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식이 정말 짜긴한가봐요.
목마르지않으니 딱히 마시고싶단 생각도 안들고..
요즘 점심시간에 주로 빵으로 때우거든요.
식빵이나 모닝빵,샌드위치..
그러다 가끔 한식이 땡겨서 밥먹은날은 물이 무지하게 땡깁니다;;
저 평소 짜게 먹는편도 아닌데...
빵먹은날과 밥먹은날 물마시는양이나 횟수가 확연하게 차이나네요.
우리나라 고혈압발병율높운게 수긍될정도..
1. ...
'20.10.27 12:16 PM (14.32.xxx.1) - 삭제된댓글미국, 유럽 가서 현지식 먹어보고 말하세요 ㅋㅋ
2. ..
'20.10.27 12:17 PM (125.31.xxx.233)한식이 짜기보다 외식이 짠거죠
맨날 올라오는 글..3. 싱겁게
'20.10.27 12:17 PM (222.103.xxx.217)집에서 요리할때는 저염식으로 해요. 사먹는 음식들이 좀 짜죠.
4. ㅎ
'20.10.27 12:17 PM (175.127.xxx.153) - 삭제된댓글고혈압에는 밀가루 음식도 최악입니다
5. ㅇㅇ
'20.10.27 12:17 PM (211.219.xxx.63)미국, 유럽 가서 현지식 먹어보고 말하세요 ㅋㅋ22222
6. 외식아니고
'20.10.27 12:18 PM (118.130.xxx.39)도시락 싸 다닙니다.
김치가 문제인듯요~~7. 소금
'20.10.27 12:19 PM (124.5.xxx.148)염도 왕이 비빔밥이래요.
미국유럽 음식 짜도 한국 국한사발이면 윈8. 짜요
'20.10.27 12:20 PM (110.70.xxx.209) - 삭제된댓글저도 다이어트 때문에 고구마 달걀 파프리카 이런거만 먹다가 어쩌다 동료들과 어울려 먹느라 김치나 마른반찬 위주로 밥을 먹고나면 늘 물을 들이키게 되더군요.
평소와 달라서 더 느끼나봐요9. 나마야
'20.10.27 12:20 PM (121.162.xxx.240)저도 물 거의 안먹는데
외식만 하면 물 들이켜요10. ㅎ
'20.10.27 12:20 PM (175.127.xxx.153) - 삭제된댓글우리나라 고혈압 발병률은 서구화된 식습관이 한몫 하는걸 모르시는군요
그냥 한식을 까고 싶은분인듯11. 한식이
'20.10.27 12:20 PM (223.39.xxx.184)짠게 아니라 외식을 해서 그래요
조미료많이 쓰는 식당음식
집에서 해먹으면 물이 안땡기는데 사먹으면 그래요12. 최근
'20.10.27 12:21 PM (118.130.xxx.39)건강검진했는데 이번엔 저혈압으로 나왔어요.
첨이예요.
늘 정상혈압이었는데..
이것도 좀 관련이 있는듯~~13. 김치도
'20.10.27 12:21 PM (222.103.xxx.217)김치도 염도 낮게 담그세요~
14. ㅇㅇ
'20.10.27 12:22 PM (117.111.xxx.193)조미료가 물많이 먹게해요
15. 김치는
'20.10.27 12:22 PM (118.130.xxx.39)주로 시댁이나 친정서 받아온ㅣ
염분조절이 힘드네요 ㅜ
제가 국이나 ㅉ개도 거의 건더기만 먹거든요.16. 저혈압이면
'20.10.27 12:22 PM (223.33.xxx.140)오히려 짜게 먹어야돼요
싱겁게 먹는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17. ....
'20.10.27 12:26 PM (119.192.xxx.97)식빵에도 의외로 나트륨 함량 많은데 엄한 한식 타령은.
18. ....
'20.10.27 12:28 PM (1.237.xxx.189) - 삭제된댓글님 가정집에 문제를 한식 문제라고하면 안되죠
얼마든지 싱겁게 조절할수 있는데19. ....
'20.10.27 12:29 PM (1.237.xxx.189)님 가정집에 문제를 한식 문제라고하면 안되죠
얼마든지 싱겁게 조절할수 있는데
외식외에는 물 거의 안마셔요20. ㅇㅇ
'20.10.27 12:30 PM (175.213.xxx.10)피자만 먹으면 물 들이키는데...
확실히 외식이 짜요.
집밥은 집에서 조절하면 되잖아요.
비빔밥 할때도 야채 간 안하고
고추장으로 조절하면 되구요.
소금 들이키고 짜다고 하면... 어쩌란건지21. 국이
'20.10.27 12:30 PM (175.199.xxx.119)문제지 한식은 양식에 비하면 짠것도 아닌듯해요
외국가서 피자 먹음 짜서 먹지를 못하겠던데22. ...
'20.10.27 12:31 PM (222.235.xxx.163) - 삭제된댓글외국 과자를 먹고 그날 한식으로 먹을 소금 다 먹은거 같았다는...
한국과자는 마일드에요;;;
외국 살았는데 우리나라 음식 된장 고추장정도 되야 숟가락으로 퍼먹으면 짠거지 외국의 기본 간은 진짜 진~해요23. 고혈압에
'20.10.27 12:32 PM (117.111.xxx.146) - 삭제된댓글안좋은건 소금보다 당이 천배 만배
24. ㅇ
'20.10.27 12:38 PM (175.127.xxx.153) - 삭제된댓글한식이 짜서 문제라면 우리 조상들은 대부분 고혈압 환자였겠네요
장아찌 젓갈 고추장 간장 된장을 맛내는 정도지 퍼 먹는정도는 아니잖아요25. 사람들이
'20.10.27 12:40 PM (223.39.xxx.126)착각하는게 맨밥이랑 같이 먹는 반찬의 염도를
외국음식과 비교한다는거예요
밥과 반찬이 섞이면 외국음식에 비해 절대 짜지않아요26. 미국가서
'20.10.27 12:40 PM (222.237.xxx.181)처음 밥 먹은날 소금인줄 알았어요
27. ...
'20.10.27 12:41 PM (106.102.xxx.125) - 삭제된댓글유럽여행 가기 전 나라별 필수로 알아야 할 문장
짜지 않게 해주세요28. oo
'20.10.27 12:42 PM (59.15.xxx.230) - 삭제된댓글울나라 음식 짠거 다 아는 사실 아닌가요
국 찌개 좋아하고 나트륨 덩어리인 김치에
젓갈하며 멸치볶음은 멸치자체로도 짜구요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량 탑급 아닌가요?29. 염도
'20.10.27 12:46 PM (218.154.xxx.228)방송서 하도 짜게 먹으면 큰일난다고 배워서 마르고 저혈압인데 한여름에 물2리터에 저염식 하다가 위장기능 상실..죽을 고비 넘겼어요.저혈압인 분들은 간맞게 드세요..
30. ...
'20.10.27 12:49 PM (218.146.xxx.219)미국, 유럽 가서 현지식 먹어보고 말하세요 ㅋㅋ22222
31. 올리브
'20.10.27 12:53 PM (59.3.xxx.174)걍 케바케 에요.
한식도 집밥은 하나도 안 짜던데요.
걍 외식은 다 짠거 같아요.32. 이상한게
'20.10.27 12:54 PM (121.133.xxx.125)외국 음식이 더 짠거 맞는데
섭취 나트륨 비교하면 한국인이 더 많데요.
국.김치. 반찬류 소금량을 다 더하면 더 짠가봅니다.33. ..
'20.10.27 12:59 PM (112.152.xxx.35)저 이태리요리 배울때 기겁했어요.
소금, 후추 엄~~~청 써요;;;;34. 매일 찌개나
'20.10.27 1:05 PM (119.71.xxx.160)라면 먹지 않으면
나트륨 걱정 안해도 됩니다.
외국 음식이 훨씬 짜요35. ㅡㅎㅈ
'20.10.27 1:24 PM (221.152.xxx.205)외국인들은 더 짜게 먹어요ㅜ
36. 외국서
'20.10.27 1:25 PM (39.7.xxx.90)안 살아보셨군요.
걔네 음식 다 짜요.
우린 양반이니 모르는 소리 마세요.37. 나옹
'20.10.27 1:44 PM (223.62.xxx.245)짠 김치 젓갈 원래 맛보는 정도에 밥을 많이 먹는게 우리 문화죠. 제일 문제는 국물문화구요.
음식 자체로는 미국 유럽이 훨씬 짜게 먹긴 해요. 식당음식이 다 너무 짬..38. 만두
'20.10.27 1:44 PM (121.6.xxx.221)싱가폴사는데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등 장난 아녜요. 짜기만 한게 아니고 달아요. 모든 요리가 설탕..... 인구노령화에 오죽하면 정부가 당뇨와의 전쟁을 ㅠㅠ
39. 착각
'20.10.27 1:46 PM (106.102.xxx.107)주식으로써 쌀밥은 나트륨이 거의 없다시피 한데요
빵은 결코 나트륨이 적지 않아요
식사빵들 보통 밀가루 대비 소금이 2~3% 씩이나 들어 가거든요
거기다 샌드위치에 들어가는 각종 소스, 햄, 치즈 등도 나트륨이 상당 하구요40. 흠
'20.10.27 2:26 PM (58.127.xxx.198)한식 서양식보다 짜요
아무리 빵에 나트륨많네 어쩌네 해도 스파게티 피자 각종 서양식 다 먹어도 한식먹은 뒤만큼 몸 안부어요
제가 몸이 잘붓고 수분이 몸에 많이 저장되는 몸이라 잘 느끼는데 차라리 고칼로리빵먹는게 밥한상 먹는거보다 담날 몸무게 덜 나가요
거기다 전 짜게 먹는거 좋아하는 거 아닌데도 이정도니 더 짠거 좋아하는 사람들은 나트륨섭취가 어마무시41. 첫댓 동감
'20.10.27 2:39 PM (59.6.xxx.151)가리는 음식도 없고
한식 안 먹어도 전혀 상관없는데
출장 길어지면 괴로운 짠 맛
심지어 과자도 짜요 ㅎㅎ
한국에서 굽는 빵이야 안 짜겠죠
혹은 제가 집밥순이에 외식도 짜다 느끼니 더 괴로운 것일 수도요.42. ㅋ
'20.10.27 2:55 PM (210.99.xxx.244)코스트코가서 외국베이컨 사다드셔보세요 소금이예요
43. 짜요
'20.10.27 3:29 PM (223.38.xxx.161)한식 안짜다는 분들은 입맛이 짠거예요. 유럽 음식 짜다구요? 거긴 그대신 신선한 샐러드와 담백한 빵을 곁들여 먹잖아요. 유럽에 있다 한국 왔더니 너무 너무 짜서 그이후로는 저장 반찬 젓가락 대기도 싫어요.
44. ..
'20.10.27 3:32 PM (221.149.xxx.23)외국음식들은 짜다고 해도 우리나라처럼 국이나 전골로 먹지 않고 음식자체가 짜기때문에 더 짜게 느껴지는거,,. 소금 한스푼을 그냥 먹으면 짜지만 물 200미리에 섞어먹으면 덜 짠 것처럼..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는 국이나 찌개 전골류때문에 높은거예요
45. 일본
'20.10.27 10:02 PM (14.4.xxx.64) - 삭제된댓글일본음식 완전 소금사태예요. 왜구들이 82에 맨날 한식 짜다고 글 올리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