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 시험 시간을 부족하게 하는 이유가 있나요?
저 아래 글 읽다가
국어를 예로 한 문제당 1분30초에 풀어야 한다는데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여유있게 생각하고 고민하고
그렇게 풀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다른 과목도 마찬가지인데요
내가 모르는 수학문제는 24간을 줘도 못 풀겠지요
그렇지만 긴장감 속에서 2분에 풀어야 할 문제를 4분으로 늘랴주면 한 번 더 생각하고 충분히 더 잘 풀 수 있지 않나요?
순발력이나 속독이 학습능력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것 같은데 다른 절차상의 문제 때문이라든가. 변별력을 위해서라면
잘 이해가 안돼요 ㅠㅠ
1. ...
'21.12.12 9:14 PM (39.7.xxx.69)시험 중에 시간 넉넉하게 주는 시험은 없어요
서술형도 문제 수에 비해 시간 많이 주는 것 같지만
막상 풀어보면 자동 출력 수준으로 공부해야
시간 맞게 작문이 가능함2. . .
'21.12.12 9:14 PM (117.111.xxx.75)문항수를 줄여야겠지요
아님 며칠간 시험을보던가요3. ..
'21.12.12 9:15 PM (58.121.xxx.201)100미터 달리기 완주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왜 1등부터 3등꺼지만 상주나요??
그 질문인 듯4. 샬랄라
'21.12.12 9:16 PM (211.219.xxx.63)빨리하는 것 능력이죠
5. ...
'21.12.12 9:16 PM (110.9.xxx.132) - 삭제된댓글시간 넉넉하게 주면 못 풀 사람 없어요
6. ???
'21.12.12 9:18 PM (220.124.xxx.197)달리기는 빨리 달리는 순서로 상을 주잖아요
시험은 많이 맞추는걸로 순위가 정해지구요
시간을 무한정 줄 수는 없지만 어느정도는 여유있게 주거나 문항수를 줄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굳이 시간에 쫓기면서 문제를 풀게 하는 이유가 있을까 싶어서요7. 음
'21.12.12 9:20 PM (49.175.xxx.11)빨리푸는것도 실력
8. ----
'21.12.12 9:22 PM (121.133.xxx.174)시험이니까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9. 음
'21.12.12 9:24 PM (39.120.xxx.191)사고력을 측정하는 시험치고 시간이 너무 촉박한 건 사실인 것 같아요. 빠른 시간에 푸는게 목적이다 보니 연습을 많이 하고 어떤 문항을 먼저 풀고 어떤 건 찍고...이런 기술이 필요해지거든요
10. . .
'21.12.12 9:40 PM (14.32.xxx.34)그 시간에 다 풀고
다 맞는 애들도 있잖아요
어차피 줄세워야 하는 시험인데
그것도 훈련해야죠11. ㅇㅇ
'21.12.12 9:41 PM (110.8.xxx.17)시험의 핵심은 동일한 시간안에
정해진 갯수와 난이도의 문제를 몇개 맞출 수 있느냐 입니다
100분 안에 25개의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를
어떤 학생은 10개 풀고
어떤 학생은 25개 풀겠죠
어떤 학생은 정답을 내고
어떤 학생은 오답을 내겠죠
그래서 그 학생의 실력을 점수화 시켜 평가하는게
시험의 목적이죠
시험 시간을 늘려도 결과는 같을거에요
누군간 시간안에 다 풀거고 누군간 항상 시간이 모자랄거에요12. 이제
'21.12.12 9:54 PM (14.32.xxx.215)별게 다 태클이네요
시험시간 제한없는 시험도 있나요13. ㅇㅇ
'21.12.12 10:03 PM (118.37.xxx.7)시험이니까요 22222
시간 넉넉히 줘서 다들 다맞게 하면 뭘로 순위를 정하나요? 실력차이를 어떻게 측정해요? 그냥 pass하면 인서울대학교 추첨으로 가게 해야하나요?14. 그게 실력
'21.12.12 10:10 PM (39.124.xxx.80) - 삭제된댓글학업 능력이니까요
바로 읽고 정확한 이해
& 사고 분석력
순발력이나 속독이 아녀유
세 번 다섯 번 열 번 읽을 시간 주면 시험이 아니죠15. ㄹㄹㄹㄹ
'21.12.12 10:12 PM (218.39.xxx.62)수능 국어는 시행 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시간 모자라단 이야기를 하네요.
상위등급은 문제 풀고, 검산까지 다 하고 시간 남습니다.16. 검산하고
'21.12.12 10:25 PM (223.39.xxx.89)검토하고 마킹하고
누워자면
애들 반쯤 풀더군요17. 그게 실력
'21.12.12 11:46 PM (175.120.xxx.173)공시는 거의 반자동 로봇수준으로 마킹해야해요.
변별력...이 그런거예요.18. 헉..
'21.12.13 12:24 AM (112.187.xxx.89) - 삭제된댓글시험은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정확하게 푸느냐를 따지는거죠. 시간내에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출제하고요.
19. 원래
'21.12.13 7:59 AM (211.48.xxx.170)수능 시험 목적이 아는 학생과 모르는 학생을 가르는 게 아니라 순서대로 줄 세우는 거니까요.
시간 넉넉히 줘서 대부분 답을 맞추면 그 많은 학생 등수를 어찌 매기겠어요.20. 미미
'21.12.13 10:16 AM (211.51.xxx.116)국어랑 영어 수학은 좀 시간을 길게 주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수능은 어떻게 보면 대부분이 거의 반평생이상의 12년동안 공부를 하루에 보는 건데 어렵다면 이틀로 나누어서 시험을 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분명히 아는 건데 처음보는 지문이라서 좀 당황할때도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