리고 강의 평가 교수한테는 별로 영향 없어요.

  • 16. ㅇㅇ
    '22.5.15 11:56 PM (210.96.xxx.232)

    학부전공이랑 갖고요
    수업 난이도가 높은게 아니라 전달력이 떨어져요 녹화강의인데도 그냥 ppt 읽으면서 버벅댑니다.
    더 어려운 내용도 강의력 좋은 교수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그런 교수들은 또 이런과제 안내요.
    학부생이나 대학원 신입생이 주로 듣는데요.

  • 17. 거의
    '22.5.15 11:58 PM (74.75.xxx.126)

    영향 없어요. 학과장 할 때 강사랑 정교수 강의 평가를 다 읽어봤더니 차이가 뚜렷하더라고요.
    강사들은 학생들 인기 얻으려고 노력을 많이 해서 그런지 95퍼센트 이상 최고의 강의였다 그런 식으로 나오는데 정교수 수업은 반반 정도 좋았지만 이런 저런 단점들이 있었다 그렇게 나오더라고요. 읽는 교수들도 의례 그런 줄 아니까 그렇게 쓰신다고 달라지는 건 없을 거예요.

  • 18. 교육대학원생
    '22.5.16 12:03 AM (119.149.xxx.54)

    저도 교육대학원 다니는데요
    강사님 한분이 엄청 깐깐한거예요
    소문에 의하면 대학원생들 편의봐줬는데
    강사평가결과가 엉망이라서 상처받았다고..
    그래서 저희가 과제 제출일 미뤄달라, 시험 오픈북으로 하자, 녹화수업으로 하자해도 웃으며 다 거절하시고 원칙대로 진행하시는 분이 있더라구요

  • 19. 연구방법론
    '22.5.16 12:12 AM (1.240.xxx.179)

    석박사 통합으로 수강하기도 하는데 석사때 전달력 떨어지는
    교수 수업은 정말 난감,, 또 평가는 %로 엄격하고

  • 20. 영향있어요
    '22.5.16 12:20 AM (217.149.xxx.65)

    어쨌든 기록으로 남는 평가인데
    정교수면 짤리진 않겠지만
    피드백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21. mar
    '22.5.16 1:25 AM (59.9.xxx.176)

    근데 과제가 소논문이면 적당하지 않나요?
    요즘 학부생들도 소논문 다 잘 쓰던데요

  • 22. 대학원
    '22.5.16 4:56 AM (223.39.xxx.236) - 삭제된댓글

    석사이상은 스스로 공부하는 거예요
    고등학교처럼 떠 먹여주는 가 익숙한 애들이 대학원에 와서도 떠먹여주길 바라고 입만 벌리고 있다가 논문도 못 쓰더라구요
    석사논문도 그냥 써지는게 아니거든요
    연습을 해야죠. 안 그럼 어찌 4학기만에 논문쓰고 졸업하나요

  • 23. 개인역량
    '22.5.16 6:10 AM (223.39.xxx.50) - 삭제된댓글

    씁쓰ㄹ하지만 그런 교수 같은 강의인데도 찰떡같이 알아듣고 과제 해내는 애들이 성적이 좋더라구요
    본인 역량도 노력해야 해요. 떠먹여주길 기대만 하고 있으면 안되고요. 그 자세로는 박사는 못 가죠

  • 24. ㅇㅇ
    '22.5.16 6:34 AM (210.96.xxx.232)

    개떡같이 강의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으라고 비싼등록금 내는거 아니거든요
    학생만 역량을 보여야하나요
    그런 교수인데도 잘 해내는 학생들은 다른 강의에서는 더 잘하겠죠
    이분 강의도 학교에서 오래 못볼것 같네요
    첫 강의 이후 수강인원 줄어들때부터 알아봤어야했는데

  • 25. ㅂㅂ
    '22.5.16 7:37 AM (106.101.xxx.80) - 삭제된댓글

    강의가 엉망인데
    학생 자질을 논하는 댓글이 있군요. 교수인가요? 맨땅에 헤딩하며 스스로 공부하면 독학하지 비싼 등록금을 왜내는지? 타이틀'학위 때문에? 철방통 교수사회 개혁있어야 합니다. 강의평가점수가 반영안됩니다.

  • 26. ㅂㅂ
    '22.5.16 7:39 AM (106.101.xxx.80) - 삭제된댓글

    대학원 다닐 때 정교수가 학기내내 15분 강의하고
    학생들끼리 발표하라고 하고 나갔다가 끝날 때 들어오는 교수도 있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41448 "3일중 이틀 지각?" 19 lovemo.. 2022/05/16 2,769
1341447 석열아, 그만 내려와라 21 ,,,,,,.. 2022/05/16 3,296
1341446 직장동료랑 단판 지어야 되나요? 여왕벌인데 4 .,. 2022/05/16 2,520
1341445 단팥빵 사면 껍데기만 먹어요 12 ㅁ ㅁ 2022/05/16 2,338
1341444 어제 구씨가 창희 뒤 쫓아간건. 22 해방일지 2022/05/16 6,107
1341443 저만 몰랐나요? 19 하나은행 2022/05/16 5,036
1341442 윤 코로나 백신 제공의사에도.."북 "참으로 .. 7 내말이 2022/05/16 1,658
1341441 적응이 안되는데, 어찌 지내죠? 12 ... 2022/05/16 2,571
1341440 서울대 학생들 "전장연 강연 반대" 8 어둡다 2022/05/16 2,967
1341439 펌 고발뉴스 - 송영길이 전세 사는 이유 30 의외네요 2022/05/16 2,470
1341438 학생이 한 말, ‘상식적으로~’ 19 선생 2022/05/16 2,677
1341437 나의 해방일지에서 24 .. 2022/05/16 5,769
1341436 제주항공권 7 ㅔㅔ 2022/05/16 1,948
1341435 저녁식사 안하는 분들 5 2022/05/16 3,936
1341434 마치 시술한 듯한 피부 비결 좀 공유해 주세요. 26 .. 2022/05/16 6,762
1341433 한동훈 딸 글'서울대도 학술논문으로 제공' 10 말세다 2022/05/16 2,008
1341432 백신 후유증 좀 써 보세요.. 11 88 2022/05/16 2,406
1341431 정수리 함몰되어있으면 단명이라는데요 7 관상두상 2022/05/16 9,067
1341430 한샘 붙박이장 자꾸 고장나요 1 블량 2022/05/16 1,436
1341429 윤•바이든 용산 지하강당서 기자회견 ㅋㅋㅋ 25 .. 2022/05/16 4,051
1341428 딸아이 어학연수 어떤가요? 11 ... 2022/05/16 2,364
1341427 윗층에서 누수 벽지 대금을 안 주는데 3 ... 2022/05/16 2,069
1341426 번아웃 올만한가요?? 6 2022/05/16 1,962
1341425 옷에 껌 묻었는데 마요네즈 말고 오일로 지워도 될까요? 6 .. 2022/05/16 872
1341424 결혼식에 참석하는거랑 돈을 더부치는거랑 5 ㅇㅇ 2022/05/16 1,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