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누가 ? 왜 이런 대학입시제도를 만들었나?

학부모 조회수 : 1,859
작성일 : 2018-11-15 18:07:16
20-30년전에 고등학교생활과 입시를 거쳐 대학을 진학한

지금 40대 50대는 모두 아실거예요...

지금 흔히 말하는 sky 포함 서울에 명문 대학에 30% 이상은 지방 학생 들이 었고 당시 인기과는 그 비율이 더컷지요...
요즘은 어떤지 아시지요?
지역균등 빼면 ....몇% 일까요!

수시 정시 비중을 떠나서

그 당시와 지금을 비교하면...

요즘이
개천에서 용 나오기 힘듬
사교육 심함
고교시절 성적에 따라 줄세우기 심함
학생들 학업량 증가

공정성은 포기 수준 ....

왜? 누가?

이지경을 만들었나요??





IP : 223.38.xxx.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11.15 6:18 PM (223.62.xxx.208)

    교육부 교육청 학교 교사들..
    그리고 비리를 원하는 갑질 좀 할수 있는 지역유지들 권력자들 ..
    사학을 잡길 원한다면서 사학에서 일어나는 수시비리를 타고 감사할 생각은 절대 없는 교육부.. 이것이 실체죠..

  • 2. 미스터리
    '18.11.15 6:33 PM (183.109.xxx.87)

    지금 100프로 정시로 바뀌면 그때처럼 개천용 가능할까요?
    오히려 사교육받은 강남 애들만 대학 잘 갈거라던데
    그 시절엔 어떻게 지방 애들이 잘한걸까요?

  • 3. 학부모
    '18.11.15 6:55 PM (61.32.xxx.230)

    다 떠나서 지금 이제도는 아닌건 분명 합니다...
    단순히 정시 비중을 높히면 나아질거 같지도 않지만..
    일단 공정성은 가지고 시작하는게 답입니다...

  • 4. ..
    '18.11.15 7:05 PM (223.62.xxx.231)

    약간 조심스러운데, 그 때 공부 잘한 40~50대의 많은 비율이 지금 지방에 안 살아요.

    부모가 공부 잘했어야 자녀가 공부 잘 할 확률이 높은데, 30년 전에 비해 지방출신이 sky갈 확률이 낮아진 것은 부모들의 성적 분포로 보아 수긍가는 측면도 있어요.

  • 5. 니나니나너
    '18.11.15 7:07 PM (118.220.xxx.62)

    다들 내자식만 잘되었음 하죠.
    다들 공범임.

  • 6. 정부
    '18.11.15 7:08 PM (114.206.xxx.138)

    지난 9년간 정권을 잃어도 자기들 자식들 대학 잘 갈 길을 만들어 놨다고 봐요
    정부 요직 정권은 바뀌어도 나가지 않는 고위 공무원들
    그들의 세상이죠
    지금 대입은 그들에겐 절대적 유리해요

  • 7. ...
    '18.11.15 7:21 PM (210.178.xxx.192)

    아무리 수능이 강남애들 유리하네 어쩌네해도 공정성 면에서는 수시와 비교가 안되지요. 수시는 철저히 가진자들을 위한 전형입니다. 산골이나 섬마을애들도 도전해볼 수 있는게 수능시험입니다. 왜냐면 수능은 아무리 사교육 도움이 어쩌니 해도 결국 자신이 해내는 시험이거든요. 하지만 수시는 자신뿐 아니라 학교 특히 좋은학교 그리고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그 결과가 완전 달라지는 제도이지요. 하루빨리 수시가사라져야 합니다.

  • 8. ....
    '18.11.15 7:51 PM (222.96.xxx.24)

    학부모들도 한몫 하죠.
    학력고사때도 문제있다 바꿔야 한다
    수능때도 문제있다 바꿔야 한다
    수시가 늘면 느는대로 문제있다 바꿔야 한다
    학부모들이 그때 그때 난리를 치는 것도 큰 몫을 한다고 봅니다.
    어때요? 지금보니 예전의 학력고사나 불수능이 가장 공정해 보이지 않나요?

  • 9. 윗님
    '18.11.15 8:50 PM (112.187.xxx.230)

    맞습니다.
    예전의 학력고사나 불수능이라도 감깜이 수시보다는 공정하죠.
    정확히 보셨어요.

  • 10. ....
    '18.11.15 9:18 PM (115.64.xxx.205)

    윗윗분 정말 맞아요.
    제가 특차랑 딱 정시 두 개밖에 없을 때 수능 봤는데 이 때도 학부모들이 시험한번으로 아이의 인생이 걸린건 너무하다며 난리였었어요. 그 때는 거의 수능으로 대학 갈 때였는데 그 때도 불만은 정말 많았었죠.

  • 11. hwisdom
    '18.11.16 3:20 AM (116.40.xxx.43)

    전두환 과외 금지.
    그 효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75010 개신교이신분들 도와주세요. 13 후, 2018/11/17 1,800
875009 캣맘님들 보세요 11 ㅡㅡ 2018/11/17 1,727
875008 자식교육에 있어 어디까지가 부모 몫인가요? 1 2018/11/17 1,862
875007 외국인에게 안내해주는거 좋아하면 직업으로 연결시킬 수 있나요? 2 가이드? 2018/11/17 926
875006 서울 대동초, 신입생 전원이 다문화…“중국인지 한국인지” 5 흠흠 2018/11/17 3,374
875005 스모킹건은 따로 있어요.. 기다려보세요. 34 이정렬변호사.. 2018/11/17 6,190
875004 치매환자는 치매라는거 인지하나요? 8 엄마 2018/11/17 3,698
875003 한걸레 또 쓰레기 마일리지 모았네요 5 오우 2018/11/17 1,241
875002 부모와 연 끊은 자식 1 ' 2018/11/17 3,072
875001 급) 김치찌개할때 참치캔 국물 넣나요? 4 어쩌까나 2018/11/17 2,199
875000 혜경궁김씨 소송단분들좀 와보세요. 안아보자구요. 29 Pianis.. 2018/11/17 2,174
874999 완벽함 타인 보고왔는데 김지수 셔츠 컬러에 반했습니다 9 oo 2018/11/17 5,534
874998 혜택없는 카드 많이 쓴게 너무 속쓰려요ㅠ 3 .. 2018/11/17 3,609
874997 언 무랑 짠 백김치 질문드려요 3 땅지맘 2018/11/17 1,745
874996 불량소녀 너를 응원해..영화 좋네요. 1 ... 2018/11/17 930
874995 들깨가루로 감자탕맛 라면 끓여보세요. 2 00 2018/11/17 2,235
874994 후드에 새가~~ 4 후드 2018/11/17 1,333
874993 김치같은 한국음식을 다룬 영화 있나요? 9 김치홀릭 2018/11/17 1,325
874992 이혼결심까지 갔던 남편입니다. 40 남편 2018/11/17 25,099
874991 입시설명회 다녀오고 답답해요. 9 예비고맘 2018/11/17 3,820
874990 조인성 공유 소지섭 현빈 등 이을 차세대 배우들.. 누구일까요?.. 34 차세대 2018/11/17 4,568
874989 생선가스 생각만큼 쉽지 않네요 5 튀김 2018/11/17 1,525
874988 시가가 너무 싫음 3 2018/11/17 2,271
874987 삽자루쌤 2심재판 불법 댓글 알바 인정했네요 10 ... 2018/11/17 1,793
874986 띠의 크기가 인간 관계에 영향 있을까요 6 일반화 2018/11/17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