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文정부 출범후 GDP대비 집값 총액 25%↑..朴·MB정부 땐 0%

... 조회수 : 895
작성일 : 2021-07-23 18:27:13
https://news.v.daum.net/v/20210723175503613

IP : 116.121.xxx.143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21.7.23 6:33 PM (101.235.xxx.35)

    그래도 좋다잖아요? 지지율 45프로에 다음 대선도 나라발전과 국민풍요가 아닌 문재인 지키기 대선 투표한다잖아요. 저 아래 나이있는미혼 집걱정 봐도 어쩌다 이리 됐는지. 강북에 교통좋은 곳 아파트 2,3억 짜리 깔렸었어요. 빌라는 더 쌌구요 ㅠ

  • 2. 아이고
    '21.7.23 6:35 PM (39.7.xxx.88)

    이명박 때는 리먼 사태라고 세계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있었던 때임.
    쥐가 잘해서 그런 게 아님. 무식하긴

  • 3. 집값폭등
    '21.7.23 6:37 PM (211.36.xxx.42) - 삭제된댓글

    노무현정권때
    문재인정권때

    우연일까요?

  • 4. 윗님
    '21.7.23 6:39 PM (223.38.xxx.216)

    진짜 무식하네요. 리먼사태는 초반 08년도에 왔다가 금방 회복되었어요. 그래서 집값 다시 오르다가 공급폭탄으로 집값 다시 하락했어요

  • 5. ...
    '21.7.23 6:41 PM (116.121.xxx.143)

    이명박이 공급을 어떻게 했는지 조사해 보세요.

  • 6. 39.7
    '21.7.23 6:45 PM (211.36.xxx.36) - 삭제된댓글

    이명박때는 공급이 엄청 많아서
    집값이 안정되었어요
    리먼사태는 일시적인 거였고....ㅋ
    어서 주워들었나본데 무식이란 말이
    님에게 되돌아가네요

  • 7. ㅇㅇㅇ
    '21.7.23 6:48 PM (203.251.xxx.119)

    이명박때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전세계 부동산이 폭락했던 시기였습니다
    좀 제대로 알고 올리세요
    집값이 떨어지자 박근혜때 빚내서 집사라고 했죠
    그때부터 돈있는 투기꾼들이 부동산을 사들였고 그게 원초적 집값 폭등 이유입니다

  • 8. 이명박때는
    '21.7.23 6:52 PM (175.120.xxx.8)

    리먼사태가 얼마나 큰 영향인데요
    그때 공급 폭탄해서 공실 엄청 많고 건설사 주도도 나고 그랬음

  • 9. ...
    '21.7.23 6:52 PM (115.143.xxx.196) - 삭제된댓글

    집값 폭등의 원흉

  • 10. ...
    '21.7.23 6:56 PM (39.7.xxx.65) - 삭제된댓글

    미국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 파산을 전후해 국내 집값은 2008년 8월부터 12월까지 하락하다가 이듬해 1월 5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이후 2010년 8월까지 오르다 2014년 안정세를 보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388032

    리먼 사태 때 집값이 5개월 간 하락하다가 상승세로 전환되었음

  • 11. 그래서
    '21.7.23 6:58 PM (39.7.xxx.88)

    건설사 지원 정책, 집값 부양책 썼죠

    뭐라 해도

    이명박 쉴드는 용서가 안됨

  • 12. 리먼 때 5개월
    '21.7.23 7:02 PM (39.7.xxx.65) - 삭제된댓글

    만에 집값 상승세로 전환돼 2018년 8월까지 올랐다는데 무슨 소리를 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 13. 리먼 때 5개월
    '21.7.23 7:03 PM (39.7.xxx.65) - 삭제된댓글

    만에 집값 상승세로 전환돼 2018년 8월까지 올랐다는데
    댓글만 보면 리먼 사태 때문에 몇 년간 계속 집값 오른줄 알겠네요

    집값 5개월 동안 떨어지고 그후 다시 올랐다고요.

  • 14. ...
    '21.7.23 7:05 PM (116.121.xxx.143)

    박근혜때 미친 집값이라 선동하더니...박근혜때도 아주 양호했었네요

  • 15. ㅇㅇ
    '21.7.23 7:08 PM (39.117.xxx.200)

    엊그제 대문 글에 댓글 달았는데
    우리나라는 리먼 사태 이후 달랑 4개월만 하락하고
    다시 5개월만에 상승전환했어요

    이후 2010년까지 오르다가
    명박이가 보금자리 150만호 공급 계획 발표하고
    하락하기 시작해서
    보금자리가 마지막 공급되던
    2012-2014년 부동산 저점 찍었던 겁니다
    이때가 마지막 과물량 구간이어서요

    그리고 이때 리먼 발 금융위기로
    경기침체 우려되던 상황에서
    집값 부양은 커녕 공급폭탄 들이부은 건 인정해 줘야죠

    솔까말 지금 정부는 주택보급률 100프로 넘겼다는 이유로
    (그 보급률에 다세대 빌라 단독 다 포함된 거라는 게 웃픈 거죠)
    공급 대폭 줄여서 이 사단 만든거나 다름없는데

    명박이는 경기 침체 위험성이 있는데도 밀고 나갔죠
    원래 저런 사업은 오히려 경기침체 상황에서 시작해야
    진행이 빠른 면이 있거든요
    지금과 같은 부동산 폭등기에는
    토지주들이 수용에 호의적이지 않아서 사업 진행이 힘들어요
    가만히 내버려두면 더 상승할텐데
    미리 합의할 필요가 없다고 느끼는 거죠
    지금 3기 신도시 진행이 더딘 이유가 이것 때문이예요.
    http://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72738101
    MB정부 부동산 정책 재조명받는 이유…"공급 늘리고 규제 풀어 집값 잡았다"

    일각에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이명박 정부 시절 부동산 시장이 안정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미국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 파산을 전후해 국내 집값은 2008년 8월부터 12월까지 하락하다가 이듬해 1월 5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이후 2010년 8월까지 오르다 2014년 안정세를 보였다.

  • 16. 엠비
    '21.7.23 7:18 PM (14.33.xxx.53)

    엠비랑 비교하는건 웃기죠
    그때 금융우기터져서
    집값 갑자기 30%빠지고 그랬는데..

  • 17. 엠비
    '21.7.23 7:18 PM (14.33.xxx.53)

    금융위기..정정

  • 18. 그리고
    '21.7.23 7:24 PM (39.117.xxx.200) - 삭제된댓글

    그 보금자리 주택 54만호 물량폭탄이 시작되면서
    우리나라만 2012-14년 부동산 저점이 형성됬었던 거지

    다른 나라들은 2014년 즈음, 이미 리먼 위기 직전의
    부동산 고점 가격의 8-90프로 가격을 회복했어요
    http://www.kab.co.kr/kab/home/common/download_cnt.jsp?sMenuIdx=03601501500003...
    "통계로 보는 미국·영국·일본· 한국의 주택시장"

    여기보면
    미국은 2014년 2월에 최고점(2006년 04월) 대비 81.1프로 수준 회복했고
    영국은 2014년 3월에 최고점(2007년 11월) 대비 93.1프로 수준 회복했다고 나와 있어요
    일본 제외하고 세계 다른 나라들도 다 엇비슷한 수치예요
    대부분의 나라들이 2014년에는 2007년 전고점 가격에
    이미 근접하고 있었어요

    그러니 리먼 위기 때문에
    명박이 시절 부동산이 안정됐다는 말은 틀린 말이죠
    이미 다른 나라들은 부동산 재폭등각을 향해 가고 있었는데,
    우리만 희안하게 부동산 저점을 형성했거든요.

    유동성만 해도 노무현 시기 2.9프로였고
    명박이 시절에는 4.5프로로 더 거품은 많이 끼어 있었어요.
    근데 그 증가한 유동성 버블을 공급 54만호로 잠재운거죠
    공급이 답이라는 게 이 이유인 겁니다.

  • 19. 그리고
    '21.7.23 7:25 PM (39.117.xxx.200)

    그 보금자리 주택 54만호 물량폭탄이 시작되면서
    우리나라만 2012-14년 부동산 저점이 형성됬었던 거지

    다른 나라들은 2014년 즈음, 이미 리먼 위기 직전의
    부동산 고점 가격의 8-90프로 가격을 회복했어요
    http://www.kab.co.kr/kab/home/common/download_cnt.jsp?sMenuIdx=03601501500003...
    "통계로 보는 미국·영국·일본· 한국의 주택시장"

    여기보면
    미국은 2014년 2월에 최고점(2006년 04월) 대비
    81.1프로 수준 회복했고
    영국은 2014년 3월에 최고점(2007년 11월) 대비
    93.1프로 수준 회복했다고 나와 있어요
    일본 제외하고 세계 다른 나라들도 다 엇비슷한 수치예요
    대부분의 나라들이 2014년에는 2007년 전고점 가격에
    이미 근접하고 있었어요

    그러니 리먼 위기 때문에
    명박이 시절 부동산이 안정됐다는 말은 틀린 말이죠
    이미 다른 나라들은 부동산 재폭등각을 향해 가고 있었는데,
    우리만 희안하게 부동산 저점을 형성했거든요.

    유동성만 해도 노무현 시기 2.9프로였고
    명박이 시절에는 4.5프로로 더 거품은 많이 끼어 있었어요.
    근데 그 증가한 유동성 버블을 공급 54만호로 잠재운거죠
    공급이 답이라는 게 이 이유인 겁니다.

  • 20. ㅡㅡ
    '21.7.23 7:42 PM (211.52.xxx.227)

    집값만 똥값 만들면 국격도 똥이 되든
    말든 상관 없는 사람들 ...
    집값이 혼자 만들어지나.
    안잡고 안잡나~~~!

  • 21. ㅋㅋ
    '21.7.23 7:56 PM (223.38.xxx.234) - 삭제된댓글

    집값 저렴했던 이명박근혜 때가 헬조선이었는데, 지금은 뭘까요?
    헬조선 업그레이드판인가요?

  • 22. ...
    '21.7.23 9:18 PM (211.226.xxx.247)

    대깨들이 지금은 태평성대라던데요. 추장군이랑 이재명이 부자들꺼 다 뺏어서 나눠준다고 했으니 얼마나 신나겠어요? 아주 절대지지한다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30673 벽화 삭제라니~ 안돼~~~~ 11 ........ 2021/07/30 1,271
1230672 쥴리벽화 글자 안보이게 덧칠 14 쥴리는누구인.. 2021/07/30 1,557
1230671 에르메스 산토리니 블랙 고민 상담요. 48 .... 2021/07/30 1,434
1230670 안산 선수는 금메달 박탈해야 하지 않나요? 페미니스트니까 84 미친ㄴ 2021/07/30 25,336
1230669 중 3 아들 닌텐도 스위치 사줄까요 12 고민 2021/07/30 1,252
1230668 코로나 낫고나면 검사는 다시 음성이 되나오 1 ㅇㅇ 2021/07/30 870
1230667 윤석렬도 이준석도 다 남교류, 경협 활성화 해야한다고 하죠 2 Fgu 2021/07/30 483
1230666 백신맞고 살빠지는 부작용은 없나요? 4 확찐자 2021/07/30 4,166
1230665 도대체 이재명지사는 어떤 일을 잘한다는거죠? 28 뭘잘할까 2021/07/30 814
1230664 공수처, 경찰의 수사목록이랍니다, 윤석열관련 5 ,,,, 2021/07/30 898
1230663 조정석 cf 14 @@ 2021/07/30 3,694
1230662 시부모랑 휴가 다니는거 극혐 하면서 43 ... 2021/07/30 7,187
1230661 칼 춤을 꿈꾸고 계신가요? 5 ㅇㅇ 2021/07/30 765
1230660 유능한 이혼변호사 3 흑흑 2021/07/30 1,432
1230659 보이차 드시는 분들께 질문드려요 2 초보 2021/07/30 983
1230658 카드를 못찾겠는데 카드사에서 알려줄까요 3 카드 2021/07/30 810
1230657 수도민영화되면 내수도세만 오르는게 아닙니다 13 민영화 2021/07/30 1,157
1230656 60대 등산초보 여성용 가볍고 튼튼한 등산 스틱 추천 부탁드려요.. 6 ... 2021/07/30 1,788
1230655 목포 친정어머니 이낙연보다 이재명이 대세랍니다 46 나녕 2021/07/30 2,390
1230654 육성인터뷰 1 벽화주인 2021/07/30 525
1230653 타인 skt멤버쉽카드로 이마트 상품권 구매가능한가요? 5 재산세 2021/07/30 991
1230652 4.50대 복장관련이요 옷잘아시는 좋아하시는분 어찌입으셔요 19 복장 2021/07/30 3,492
1230651 SH 사장 후보 김현아, 어머니에게 법의 잣대를 적용하고 싶지 .. 15 엿가락 2021/07/30 1,402
1230650 공대문의드려요! 1 수험생맘 2021/07/30 663
1230649 박살나고 바닥난 자존감.. 어떻게 복구하나요? 7 jrotc 2021/07/30 2,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