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금리 5~6%대면 집값 추이가 어땠나요?
금리 5~6%대로 올랐네요
신용좋은 사람은 4%대정도랍니다
금리가 이정도로 오르면 집값추이는 어땠나요?
더구나내년 미국에서 금리 높이는건 기정사실인거 같아요
1. ..
'21.11.25 6:10 PM (39.7.xxx.181)금리 오르면 집값은 내려갑니다.
2. . .
'21.11.25 6:15 PM (49.142.xxx.184)금리 오르면 주식 부동산은 보통 내리죠
예금이자 많이 주면 좋겠네요3. ...
'21.11.25 6:15 PM (223.38.xxx.172)금리 1% 오르면 집값 오름세가 둔화된다고 하는데 얼마전 기준금리 최저 0.5%에서 오늘 올려서 1.0% 되었어요. 앞으로 두번은 더 올려야 1% 오르는 셈인데 아직 0.5%밖에 안 올랐네요. 신문기사보니 내년 1월쯤 대선전에 0.25% 한 번 더 올릴거라 보는데 그래봤자 0.5%에 비해 0.75% 올린 거니 집값은 더 오를 수도 있지 않을까요.
4. ㅡㅡ
'21.11.25 6:16 PM (1.236.xxx.4) - 삭제된댓글7,8프로까지도 내봤어요
그 이자를 어찌내고 살았는지 ㅠㅠ
2억 좀 넘는 원금이었는데
이자 넘 무서워요
원금갚는건 따로 라는거.. 끔찍해요5. 음
'21.11.25 6:27 PM (180.224.xxx.210)저도 집 사느라 7프로대 이자까지 경험해 봤는데요.
진짜 생활이 궁핍했어요.
하필 그 때가 집값도 피크였는데...
우리가 사고 아주 반짝 미친듯이 더 오르더니, 거짓말처럼 미친듯이 내렸어요.
그러니까 운좋게 최고가 직전에 집을 산 거였죠.
그런데, 제가 사고 나서 더 미친듯이 오를 때 집을 산 제 친구는 결국 그 이자랑 원금 갚다가 집을 던졌어요.
소위 말하는 손절을 한 거죠.
집값은 반토막을 향해 가는데, 그 빚을 지고 있으려니 정신병 걸릴 거 같다면서 손해보고 팔았어요.6. ...
'21.11.25 6:35 PM (39.117.xxx.200) - 삭제된댓글교과서적인 얘기로는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이 내려야 하는게 맞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금리가 올랐을 때 부동산이 내린적은 IMF 때 한 번 뿐이예요
그리고 이 때 살인적인 금리 상승이 있기는 했지만 (이 때 금리가 20프로 가까이 되지 않았나요?)
부동산 하락의 근본적 원인은 금리 인상이라기 보다는 경제위기 때문이었구요
IMF 때를 제외하고는 금리상승기에 오히려 부동산도 같이 상승했어요.
(가장 대표적인 게 노무현 정권기
금리가 5프로에서 8프로로 상승할 때 부동산 가격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호황기에 금리를 인상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만
이는 금리가 부동산 가격을 결정짓는 요인이 아니라는 걸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죠
금리 말고도 부동산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중 하나가 유동성 비율인데
과거 유동성 비율이 높았던 시기는 1986~1988년, 2002~2006년으로
이 시기 아파트 값은 역대급으로 상승했었습니다.
근데 2019년 이후부터 다시 유동성 비율이 그 때만큼 높아지고 있거든요
작년에는 35.6프로를 찍었는데 이는 데이터를 집계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그러니 유동성 수치만을 가지고 따지기에는
내년에 올해만큼 상승한다고 가정해도 하나도 이상한 게 아닌거죠.
물론 내년에 이 유동성 수치가 줄어들고
금리 인상이 좀 더 빠르게 진행되고
공급량이 실제로 눈에 띄게 늘어난다면
추세전환을 할 수는 있다고 보여집니다7. 아,이자
'21.11.25 6:35 PM (121.134.xxx.136)예금이자도 더 올랐으면
8. ...
'21.11.25 6:36 PM (39.117.xxx.200)교과서적인 얘기로는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이 내려야 하는게 맞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금리가 올랐을 때 부동산이 내린적은 IMF 때 한 번 뿐이예요
그리고 이 때 살인적인 금리 상승이 있기는 했지만 (이 때 금리가 20프로 가까이 되지 않았나요?)
부동산 하락의 근본적 원인은 금리 인상이라기 보다는 경제위기 때문이었구요
IMF 때를 제외하고는 금리상승기에 오히려 부동산도 같이 상승했어요.
(가장 대표적인 게 노무현 정권기
금리가 5프로에서 8프로로 상승할 때 부동산 가격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호황기에 금리를 인상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만
이는 금리가 부동산 가격을 결정짓는 요인이 아니라는 걸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죠
금리 말고도 부동산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중 하나가 유동성 비율인데
과거 유동성 비율이 높았던 시기는 1986~1988년, 2002~2006년으로
이 시기 아파트 값은 역대급으로 상승했었습니다.
근데 2019년 이후부터 다시 유동성 비율이 그 때만큼 높아지고 있거든요
올 해에는 35.6프로를 찍었는데 이는 데이터를 집계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그러니 유동성 수치만을 가지고 따지기에는
내년에 올해만큼 상승한다고 가정해도 하나도 이상한 게 아닌거죠.
물론 내년에 이 유동성 수치가 줄어들고
금리 인상이 좀 더 빠르게 진행되고
공급량이 실제로 눈에 띄게 늘어난다면
추세전환을 할 수는 있다고 보여집니다9. 지금은
'21.11.25 6:41 PM (198.90.xxx.177)지금 부동산은 저금리와 전세대출이라는 초유의 유동성으로 밀어올린 집값이기에 금리에 아주 민감합니다.
2년전만해도 본인 집사서 전세내놓고(전세대출로 들어와 살고) 본인은 전세대출 받아서 전세살고 가능했지만, 지금은 이게 불가능하고, 대출금을 원리금+이자 같이 갚아나가야 한다면 3-4억 대출 갚고는 생활이 안 되는 월급생활자들이 많아요. 무리하게 대출 자체를 못 냅니다.
과거에 금리가 올랐는데 집값이 안 떨어졌다고 해도 지금처럼 1-2% 였던 적이 없어서 비교가 힘들어요.10. 사
'21.11.25 6:42 PM (182.216.xxx.215)4프로 되면 예금이 최고라고
여기서 본듯요 그거에 동의하고요11. ....
'21.11.25 6:48 PM (211.200.xxx.81) - 삭제된댓글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불경기,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저금리,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빚더미,
그러니 조금 올랐다고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저금리임에도 금리 오른다고 난리잖아요.
금리 인상은 이제 시작일 뿐인데요.
미국은 빠르면 내년 3월부터 금리 인상하기 시작하면 매달 대폭 인상할 거라네요.
이 기사 하단 금리 추이 그래프 한 번 확인해 보세요.
그 동안 남의 돈 공짜로 빌려서 집 산 거나 마찬가지였어요.
https://news.v.daum.net/v/2021061117574169412. 대출규모가
'21.11.25 6:49 PM (112.154.xxx.91)지금 과거와 다른 점이, 대출규모가 역대급이라는 거죠. 몇억씩 대출을 받았다면 금리가 1%만 올라도 이자 갚느라 가처분소득이 줄어드는 셈이라 집값이 유지되기 어렵죠. 게다가 세금도 많이 올랐고 공급계획도 많아요
13. 금리
'21.11.25 6:55 PM (198.90.xxx.177)금리 1-2 프로 일때는 1억 대출 내고 이자만 내는게 전혀 부담이 없어요. 전혀 대출 안 쓰던 사람들도 한번 대출 내고 두번 대출내고 그렇게 하더군요.
과거에는 처음부터 1억 대출에 5프로 이자라서 대출 자체가 서민들은 처음부터 부담이어서 현재 상황과는 아주 달랐어요. 대출을 쉽게 쉽게 생각을 하지 않던 시절이죠14. ㄱ박
'21.11.25 6:57 PM (49.165.xxx.219)노무현때 5프로인데도 올랐어요.
그때는 하지만 이자만 갚는건데
지금은 미국처럼 원금 이자 같이 갚는거라 영끌이 힘들죠
근데 집값영향은 환율이 더 커요
오늘1190넘었는데
환율사냥꾼들이 지금 들어올거래요
달라오르면 집값 내려요15. ㄱ
'21.11.25 7:03 PM (49.165.xxx.219)1월 내년에 또올리대요 이주열이
내년에 4번올린대요16. 근데
'21.11.25 7:03 PM (14.5.xxx.38)항상보면
대출금리는 득달같이 올리는데
예금금리는 금리오른지 한참이 지나야 오르네요.17. 예전과비교불가
'21.11.25 7:53 PM (211.248.xxx.11)지금은 원금도 같이 갚아야 되요
18. 맞아요
'21.11.25 8:45 PM (1.242.xxx.189)지금은 예전처럼 이자만 계속 내다가 나중에 원금 갚았어요
지금은 그때하고는 영딴판입니다
거치기간 짧고 바로 원금상환합니다19. ㅇㅇ
'21.11.26 12:24 PM (223.62.xxx.203)2~3년 전에 집 산 사람들은
한 5년간 고정금리(당시 금리 2프로대) 적용한 이후
재계약 하기 때문에 당장은 영향 받지 않아요
2~3년 이후에나 영향받겠죠.
게다가 여기에 보금자리론 이용해서 주택 매매한 사람들은
만기까지 고정금리 적용됩니다.
(올초까지 금리 2프로 초반, 지금은 3.35프로)
당장 모두가 금리 인상 영향을 받는 게 아닙니다.
반응은 시차를 두고 올 거예요20. 음
'21.11.26 3:25 PM (211.248.xxx.11) - 삭제된댓글대출 80프로 가까이 변동 금리로 받았다고 뉴스에 나옵디다
21. 타격큼
'21.11.26 3:25 PM (211.248.xxx.11)대출자 80프로 가까이가 변동 금리로 받았다고 뉴스에 나옵디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1277766 | 대전 치질수술 병원 소개해주세요 1 | 트윈카라 | 2021/12/02 | 1,074 |
1277765 | 윤씨고 이씨고 제정신은 아닌듯 26 | 맙소사 | 2021/12/02 | 1,395 |
1277764 | '갤주' 이재명 …"생애 첫 노동 무임금 되지 않도록&.. 10 | .... | 2021/12/02 | 537 |
1277763 | 여중생 집단 성폭행' 외국인 유학생 69명, 신상공개해라 청원 .. 11 | 맿매 | 2021/12/02 | 3,324 |
1277762 | 사회복지사 저렴하게 수강할수 있는 방법 부탁드립니다. | 아이 | 2021/12/02 | 614 |
1277761 | 압축 선반이나 압축봉 있잖아요 3 | ㅇㅇ | 2021/12/02 | 961 |
1277760 | 우유와 젖소들이 궁금해서요. 20 | 그러니까 | 2021/12/02 | 1,838 |
1277759 | '이재명 영입' 김윤이가 창업한 '뉴로어소시에이츠' 페이퍼컴퍼니.. 18 | ㅇㅇㅇ | 2021/12/02 | 1,353 |
1277758 | 렌트카 고민중입니나 3 | 제주도 | 2021/12/02 | 706 |
1277757 | 디씨에 이재명 2번째 등판했네요. 17 | ㅇㅇ | 2021/12/02 | 1,204 |
1277756 | 애들 고모부 칠순부조 17 | ... | 2021/12/02 | 2,612 |
1277755 | 조동연이 줄리보고 용기를 냈나보네요 21 | .. | 2021/12/02 | 2,795 |
1277754 | 밀라논나 이야기 깜놀 21 | ........ | 2021/12/02 | 9,257 |
1277753 | 조동연 해명.. 울컥합니다. 26 | .... | 2021/12/02 | 6,229 |
1277752 | 조동연, 사생활 논란에 눈물 18 | 조동연 응원.. | 2021/12/02 | 6,263 |
1277751 | 민주당을 다를거라 생각한 어리석은 지지자 5 | 니가 변하는.. | 2021/12/02 | 557 |
1277750 | 조동연 이쁘긴 이쁘네요 3 | ㅇㅇ | 2021/12/02 | 5,868 |
1277749 | 시 한편 읽고 가실게요~ 11 | 행복 | 2021/12/02 | 1,492 |
1277748 | 자차 사고 80 정도면 보험처리 하나요? 4 | ... | 2021/12/02 | 742 |
1277747 | 송영길 계속 x볼을 차는군요. 5 | 그럼그렇지 | 2021/12/02 | 952 |
1277746 | 띠어리 아울렛 어디에 있나요? 4 | ... | 2021/12/02 | 1,544 |
1277745 | 새끼 밴 들고양이 ㅠ 3 | ... . | 2021/12/02 | 1,094 |
1277744 | 20대후반 첫 명품백 추천부탁드려요. 6 | 선물 | 2021/12/02 | 1,639 |
1277743 | 조동연 15 | 후리지아향기.. | 2021/12/02 | 3,406 |
1277742 | 유턴 할때요 줄선 순서대로 하는거 아닌가요 ????? 15 | 궁금 | 2021/12/02 | 2,9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