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에 1가구1주택 세상이 오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해요 조회수 : 1,441
작성일 : 2018-09-17 13:49:08

그런데 가격이 안 떨어지고 이 상태가 유지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1주택자가 세금 못 견뎌 팔때까지 계속 이 높은 세금을 유지하던지 더 올리던지 할까요?

아니면 1가구 1주택의 공평한 세상이 왔으니 이젠 만족스러워 할까요..

투기꾼이 없어졌으니까요..

IP : 183.98.xxx.197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9.17 1:56 PM (39.7.xxx.113)

    지금 1가구1주택이 아니라 불만인게 아니라
    과도한 대출과 잘못된 정책과 관리로 인한 투기세력에 의한 폭등때문에 벌어지는 불균형에 대한 불만인거죠
    우리나라가 자본주의인데
    부자들이 몇십채 있는거 아무도 뭐라 안해요
    다만 전세제도를 악용하고 탈세하면서 없는 사람들을 힘들게하고 있어서 욕먹는거구요
    왜 무주택자 또는 일주택자들이 다주택자들에 대해 배아파한다고만 생각하세요?
    제대로 정신박힌 사람은 투기할 생각하지 않고 사는게 정상이예요

  • 2. 윗님
    '18.9.17 2:00 PM (183.98.xxx.197)

    참 말씀 어렵게 하시네요..
    그러니까 마지막 말씀하신대로 정신 제대로 박히지 않은 사람들 세금 많이 부과해서 투기 못하게 하는게 지금 정책이잖아요. 그래서 정말로 그런 정의로운 사회가 왔다면..다시 말해 그 투기꾼이 빠져나가고 아주 공평한 1가구1주택이 온다면 ..
    어떻게 될까요..라고 물었잖아요..
    투기꾼이 빠져나가고 거의 완벽하게 공평한 1가구 1주택의 세상이 왔는데도 오른다면..
    또는 여기서 더 떨어지지 않고 유지가 된다면..그땐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하고 물었어요..

  • 3. 친정엄마가
    '18.9.17 2:02 PM (183.98.xxx.197) - 삭제된댓글

    없애던지.아니면 간소화시켜 본인이 계속 지내던지 절에서 하던지 해야지..
    본인은 편하고 싶고 남편제사 없애자니 눈치보이고 며느리는 한번 부려보고 싶고
    님 친정엄마가 문제에요..
    님 친정엄마 이기심으로 죽은 아버지 불쌍해졌고..며느리 멘붕오고..딸은 아버지 제사도 못 가게 되었고..

  • 4. ...
    '18.9.17 2:03 PM (103.31.xxx.42)

    집 못사는 사람들은 그런 세상 와도 집 못사고 불만족스러워해요.
    그런 세상이 와도 1주택자들을 기득권 취급하면서 세금 물리길 바라겠죠.
    투기꾼만 욕심이 많은게 아니라, 사실은 무주택자들, 집값이 떨어지길 바라는 사람들도 욕심이 많은거에요.

  • 5. 솔직히
    '18.9.17 2:07 PM (183.98.xxx.197)

    저는 이번 주택은 1주택자라도 세금 감당안되면 팔아라...이거더라구요.
    댓글은 그 주택 오른게 얼마인데 그 세금 감당이 안되냐..그럼 팔아라..이러잖아요.
    그 댓글을 그대로 정책으로 가져간 것 같아요.
    그런데..말이에요.
    세금 감당안되어 시장에 나온 매물을 세금감당해가면서 받아먹을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결국 지방유지나 부모에게 한 재산 받은 금수저가 또 그 매물을 받겠죠.
    ( 대출도 안되니 흙수저 개룡은 못 사고요..)
    결국 공평한 1가구 1주택 시대가 오더라도
    그 집 세금 감당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로 재편될뿐
    지금 댓글 열심히 달면서 세금폭탄 외치는 사람들 순서까지는 안 올것 같다요..

  • 6. 원글님
    '18.9.17 2:10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든는 거죠.

  • 7. 원글님
    '18.9.17 2:11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8. 원글님
    '18.9.17 2:11 PM (175.223.xxx.111)

    이번 정책에 18억하는 집(그것도 공동명의로 하면 25억도 해당안됨) 종부세가 고작 10만원 내던데
    대체 어딜봐서 세금폭탄이고 1주택자 집팔라던
    정책이던가요?

  • 9. 윗님
    '18.9.17 2:12 PM (183.98.xxx.197)

    헐..지금 서울 1가구 1주택이 서울 거주자만 해당된다고 보시는 거에요?
    지방 사람들도 엄청 많이 삽니다.
    이번에 그래서 지방 집값이 우두두 떨어진거잖아요.
    지방팔고 서울 똘똘한 한채 산다고요...

  • 10. 아미타
    '18.9.17 2:12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11. 원글님
    '18.9.17 2:13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렇게 완전 규제가 이루어 진다면 가격은 반토막도 안될 거예요.
    집이 사람보다 많으니까.
    수도권 인구가 2500만명인데 주택이 1700만호가 넘어요
    그 중 아파트가 1000만호가 넘고 일반주택이 700만호 정도
    1세대1주택....1세대 가족수를 평균 2.5명 정도로 잡으면
    [2015년 평균 2.8명으로 조사 됨....]
    2500만영 나누기 2.5명 하면 1000만세대 나오는 거죠

    근데 집은 1700만호.......700만호가 남습니다. 수도권에
    아파트만으로도 커버가 될 정도죠.

    다시말해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요.
    당연 값은 급락하겠죠.

    근데 현실은 다주택자들이 가수요를 만들어 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만드는 거죠.

  • 12. 윗님....
    '18.9.17 2:15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지방사는 사람들이 서울집 사는 것도 가수요죠.
    1세대 1주택에 실거주요건 까지 들어가면 지방 가수요는 많지 않을 거예요.
    원글님이 말한 규제는 거의 이상적인 상태죠. 거의 토지공개념 수준인 거죠.

  • 13. 원글님
    '18.9.17 2:33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이 말한 세상을 위한 정책이 현실적으로 보유세 강화로 나타나는 겁니다.
    현재보다 3~5배 강한 정책을 세우면 이룰 수 있죠.
    2주택자부터 보유세가 몇백만원 수준으로 끌어 올리면
    주택을 여러채 가질 수가 없게 되겠죠.
    2주택자 이상 20억 하는 주택도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 보유세를 내라하면
    다 팔지 않을 까요.

  • 14. 그러니까요
    '18.9.17 2:35 PM (183.98.xxx.197)

    정말 1가구 1주택자 세상이 서울에 펼쳐졌는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그래도 계속 세금을 올릴 것인가..
    아니면 유지할 것인가..내릴것인가..

  • 15. ..
    '18.9.17 2:45 PM (175.223.xxx.70)

    공산당이네요

  • 16. 1세대1주택
    '18.9.17 2:47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자에 대한 세금은 거의 사라지겠죠.
    20억 30억하는 아파트가 얼마 없을테니
    일부 고급아파트만 남겠죠. 그에 대한 세금은 있을 수 있으니까.

    그럼에도 집값이 안 덜어진다는 것은 현 경제상황으로는 그럴 수 없어요.
    월급자들이 알바생들이 현재의 가격으론 집을 살 수 없으니.

  • 17. ..님
    '18.9.17 2:49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공산당이라는 무식한 생각....
    토지공개념이 사회주의적인 개념이긴 해도 공산당은 아니에요.
    어찌 그리 수구꼴통들이 생각것과 같으실까.

  • 18. 현실적으로는
    '18.9.17 2:54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공공주택 보급율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최선인 것 같아요.
    공공용지는 무조건 장기임대(저렴하게 월세, 전세)으로만 분양원가로만 토지값 없이.
    민간용지도 임대부분을 30%가까이 의무적 공급.

    공공주택비율이 3~40%로 올라가면 집값 올라갈 수 없죠.

  • 19. .,.
    '18.9.17 3:03 PM (210.184.xxx.196)

    그땐 1주택자중 좋은 동네 사는 사람들에게 세금 많이 물리라고 하겠죠.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민족, 배 고픈건 참아도 배 아픈건 못 참는 민족인데요.

  • 20. 원글이
    '18.9.17 3:04 PM (221.139.xxx.159) - 삭제된댓글

    정상이 아니었구나...
    제 댓글 다 지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5876 본인소유 주유소 운영하려면... 8 기름 2018/09/18 1,966
855875 엠팍에서 후두려 쳐맞는 이동형~ 33 가관 2018/09/18 3,124
855874 gs25 채용논란 jpg 4 정신나갔군 2018/09/18 1,912
855873 이케아 소파 살건데 잘 쓰고 계신분 추천해주세요 6 .... 2018/09/18 2,624
855872 유은혜 인사청문회 하고있나요? 2 now 2018/09/18 397
855871 길냥이 밥을 주고 있는데요 12 야옹이 2018/09/18 1,498
855870 시댁과 여행갔다왔는데 기분이 안좋아요 67 Dd 2018/09/18 23,056
855869 la갈비가 너무 질긴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0 열매사랑 2018/09/18 2,041
855868 롯데 상품권 ??? 3 내꺼살까요?.. 2018/09/18 649
855867 관음죽 잎끝이 갈색으로 변했어요 2 ... 2018/09/18 1,317
855866 회사생활과 아이들 살림.. 모두 어떻게 하시나요? 12 으휴 2018/09/18 2,602
855865 데일리안 기레기 등장 2 기레기아웃 2018/09/18 459
855864 장기자랑에서 할 요즘 k-pop댄스곡 모 있을까요? 3 초4 2018/09/18 459
855863 아기 고양이를 구했는데 11 2018/09/18 1,613
855862 스쿨미투 적극지지 1 ^^ 2018/09/18 289
855861 어차피 구하라는 앞으로도 잘 먹고 잘살텐데 20 글쎄 2018/09/18 3,928
855860 아무것도 하지않는 남편과 살아보셨나요? 36 헛헛한마음 2018/09/18 15,446
855859 현장연결) 판문점의 봄이 평양의 가을로... 우리대통령은 시인 4 눈물나 2018/09/18 652
855858 결정장애. 여행도움좀 부탁드려요. 1 후리지아향기.. 2018/09/18 446
855857 선물 좀 추천해 주세요 1 .. 2018/09/18 508
855856 인터뷰하는 구하라 표정이 세상 밝네요. 41 2018/09/18 22,371
855855 제가 잘못했나요? 19 . 2018/09/18 4,314
855854 주영훈 경호실장 이분 볼 수록 멋있고 정감있네요. 8 .... 2018/09/18 2,049
855853 오늘 TV조선 방송 기조는 어땠나요? 2 wisdom.. 2018/09/18 687
855852 남자 잘 홀리는 여자 사주요 21 2018/09/18 16,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