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4인데 독서수업을 듣고 있어요. 1년동안 진행한 독서과정이 12월에 끝나고
역사수업으로 넘어간다고 하는데, 지금 시키는것이 의미가 있는건가 해서요.
큰아이 역사가 너무너무 약해서 둘째는 미리 훑어야 겠다는 생각은 했지만
그 적기라는것이 언제인가 궁금해서요.
큰아이는 사교육을 거의 시키지 않아서 잘 모릅니다.
키워보신분들 의견 부탁드립니다.
초4인데 독서수업을 듣고 있어요. 1년동안 진행한 독서과정이 12월에 끝나고
역사수업으로 넘어간다고 하는데, 지금 시키는것이 의미가 있는건가 해서요.
큰아이 역사가 너무너무 약해서 둘째는 미리 훑어야 겠다는 생각은 했지만
그 적기라는것이 언제인가 궁금해서요.
큰아이는 사교육을 거의 시키지 않아서 잘 모릅니다.
키워보신분들 의견 부탁드립니다.
초등때 역사 사교육을 굳이 왜 ?
관련 책 많이 읽고 유투브 역사강의를 듣는게 훨씬 나을듯 싶네요.
5학년 때부터 한국사 배우니 미리 배워두면 좋죠. 저희 애 경우에는 역사까지 선행 하는게 그래서 망설이다 그룹수업에 끼는 바람에 그냥 했는데 아이 말로는 안했으면 큰일날뻔 했대요. 학교에서 역사 수업 교과서 진도도 못 나갔었다고 하네요.
그냥 책을 읽히시는게 나을듯
4학년 2학기에 그룹 역사수업 시작해서 한달에 한번씩 1년 반 이상 하다가 6학년되면서 바빠 종료했어요. 약 24번 수업 일정이었어요. 4학년 초에 시작하면 딱 맞을 듯.
효과는 안해본 거랑 비교할 수 없지만... 아이 둘다 역사 전혀 어려워하지 않고 재미있어 했고 한국사 흐름은 자연스럽게 알게된 듯.
4학년 내지 5학년이면 딱 좋아요. 유튜브 같은 영상보다 책이 아이 두뇌 재배치에 더 좋아요. 원래 영상이 면대면 교육 효과의 70프로도 안 되고, 면대면도 일방 학습은 더 떨어진다네요. 지금부터 책으로 알게모르게 스며들게 하면 좋아요.
역사책 많이 읽고 박물관 가고 그럼됩니다
암기과목인데 공부처럼 배우기보다는 역사책 많이보는게 최고예요
5학년부터 역사배우니, 4학년부터 시작하면 좋을꺼예요.
제아이보니, 그때부터 역사배우는 친구들 많아서 5학년부터 역사퀴즈내며 서로 장난치며 놀더라구요.
책이 좋긴 한데...직장맘이라 수학, 영어, 구몬 챙기다 보면 아이도 저도 피곤해서
역사까지 해줄 엄두가 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