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사는 동네에 문방구 있나요?

사는 조회수 : 973
작성일 : 2018-08-27 12:50:09

저 사는 동네엔 학교앞 진짜 작은 문방구가있어요.

급한거야 거기서 사지만 무지무지 비싸요.

샤프심이 2500원짜리를 아저씨가 자꾸 강매하시고.

지우개도 제일 싼게 1000원이에요.

그래서 다들 다이소를 문방구처럼 이용하죠.

그런데 이번에 동반성장위에서 다이소도 낱개판매를 금지시킨다네요.

그럼 색연필도 2묶음씩, 노트도 10매씩 사야 하는 상황이 되네요.

별거 아니죠.

얼마 안 되는 돈일 수 있는데 결국 서민 경제 물가 올리는 짓 같아 보여요.

예전에 동네 상권 서점 보호한답시고 도서정가제 시행했죠.

그래서 동네 서점이 문을 안 닫던가요.

고등학교 앞 서점들은 어찌어찌 버티고 있지만 나머진 다 망했죠.

소비자 물가만 올렸어요.

예스24나 알라딘 같은 온라인 업체만 수익이 올라갔고요.

그 이후로 전 책도 예전만큼 안 사게 되더라고요.

요즘 다시 불붙어 사 읽고는 있지만.

서민 경제를 서민 자영업자 살리는데 촛점을 두는 것도 좋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과연 이게 서민 자영업자들을 위한 길일까.

왜 생각을 안 하죠.


IP : 58.141.xxx.14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요즘
    '18.8.27 12:55 PM (58.230.xxx.242)

    학교 앞에 아예 문방구 없는 곳도 많아요.
    그나마 자꾸 사라져갑니다.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

  • 2. ㅁㅁ
    '18.8.27 12:57 PM (110.70.xxx.252) - 삭제된댓글

    그놈에 의약분업즈음
    약도 낱개 판매안돼 한번먹을것도 통채 사도록 만들고
    누굴 위한 정책인건지

  • 3. 그러니까요
    '18.8.27 1:01 PM (175.223.xxx.62)

    일본이라는 나라는 안좋아하는데..일본상품은 정말 일인 개개인을 위해서 소비자가 만족하는 상품이 있더라구요.
    어디서든 내가 필요한만큼 사서 쓰겠다는데 왜 그걸 못하게 하는걸까요?

  • 4.
    '18.8.27 1:19 PM (117.123.xxx.188)

    문방구만 해서는 생계유지도 안 되지요
    서점을 같이해야 하는 데
    책은 정가제니 온라인에서 주로 사고요...
    작은 정책하나에도 죽고사는 문제가 되는 분들 많아요

  • 5. 프린
    '18.8.27 2:08 PM (210.97.xxx.128)

    동반성장도 좋고 다 좋은데요
    그런정책은 적어도 문방구가 없어지기 전에 했어야 한다봐요
    이미 예전에 학교앞마다 하나,둘씩 있었던 문방구들은 없어졌어요
    학교준비물도 등교길에 사는 문화자체가 없어졌고 사람들은 미리 준비 하는거,다른곳에서 사는 습관을 들였구요
    그런데 이제와 이런정책하면 당장 많이 불편해지고 부담스러워지죠
    그렇다고 이미 없어진 문방구가 당장 학교앞마다 생길 것도 아니구요
    저도 다이소가 소상공인 업종을 잠식해가고 대궐마냥 몇층건물 전체 불 환하게 켜놓고 다이소간판 크게 하는 현상이 문제가 아니라는건 아녜요
    일단 다이소 출점제한부터 시작하고 문방구를 열 여건부터 만든후에 해야할 규제라는거죠
    작은문보다 큰문부터 막고 작은문을 손보는게 합리적수순이니까요

  • 6. ..
    '18.8.27 2:30 PM (222.237.xxx.88)

    다이소 전체 매장의 40% 수준인 470여 개 가맹점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요.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주는 소상공인이라는 다이소 주장을 정부와 문구업계가 인정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라네요.
    이용에 큰 걱정 안해도 됩니다.

  • 7. 있긴 해요
    '18.8.28 8:33 AM (118.222.xxx.105)

    있기는 한데 10 여년 전에 비해서 4분의 1로 공간을 줄였어요.
    이거야 어제 오늘 일이 아니고 벌써 한참 전이죠.
    책은 온라인에서 사고 문구류는 살일이 많지 않잖아요.
    초등학교 준비물 안 가지고 다니게 된 이후 그리고 대형 마트 생긴 이후로 동네 문구점 거의 문 닫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9201 13~14년도 ,강남중대형 매물에 이런 표현들이 있었어요. 2018/08/29 1,088
849200 빈댓글안되면 점점점점점 찍으면 안되나요? 33 ........ 2018/08/29 1,542
849199 실거주 할 처음 집 샀어요.. 12 싱숭 2018/08/29 3,946
849198 김부선의 주진우 사용법 39 .. 2018/08/29 3,318
849197 제사 없애자는 말 며느리가 하면 안 되나요? 29 .. 2018/08/29 8,080
849196 82쿡 자게에 섕겼으면 하는 기능 뭐가 있나요? 35 자야하는데 2018/08/29 1,164
849195 이정렬변호사 트위터(펌) 25 작전세력수뇌.. 2018/08/29 2,133
849194 사주의 또다른 핵심은 공평하다는데 있는 것같아요 13 사주 2018/08/29 4,180
849193 연남동 신촌 종로도 물에 잠겼다는데 2 ... 2018/08/29 2,738
849192 영화 서치 보신 분 어때요? 4 물폭탄이 왔.. 2018/08/29 1,531
849191 내일 아이가 내시경합니다 11 급질문올려요.. 2018/08/28 2,295
849190 라이프 12회를 보면서 나름의 입장정리 11 2018/08/28 3,446
849189 이재명이 그렇게 싫으면 경기도청앞에 가서... 72 ... 2018/08/28 1,880
849188 모기가 기승을 부림 //////.. 2018/08/28 788
849187 서울 즐기기 참고하세요^^ 10 바람 솔솔 2018/08/28 2,134
849186 베니스 피렌체 일정과 숙소 24 이탈리아 자.. 2018/08/28 2,060
849185 이낙연 총리가 좋아합니다 17 00 2018/08/28 1,599
849184 빚을 다갚았어요! 10 oo 2018/08/28 4,441
849183 82도 예전 망해가던 마이클럽 꼴 날 듯 44 ... 2018/08/28 5,754
849182 여자들 어깨 너비는 보통 몇센티 일까요. 3 여자 2018/08/28 2,905
849181 유투브로 영화 요약해서 보여주는거 추천좀.. 2 ... 2018/08/28 626
849180 정치댓글알바들 적발시 빨간줄 그으면 좋겠네요 7 ... 2018/08/28 480
849179 진짜 개혁을 할려면 법조계 출신들... 3 ... 2018/08/28 480
849178 文시절 취업자, 朴때의 1/5토막 보도의 비밀 3 .. 2018/08/28 713
849177 저는 빈댓글 반대합니다 25 안돼요 2018/08/28 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