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역난방이 관리비 더 비싸게 나오나요?

.. 조회수 : 1,838
작성일 : 2018-06-26 17:09:22
신도시 입주했는데 다들 관리비 많이 나왔다고 해요.
급탕비가 특히 비싸네요.
지역난방이 싸고 좋은 건줄 알았는데 개별난방 때 주방용 온수용으로 쓰던 도시가스비 보다 급탕비가 더 많이 나오고 주방용 가스비는 별도로 나오네요.
지역난방 비용도 지역 마다 다른가요?
IP : 1.240.xxx.8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6.26 5:26 PM (211.46.xxx.36)

    지역난방 살다가 개별로 이사왔는데 전 개별이 훨씬 좋네요.
    물론 단열 차이도 있겠지만 이전 집보다 비용은 적게들고 온도는 높게쓰고,,,
    지역난방 너무 싫어요... 난방도 오래 걸리고, 그렇다고 가격이 저렴하다고 느껴지지도 않고...

  • 2. ..
    '18.6.26 5:33 PM (121.133.xxx.138)

    저도 지역난방 진짜 싫어요. 방도 미지근하고 급탕비에 난방비 더하면 개별난방보다 따뜻하지도 않고 더 비싸기만해요.

  • 3. 맞아요.
    '18.6.26 5:37 PM (14.36.xxx.113)

    저도 지역난방일때 온수비가 비싸서 놀랐어요.
    기본비도 있었고요.
    여름엔 난방이 끊겨서 비오고 꿉꿉할 때 난방 돌려 바닥을 뽀송하게 할 수도 없고.
    지금은 개별난방인데 훨씬 효율적이에요.
    지역난방비는 지역마다 다른듯했어요.

  • 4. 동네 마다 다른듯
    '18.6.26 5:46 PM (175.116.xxx.6) - 삭제된댓글

    지역난방인데 아파트 단지마다
    개별 난방아파트 살때 보다 더나와요
    특히 온수 비용까지 합치면 더 비싸요
    다른아파트보다 단가 높다고
    가끔 입주자카페에서 불만나오는거 보면
    협상하기 나름인것 같기도 하구요

  • 5. 온수비가
    '18.6.26 6:38 PM (125.177.xxx.11) - 삭제된댓글

    많이 나오긴해요.
    근데 그것도 아파트마다 조금씩 달라서 문제예요.
    공급하는 온수 온도 조절을 아파트 관리실에서 하기 때문이죠.
    온수를 뜨겁게 공급하면 냉수를 많이 섞어쓰니 온수는 적게쓰게되고
    온수를 덜 뜨겁게 공급하면 냉수를 적게 섞어쓰니 계량기를 통과하는 온수량이 많아지죠.
    동일한 양의 온수를 써도 많게는 이만원까지 차이나요.

  • 6. 지역난방
    '18.6.26 6:39 PM (125.177.xxx.11)

    온수비가 많이 나오긴해요.
    근데 그것도 아파트마다 조금씩 달라서 문제예요.
    공급하는 온수 온도 조절을 아파트 관리실에서 하기 때문이죠.
    온수를 뜨겁게 공급하면 냉수를 많이 섞어쓰니 온수는 적게쓰게되고
    온수를 덜 뜨겁게 공급하면 냉수를 적게 섞어쓰니 계량기를 통과하는 온수량이 많아지죠.
    이런 식으로 이만원까지 차이납니다.

  • 7.
    '18.6.26 7:58 PM (121.167.xxx.209)

    개별보다 많이 나와요
    그리고 따뜻하지도 않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1854 전 장하성이 장하준인줄 알았어요. 6 .. 2018/09/07 1,048
851853 창덕여고 요즘 어떤가요? 이사예정 2 하늘 2018/09/07 966
851852 등기필증하고 등기권리증이 다른 건가요?^^;; 3 에고 2018/09/07 2,273
851851 영화에 나온 곳 찾아가보신분 계셔요? 8 상쾌한 하늘.. 2018/09/07 638
851850 양념된 LA갈비 1 나마야 2018/09/07 732
851849 웬만하면 대학보내세요. 86 직장맘 2018/09/07 26,649
851848 이 웨인스코팅 벽지 꼭 사고 싶은데요 5 인테리어 2018/09/07 2,113
851847 중국어 독학 힘들까요? 6 점심시간 2018/09/07 953
851846 우리집 세입자 오래오래 살았으면 좋겠네요^^ 11 바램 2018/09/07 4,683
851845 선배맘들..중2인데 고등국어학원 다니기 시작할까요 3 학원 2018/09/07 1,386
851844 현재 서울시에 남아있는 공무원들은 무슨부서인가요? 2 ... 2018/09/07 679
851843 스트로우(빨대) 대나무로 된거 괜찮네요. 15 .... 2018/09/07 2,075
851842 언론중재위원회에서 근무하는 이들은 공무원이에요? 1 ㅇㅇ 2018/09/07 343
851841 아기.... 돌 전에 장거리 해외여행 가능한가요? 11 네즈 2018/09/07 2,077
851840 합판소재에 도자기등 달수있나요? 4 무게 2018/09/07 324
851839 우고스라고들어보셨어요? sfghj 2018/09/07 426
851838 30대 훨 넘어서 철들려고 하는데...할수 있는 일이 없네요. .. 7 ㅇㅇ 2018/09/07 1,465
851837 김어준 이제 익명의 고위관계자 까지 들먹임 ㅋㅋ 45 좌중동 2018/09/07 1,520
851836 놀이터 다툼. 전면대응 할겁니다. 10 .... 2018/09/07 2,504
851835 비슷한 상황, 상반된 평가..朴·文시기 경제보도 비교 1 ㅇㅇㅇ 2018/09/07 337
851834 플리츠 소재 1 옷 수선 2018/09/07 798
851833 더블웨어 쓰시는분들 도와줘요 2 더블 2018/09/07 1,165
851832 돈 많은 사람의 10프로가 무재 사주인데 반전은.... 3 조용헌 2018/09/07 3,006
851831 수시 교과전형도 학교레벨 보나요 5 고3맘 2018/09/07 1,733
851830 집이 어느 방향인지 모르는데요 9 아파트 2018/09/07 1,201