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가 없었다면 사랑을 어디서 배웠을꼬

나말이요 조회수 : 1,742
작성일 : 2019-03-11 15:18:28

다른 분들 말고 그냥 제 얘기입니다.

인격 훌륭하신 분들은

자신의 일상에서 또 성숙과 사랑을 경험하고 계실거에요;)


저는 하고 싶은 거 많고 40중반인 지금도 세상 호기심 많은

진취적이고 열성적인 녀성입니다.

이런 제가 학력, 경력의 완벽한 단절을 겪으며

아이들만 20년 가까이 키웠습니다.


여러 관계에서 사랑을 경험했지만

부모님의 무조건적인 사랑도(아빠의 무한 사랑을 받았습니다)

남편의 지지적인 사랑도(한번도 내 일에 토 안다는 내 남편)

내가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사랑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더군요.


뱃속에서 부터 청소년기 지금까지

아이로 인해 웃음과 행복과 애닯음 불안함 분노 황당 수치심 등등

인생의 모든 희노애락을 뼈에 깊이 깊이 새기게 되고요

남 일에 이렇게나 처절하게 애가 타본적이 없어요

부모에 대한 충성심은 댈 것도 아니고요.

남편에 대한 동지애도 색깔이 완전 달라요.

아이가 이쁠 때 느끼는 무지개빛 희열과 그 충만함은

세상 어떤 것으로도 바꿀 수 없어요.


아이를 육아하며 다시 깨닫는 자신의 저열한 인격은

얼마나 나에게 큰 깨달음과 겸손함을 주는지..

내가 얼마나 같은 잘못을 반복해서 저지르는지..

그런데도 아이들에게 늘 엄마로 ,

세상 제일 소중한 (적어도 지금은) 존재로

다시 받아들여지는지...감사한 마음입니다.


내 아이로 인해 세상의 아이들도 다시 보이고

사회를 다시 생각하게 되고 나라를 다시 보게되는지

저 인간도 아기때에는 다 이렇게나 이쁜 생명체였겠구나 싶고..


무엇보다도

아이를 통해 사랑을 다시 끝없이 묵상하게 됩니다.

내가 죽는 순간 아이에게 물려주고 싶은 유산도 단 하나 '사랑'

아이들이 엄마를 회상하며

'우리 엄마는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라고 한다면

나는 성공한 인생이겠다 싶어요

IP : 180.69.xxx.2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좋은글
    '19.3.11 3:22 PM (119.205.xxx.107) - 삭제된댓글

    좋은 소회랄까... 감사합니다 ~
    글 읽으면서 부모 자식 사랑의 감정에 대한 것도 느꼈지만
    님과 같은 사람만 있다면 이 세상이 따뜻하게 정상적으로 굴러가겠구나~ 하는걸 느꼈네요.
    님이 좋은 분이셔서 그 감정들을 좋은 것으로 끌어내 승화시키시는 것 같아요~

  • 2. 절대 공감
    '19.3.11 3:29 PM (210.183.xxx.241)

    저도 아이들을 키우며 조금은 인간이 된 것 같아요.
    엄마가 제가 임신했을 때 걱정을 하셨대요.
    쟤가 아기 젖은 제대로 먹일까, 아기가 울어도 자느라 안아주지도 못하는 건 아닐까..
    그러나 아기 낳고 아기의 조그만 소리에도 그 잠꾸러기가 일어나 아기를 보살피는 걸 보고 놀라셨대요.

    그렇게 제가 성장했습니다.
    인내, 헌신, 아낌없는 사랑, 너그러움, 기다림, 겸손, 세상에 대한 따뜻한 마음까지.. 아직도 부족하지만
    아이들이 아니었으면 제가 절대로 경험할 수 없는 마음을 배웠어요.
    그래서 저는 제 아이들이 참 고마워요.
    아이들에게도 제가 그만큼 좋은 존재는 아니겠지만
    저에게 아이들은 절대적으로 크고 귀하고 고마운 존재들입니다.

  • 3.
    '19.3.11 3:36 PM (211.219.xxx.39)

    저도 동감이요~
    결혼은 하되 아이는 안낳을 생각이었는데..

    세상의 모든 사랑 받아도 봤고 주기도 해봤지만 내아이와 주고 받은 애정만큼 완전히 내맘에 들었던 감정은 없었던듯.

    감상적인 사람 아닌데 아이가 너무 좋아 눈물이 날때도 있고 제정신이 아닌 시절 길었어요

    아이가 사춘기라 이쁘기만 한건 아닌데 그래도 좋아요~ 아마 남편이 그랬음 진작 뒤돌아 섰을듯..

    아이 낳아 기르며 같이 컸어요.

  • 4. 와.
    '19.3.11 3:47 PM (39.7.xxx.96)

    결혼 엄청 일찍하셨네요.

  • 5. 동감
    '19.3.11 4:18 PM (211.197.xxx.223) - 삭제된댓글

    연년생 키우면서 정말 버거울 때가 많았어요.
    외동 키우는 집이나
    아이 없이 부부만 사는 집 보고는 정말 부러운 적도 많았죠.
    실제로 그들에게서 저에 비해 자기들은 현명한 선택을 한 것이다란 비아냥 아닌 비아냥도 들었어요.

    이제 둘 다 대학생이고 저는 남편과 제 2의 신혼을 보내고 있습니다.
    남편과는 이전에 아이들을 키우며 동지일 때도 있었고
    원수일 때도 있었고 전쟁처럼 살았죠.
    내 젊음을, 내 미래를 저당잡힌 것 같아 울었던 적도 많아요.

    그런데..지금 뒤돌아보면..남편하고 둘이만 살았다면 그만큼 힘든 날은 적었을지 모르죠.
    아이들을 키우면서 정말 표현못할 사랑도 느끼고
    아이들에게서 나의 바닥을 보면서 인간이 되어감을 알게 되고요.
    아이들을 통해 얽힌 수많은 인연들에게서 많은 것을 배우고 스스로 성장했습니다.

    아이는 나를 또 다른 세상으로 안내하는 문입니다.

    아이들이 제게 온 것은 우주적 인연이에요...함부로 하면 안 됩니다.

  • 6. ㄴㅇㅎ
    '19.3.11 4:23 PM (106.248.xxx.218)

    아이가 없었어도 님은 꽤 괜찮으신 분이었을 거에요.
    모든 부모가 아이로 인해 그런 사랑을 배운다면 세상이 이럴수는 없겠죠.

  • 7. ㆍㆍㆍ
    '19.3.11 4:45 PM (58.226.xxx.131)

    반대로 우리엄마는 자식을 낳고부터 너무 힘들었데요. 외할머니에게 학대나 마찬가지인 취급을 당하면서 컸고.. 외할머니는 여기에 자세히 쓰기 좀 그래서 생략하지만.. 엄마노릇은 커녕 자식들 앞길 말아먹은 분이었어요. 그래도 엄마는 외할머니도 힘들었겠지 하며 이해하려했고 그렇게 넘기고 살아왔는데 엄마가 자식을 낳고 키워보니 뒤늦게 분노가 끓어 오르더래요. 피같은 자기 자식들한테 어떻게 그렇게 했나 싶어서 도저히 용서가 안되고 오만정이 다 떨어졌다고 하시더라고요. 돌아가셨을때도 눈물 한방울 안흘렸고, 돌아가신지 삼십년이 된 지금까지도 외할머니를 떠올릴때마다 울분이 솟아 힘들어하십니다. 근데 아이러니한게.. 그렇게 외할머니에게 한이 맺힌 엄마가, 저한테도 비슷하게 하셨어요. 외할머니 만큼은 아니지만요. 엄마가 외할머니의 만행에 대해 한풀이하듯 얘기할때 제가 속으로그럽니다. 모녀가 닮은구석이 있네. 그래서 저도 엄마를 안좋아해요. 엄마는 본인이 외할머니를 닮은걸 모르시고 인정도 안하시죠. 저는 제가 제 자식을 엄마가 저 키우듯 키울까봐 애 낳는것도 싫더라고요.

  • 8.
    '19.3.11 5:21 PM (221.141.xxx.186)

    제가 아이키우며 느꼈던 소회들이 그대로
    다 글에 적혀있네요
    정말
    제가 아이를 낳아 키우지 않았다면
    그 특별한 사랑을 어떻게 배웠을까요?
    관심도 없었던 다른 아이들이
    어쩜 그리 사랑스럽게 내 눈에 들어왔을까요?
    세상을 보는 그 냉정했던 눈이
    어떻게 그리 따뜻하게 변했을까요?
    감사하죠
    다른사람으로 거듭나게 해준 내 자식이요

  • 9. 동의
    '19.3.11 5:57 PM (211.49.xxx.225)

    원글님의 글에 천만배 공감합니다.
    저도 아이를 키우며 지금까지 배운 학문의 수백배는 더 자신이 성장한거 같아요.
    어디서 누구에게 그렇게 많은걸 경험하고 배우고 또 사랑할 수 있을까요?
    아마 반쪽인생밖에 살지 못했을거같아요.
    사랑하는 우리아이들에게 인생의 교과서로서 감사하는 마음에 사랑 가득보냅니다.

  • 10. ..
    '19.3.11 7:21 PM (218.148.xxx.95)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12698 어린이집 적응기간.. 7 ㅡㅡ 2019/03/11 1,335
912697 독일어 잘하시는분들, 독어 매력이 뭔가요? 8 2019/03/11 3,110
912696 초등학생도 쉽게 판단하는 518 헬기사격 유무 12 초등학생 2019/03/11 1,525
912695 전두환씨가 더럽게 대단하긴 한가봐요. 19 오홋 2019/03/11 4,323
912694 하늘이시여) 왕모와 자경이의 사랑 6 ㅇㅇㅇ 2019/03/11 2,943
912693 아이가 응급실왔는데 7 도와주세요 2019/03/11 2,675
912692 안경 어디서 맞추세요? 3 손목뼈 2019/03/11 1,854
912691 제 상처에대해 부모에게 말하고싶어요. 6 .. 2019/03/11 2,459
912690 믿어지지 않지만..방가네 돌아가신 부인의 형부 인터뷰 전문 8 경악 2019/03/11 4,617
912689 영어도서관 아이보내보신분들 궁금해요 2 영어도서관 2019/03/11 1,453
912688 아직도 필리핀에 산다라박인기있나요? 산다리 2019/03/11 2,034
912687 쌀국수 - 아까 쓰다만 이야기 27 쌀국수 2019/03/11 5,444
912686 ft아일랜드 20 2019/03/11 9,886
912685 패딩 세탁하고 건조기로 바짝 말리나요? 3 ㅣㅣ 2019/03/11 2,268
912684 아름다운 우정이래요 2 ㅡㅡ 2019/03/11 2,927
912683 기업은행도 정년보장되나요? 2 ㅇㅇ 2019/03/11 3,038
912682 이젠 1박2일 나가겠죠? 13 ㅇㅇ 2019/03/11 4,852
912681 저녁 무슨 맛있는거 드셨어요? 35 2019/03/11 4,402
912680 주방 싱크대 필름 1 주방 2019/03/11 972
912679 김포 오전 8:50분 국제선은 3 highki.. 2019/03/11 879
912678 사람에 집착은 안하는데 관계가 틀어지는걸 극도로 불안해해요 2 멘탈 2019/03/11 1,956
912677 시아버지 비밀 퀴즈 후기 22 qwe 2019/03/11 7,531
912676 소지품 가방 좋네요 4 유용 2019/03/11 3,117
912675 베이글에발라먹는크림치즈 6 크림 2019/03/11 2,341
912674 중학교 입학 선물 너무한가요? 5 .. 2019/03/11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