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에 공부법에 대해서 주절거렸던 엄마입니다.
오늘은 영어공부법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영어는 사실 제 학부전공이기도 하고, 아무 도움도 안 되었지만 대학 때 교직도 이수했고, 여러 선생님들한테 오래 배웠고 저도 과외한 10년 했습니다. 하지만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영어 교수법에 대해 진정으로 고민하고 또 고민한 것은 저희 애들을 키우면서에요.
언어는 예체능처럼 소질의 하나이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목표수준도 달라야 하고, 교수법도 달라야 해요. 언어에 타고난 감이 있거나 적극적이고 활달한 아이들, 발음이 틀려도 말도 안 되는 영어를 하면서도 전혀 쭈삣거리지 않고 깔깔 거리고 즐거워하는 애들은 영어유치원에도 잘 맞고 괜찮은 원어민 선생님을 붙여줘도 괜찮아요. 언어는 사교성과 비례합니다.
근데 소극적이고 지적받는 거, 발음교정 받는 거 등에 민감한 아이들 있어요. 괜히 이런 아이들은 춤추고 노래하면서 영어 배우는 거 쑥스럽고 지적받으면 그게 다 상처와 스트레스로 와요. 그냥 회화 보다는 읽기 쓰기 중심으로 방향을 틀기를 권해 드립니다.
그리고 언어에 감각 없는 아이들도 있어요. 이 아이들에게는 백날 유트브 틀어놓고 만화 영화 영어로 보여줘봤자 귀에 하나도 들어가지 않고 소음 비슷해요.
그리고 파닉스는 잘 배우면 좋은데, 그냥 파닉스에만 그치는 아이들 있어요. 선생님 입장에서도 뭔가 보여줄 게 있으니 좋고 엄마 입장에서는 아이가 영어를 줄줄 읽으니 흐믓하고 사교육에서 대박을 칠 수 밖에 없는 거죠. 근데 한글안다고 한국어 아는게 아닌 것처럼 파닉스 떼고 영어 소설책 줄줄 읽는다고 영어 하는 거 아니거든요. 문제는 아는 단어 몇개만 나오고 지문의 그림 보면 눈치 좋은 애들은 대부분 맞출 수 있어요.
저희 애의 실패 사례는 우리 아이보다 몇 살 많은 미국학생의 개인레슨 (나이가 비슷하고 공통관심사가 많아 내심 친구같은 관계가 되면서 영어를 배우기를 기대했는데),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쳐 보지 않은 사람의 한계가 너무 명확했어요. 다음은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운 해외 명문대 출신의 외국인인데 너무 우수한 나머지 뭐가 잘 안 맞았어요. 제 경우에는 외국인은 큰 효과를 못 봤어요.
목표는 영유 나와 국제학교 다니는 애들, 원어민, 교포 수준이 아니고, 한국에서 학교 다닌 것치고는 괜찮은 수준의 회화실력과 내신대비와 수능을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어떤 수준의 지문이 나와도 해석하고 문제를 맞출 수 있도록 직독직해에 맞췄어요.
저희 애(초고학년)는 언어감각은 중상 정도이고, 대신 성실하고 학습능력은 있는 편이에요. 그래서 지금 정착한 방법은 제가 단어와 리딩 직독직해와 한국식 문법을 담당합니다. 단어는 계속해서 앞으로 돌아가서 복습하고 또 복습하고 리딩 지문은 한줄씩 빠짐없이 해석합니다. 요즘은 유행이 지나간 공부법이지만 저는 영어 공부의 어는 한 시기에서는 예문을 직독직해 한글로 하는게 반드시 하는게 필요하다고 믿습니다. 주4일 1시간 미만으로 합니다. 교재는 Bricks 같은 시중 교재(80%)도 하고, 아이가 좋아하는 연예인 가십 기사와 트위터 같은 기타 소재(20%)도 하고 관심을 계속가질 수 있도록 온갖걸 합니다. 학원을 보내시는 분들도 한 학원에만 너무 오래 보내시지 말고 바꾸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발음교정과 영어회화를 통한 문법(한국식 문법이라기 보다 문장이 입에 붙어서 직관적으로 맞추는 수준이 되게)을 과외 선생님에게 배우고 있습니다. 대화가 끊이지 않게 아이의 관심을 유도하면서 이걸 할 수 있는 선생님 구하기는 너무 너무 어려워요. 주2회 1회 90분으로 하고 있어요. 이 부분은 괜찮은 선생님 못 구해서 포기할까 많이 고민했어요.
아이를 성향을 보시고, 선생님과 상의 하시고, 맞는 공부방향을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 그리고 제가 인서울 괜찮은 대학의 아이들을 많이 상대하는데, 어머니들의 노력이 허무할 정도로 정말 영어를 못해요. 읽고 쓰고 말하기 다 못해요. 많이들 이야기하는 초등 때 영어를 떼고 어쩌고 저쩌고 해도 실상은 그 수준이 아주 낮으니 아직 자녀가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해 슬프신 어머니들..용기를 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